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 모르겠어요(What men live - I do not know.)


정확한 기억은 아니지만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20년 전 정도에 읽지 않았을까한다. 고백하자면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보다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드라마 제목을 먼저 알고 있었다. 알고 보니 드라마가 톨스토이의 제목을 차용한 것이였지만. 제목만 보면 너무 철학적이고 무거운 내용을 말하는 책이라 여겨진다.
Memory is not accurate "What men live" about 20 years ago to go after the reading. Confessions gritty "What men live 'than' what to buy women 'knew before the drama title. It turned out to borrow the title of the drama is but Tolstoy. Title only content to say look so heavy book of philosophy and considered.

최근에도 여전히 어른들을 위한 동화라고 하여 쉽게 읽을 수 있는 책들이 나오고 있다. 다만, 예전과 달리 단순하게 권선징악의 내용이 아니라 어떻게하면 잘 살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 실려있는 경우가 많다. 자기계발서적류의 책중에 동화형식을 빌어 나온 책들도 있는데 이 중에는 대박을 친 책들도 있다.
Recently it is still a fairy tale for adults that are coming out in the book easy to read. However, unlike the former, not the contents of a simple winding jingak will live well for how the content is listed in most cases. During the self-development book seojeokryu luck fairy tale type books out there this is a big hit to hit during the books, too.

가장 대표적인 책이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이다. 대박을 넘어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책이다. 우리나라에서 '배려'와 같은 책도 꽤 많은 사랑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고 현재도 소설형식을 빌어 무엇인가를 의도적으로 알려주려고 하는 실용서적들이 꽤 많이 존재한다.
The most representative book "Who Moved My Cheese it? 'Is. And still hit over loved by many people in the book. In Korea 'care' and received a lot of love quite like a book that is currently known and novel format is intentionally trying to give us something to wish a practical book, there are quite a lot.

소설형식으로 한다는 것은 사람들에게 알기 쉽게 설명하고 딱딱한 내용을 부드럽게 해 주는 효과는 있지만 지금까지 읽은 책들은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를 제외하면 너무 오글거리고 낯간지러운 내용과 문체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무엇을 알리려고 하는지는 알겠는데 워낙 눈에 뻔히 보이고 작품성까지는 가지 않더라도 개연성과 글의 힘이 느껴지지 않아 최근에는 아예 읽을 생각 자체를 하지 않는다. 내가 한 번 써 볼까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내용을 보여주기위한 글이 조악한 것이 많다.
It is a novel type of people that clearly describes the effect that softens the hard details, but so far have read the book "Who Moved My Cheese it? 'Except for the face too ticklish Oglethorpe georigo that it consists of content and style . I know I was going to inform what if Because of its quality are needed until the eye looks kind of obvious, even probable do not feel the power of an article recently thought itself does not read at all. Let's write that I think once enough information to show in this article is often poor.

그런 저자들과 톨스토이를 비교한다는 것은 너무 죄스럽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톨스토이의 작품은 이미 고전이라는 반열에 오르기도 했고 톨스토이 자체가 거장이라는 호칭에 전혀 어색하지 않다. 이번에 이 책을 읽기전에 무려 90여권이나 되는 저서가 있는지 처음 알게 되었다. 워낙 위대한 작품들을 우리들에게 선사해서 몰랐다.
Then, the author compares and Tolstoy thought that was too joeseureopda in the works of Tolstoy, so that the rank of the climb, I was already a classic Tolstoy called masters title itself is not awkward at all. Before reading this book, this time a whopping 90 first passport or whether the book has been found. Because of its offering to the great work we did not know that.

