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마스터리의 법칙 - 내 목소리를 들어(Mastery - For my voice)


로버트 그린의 마스터리의 법칙은 많은 자기계발서에서 언급하는 내용을 좀 더 깊이 들어가 우리에게 알려준다. 가장 유명한 아웃 라이어의 1만 시간의 법칙을 로버트 그린만의 시각으로 우리에게 마스터가 되라고 이야기를 한다. 1만 시간을 넘어 2만 시간까지 이야기를 해 준다. 
 Law of the village of Robert Greene, tells us to enter more deeply what is written in the self-development book many. I talk to become a master to us only from the point of view of Robert Green's Law 10,000 hours of the most famous outliers. The more than 10,000 hours, can you talk to 20 000 hours.

다른 자기 계발서적들이 말랑말랑하게 자신의 내용을 전달해 주는 편이라면 로버트 그린은 무겁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전작들도 전부 쉽게 읽을 수 있는 내용보다는 좀 진지하게 읽을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마스터리의 법칙도 한 분야에 대해 마스터를 하는 방법에 대해 가볍게 다루고 언급하고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깊고 깊게 파고 들어 보다 세부적으로 나눠 이야기를 한다.
 If the person who self-help literature of other willing to transfer the contents of their own Hoya Hoya, Robert Green is a method to deliver the big story. The process proceeds to mention treat lightly how to master the field Na also Law Mastery as if it consists of content that can be not the content that can be easily read all the previous work, reading seriously some So instead of, you can dig deeper and deeper, to talk is divided into more detailed.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있어 오래도록 노력하고 인내하고 참으면서 또 노력하고 인내하며 지속적으로 한다면 일정 경지에 오르는 순간내지 일정한 경지에 서게 되는데 이런 힘을 마스터리(Mastery)라는 명명한다. 마스터리라는 단어가 원래 있는지는 모르겠는데 로버트 그린이 만들어 낸 단어 비슷해 보인다.
 It means that you stand to Zen-like constant or moment and patience are committed while still endure with patience by between effort in a long work that I want to, go up to the Zen-like constant if on an ongoing basis, but Mastery (this power I named Mastery). I do not know what is in the first word mastery, but it seems that it is similar words Robert Green produced.

이러한 부분은 아웃라이어를 비롯한 다수의 책에서 이미 언급을 한 내용이다. 일정 수준이상으로 실력을 갖고 남들과 다른 수준에 오르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동안 노력하고 인내해야만 마스터리라는 수준에 오를 수 있다는 걸 말이다. 그저, 막연히 참고 노력하면 된다고 하는 것이 다른 책들이 전하는 내용이다.
 These parts, but what you have already mentioned in many books, including the outliers. In order to go up to another level with other people with a skill above a certain level, it would be being able to go up to the level of mastery If you have to patience and effort for a long time. However, is that you try to see vaguely, it's what other books tell.

몇 몇 사례를 통해 어떤 식으로 사람들에게 칭송을 받는 존재가 되었는지 간략하게 알려주는 것으로 가볍게 다루고 있는 책에 비해 '마스터리의 법칙'은 아예 몇 몇 사람을 선정하여 그들의 인생을 전체를 조망하고 각 분야에서 성공하기까지 시련과 좌절을 극복하고 마스터리의 경지에 이르게 된 과정을 상세하게 밝혀주고 있다.
 Law "of 'mastery compared to this you are dealing lightly that it easily shown that through some cases several, found: How receive the praise to people, selected a few people from the beginning , to overcome the trials and setbacks to view full their lives, to be successful in various fields, it is clarified in detail the process that led to the Zen-like mastery.

막연히 참고 견디면서 노력을 한 것이 아니라 책의 사례로 등장한 인물들이 어떤 방법으로 참고 견디면서 노력했는지를 개인별로 각 챕터에 맞는 주제로 알려주면서 다른 챕터에서 다른 주제로 같은 인물의 다른 면을 알려주면서 이런 방법, 저런 방법을 통해 마스터리에 이르는 과정을 알려준다. 무조건, 참고 견딘 것이 아니라 연관성이 없을 것 같은 것들도 전체 인생과 자신이 도전하는 분야에 있어 결국에는 도움이 되는 방향이였다는 것을 알려준다.
 Notify the theme suitable for each chapter on an individual basis that you are striving to endure as which person who appear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rather than did the effort to endure with patience vague be patient, other notifies the other side of the same person in a different theme in the chapter, tells us the process leading to mastery way, in such a way like this. In areas and their full life to challenge, things unconditionally, like there is no relevancy rather than endured with caution also tells us that there was a direction to help in the end.


책에는 상당히 많은 인물이 소개되지만 책의 분량을 생각하면 적은 대략 20명 정도의 인물로 우리에게 마스터리에 이르는 과정을 알려준다. 소개되는 인물로는 다윈, 에디슨, 모짜르트, 라이트형제, 아인슈타인, 괴테, 레오나르드 다빈치와 같은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위인들로부터 현재 생존해 있는 인물로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산티아고 칼라트라바, 대니얼 에버렛, 폴 그레이엄, 빌라야누르.S.라마찬드라, 프레디 로치, 세자르 로드리게스 주니어등을 소개한다.
 In this, a lot of persons are introduced very, tells us the process leading to the village to us in person as small as about 20 people given the amount of this. The person, which is covered, from great to be able to know even heard only the name Darwin, Edison, Mozart, Wright Brothers, Einstein, Goethe, such as Leonardo da Vinci, a person that is alive currently, each Santiago Calatrava click there representing the distinguished himself in the field, Daniel Everett, Paul Graham, villa. I introduce S. Rama Chandra, Freddie Roach, and Cesar Rodriguez Jr..

여타의 책과 달리 책에 소개된 인물들의 일대기를 아예 알려준다. 그런 후에 각 주제에 맞는 소재를 끌어들여 다시 그 인물에 대해 어떤 방법으로 노력했는지를 알려준다. 어떤 방법으로 결국에는 마스터리의 경지에 이르게 되었는지 알려주면서 꽤 흥미롭게 읽을 수 있게 만들어준다. 살아있는 생생한 사례를 소개하고 최근 인물들까지 알려주니 더욱 개인의 이야기 자체에 빠져 읽게 만들어 준다.
 Unlike other books, I will tell from the first biography of a person who was introduced to this. After that, it will tell you how you are striving for that person to go back to pull the material that matches the theme of each. It will notify you in any way, in the end, it has reached the