거장이라 대단한 작품 몇개가 있는줄 알았는데 이토록 많은 작품을 세상에 내 놨는지 처음 알게 되었다. 책 내용과는 상관없지만 확실하게 무엇인가 대단한 작품 단 하나만 내 놓겠다는 생각 자체가 이토록 말도 안 되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여러 권의 책을 펴 내는것에 대한 계면쩍은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 꼭 그럴 필요가 없다는 깨달음을 이번 기회에 다시 한 번 확신했다. 나처럼 별 거 없는 사람은 오히려 더 많은 글을 쓰고 펴 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걸 말이다.
There were some great work of a great master because so many works to the world, I thought the first time I learned what messes. Book details what to do with a great work, but certainly the only one I think I will put that in itself is one yitorok realized that was ridiculous. Personally straighten out several books about the interface questionable just think I do not need to have had this opportunity to enlightenment was convinced once again. People do not like me, I'd rather more by writing says that I should try to straighten out.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우연히 딸의 책상에 놓여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2년 전에 교회 선생님에게서 선물 받았다고 하는데 책 두께를 보면서 무릎을 쳤다. 2013년 150권을 채우려고 마음을 먹었는데 마지막 한 권을 얇은 책으로 했으면 했는데 아주 자연스럽게 선택해 읽을 수 있다는 판단이 들어 말이다.
"What men live 'daughter accidentally discovered that the desk was placed. Two years ago the church received a gift from a teacher to hit a knee to look at the book thickness. 150 in 2013 to fill the heart and ate the last one was very natural to choose the sheer volume of reading that you have determined that contains said.

예전에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를 읽고 사랑이라는 생각을 했다면 이번에도 그 결론은 똑같다는 판단을 했지만 진정으로 나 자신에게 물어봤을 때 도대체, 사람인 나는 무엇으로 사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변할 꺼리가 생각나지 않는다. 사랑으로 산다는 진부하지만 확실한 진리말고 나는 지금까지 무엇으로 살았고 앞으로 무엇으로 살 건인지에 대한 답변을 하지 못할 만큼 바쁘게 산 것도 아니니 생각없이 살았다는 뜻이 되어버린다. 그렇다고 무엇으로 사는가에 대해 생각한다고 그렇게 살 것인가에 대한 답변은 완전히 다른 의미다.
People buy what used to be the idea that if you love to read again the conclusion is the same, but the judge when asked myself truly hell, man, what I live for the answer to a question that I do not mind the . Being a cliche, but true love not sure what I have lived in the future to buy what you do not know enough to answer without thinking busily lived in the mountains mean it is not it is discarded. Yes that what I live for the answer to that will live in a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지금, 나는 글을 쓰고 강의를 하고 책을 펴 내고 투자를 하고 살고 있는데 이것들은 무엇으로 사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가에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답이다. 무엇으로에 대한 답이 아니다. 사랑은 모든 것을 포용하고 아우르는 개념이다. 개인적으로 사랑보다 상위개념은 없다고 본다. 그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말이다. 나를 미워하는 사람도, 내 원수도 사랑해야 하는것이 인간으로써 과연 할 수 있는 감정이란 말인가? 내 자신은 안 보면 된다는 생각이라 사랑보다는 역지사지에 좀 더 가깝다.
Now, I am writing a book on teaching and spreading out investments to live, not live but how they live is what will live on what is the answer. The answer is not what. Love is all encompassing embrace the concept. I personally see that there is no superset of love. How difficult is it said that. Some people hate me, I also love the one that is emotional as human beings can be really mean? I love myself because I do not think that looking at a little more than a yeokjisaji close.

결혼을 하면서 아이가 생기면서 나 혼자와 다른 무엇으로 사는가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나오지 않을까 한다. 혼자라면 얼마든지인데, 식구들때문에 쉽사리 선택하고 결정할 수 없고 홀가분하게 할 수 없다는 비겁한 순간이 많아진다. 나 혼자 망하면 되는데 남은 식구들에게 최소한 어려움을 주는것은 아니지 않나싶다. 나라는 사람은 그렇게 볼때 가족으로 사는 것일까? 이것도 아니다. 가만히 나를 보면 아무리 내 가족이라고 해도 결국에는 내가 먼저인 순간이 많기 때문이다. 엄마가 아닌 아빠라 그런 듯 하다. 엄마가 더 위대하다. 아빠가 뭐라고 해도.
The advent of the child is married or live alone and other things of wonder about the questions and answers appear. Much as would alone, which easily select the FAM can not be determined because it can not be a coward holgabun moment increases. Which falls to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myself that at least it's not difficult to like is not it. So judging by the people of the country live geotilkka family? This is also not Look at me, be it ever so quietly in my family there are many moments before the end, because I am. It seems to be called mom, not dad. The mother is great. Dad clearly.

대답이 없는 아니, 답변하기 힘든 현 상황에서는 더이상 물고 늘어지는 것은 무의미할 듯 하고 머리속에 넣고 뜨문 뜨문이라도 떠오르면 되지 않을까 싶다. 한편으로는 답을 찾는다고 해서 달라질 인생이 될 것같지도 않고.
No there is no answer, the answer is hard to increase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t is no longer biting the head seemed pointless to put tteumun tteumun Would not want any strikes. On the one hand finding the answers that would be unlikely to vary without life.

'사람에겐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와 '바보이반'은 욕심에 대한 이야기다. 인간에게 꼭 필요한 의식주를 제외한 것들은 얼마나 더 욕심을 갖고 사느냐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진다. 또한, 가장 필수적인 의식주를 제외한 의식주마저도 인간의 욕심에 의해 과시욕구와 자기 만족을 채워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살아 생전에 좀 더 많은 땅을 가지면 그만큼 풍요롭게 살 수 있다. 권력과 자본이 있으면 이 역시도 남부럽지 않게 살 수 있지만.
"How much land do we need for someone" and "Ivan the Fool" is a story about greed. Food, clothing and shelter to humans, except for essential ones, depending on how much more greedy satisfaction saneunya have changed. In addition, except for the most essential creature comforts creature comforts, even by human greed and the desire to show off and filled with self-satisfaction is often not known. Lifetimes Having more land so I can buy enriched. If there is a yeoksido decent power and capital, but not to live.

얼마나 이 욕심과 욕망과 기본적인 욕구를 잘 다스려서 살아가느냐가 인간의 행복과 궁극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더 가질수록 더 좋은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본능이다.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무의미하다고 말하지만 그걸 말하는 사람들도 그만큼의 소유를 했느냐의 여부가 문제이고 그만큼 소유를 해 본 결과에서 나온 통찰인지 여부도 확실하지 않고 가지지 못한 자의 체념인지도 모른다.
The greed and desire and how well the basic needs of human happiness dozen hit .... bothering our lives and ultimately connected. Have, the more the better is a basic human instinct. Once again, above a certain level it is meaningless to say that the people who did so, whether the issue of ownership and possession of the much insight from this result is unclear whether the parties could have maybe even resigned.

그렇다해도 결국에는 자신의 결정이 중요한 부분이다. 금으로 모든 것을 만들 수 있는 왕이 자신의 욕심만큼 가질 수 없는 역설적인 상황에 빠지는 것처럼 욕심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것이 소유의 문제이다. 하긴, 소유냐 존재냐라는 철학적인 명제가 있을 정도이니 이 부분은 인간의 오래된 화두일 듯 하다. 개인적으로 각자 알아서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Even so, in the end is an important part of their decision. King of all that gold can make that can not have enough of their greed paradoxical situation as being in possession of it is greed alone can not solve the problem. Indeed, the presence of ownership Nha Nha enough a philosophical proposition is part of the human being are you seem to be one of the old buzzword. Need to be addressed personally take care of their part.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사람에겐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 '바보이반'은 쉽게 읽을 수 있는 어른들을 위한 동화라고 할 수 있는데 우습게 여기고 볼 수 있는 책이 아니다. 톨스토이라는 시대를 통찰하고 혜안을 가진 위대한 성인이 우리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라 말이다. 연말에 본 마지막 책으로 쉽게 보고 가볍게 읽었지만 울림은 몇 천페이지의 책과 비교하여 떨어지지 않는다.
"What men live" "How much land do we need for someone 'Ivan the Fool" is a fairy tale for adults that can be read easily it can be seen in the book, which is not considered funny. Tolstoy and acumen with a great insight into the times we hear a story called adult said. In this last book of the end of the year, but the sound is easily seen and read a few thousand lightly-page book does not fall in comparison to.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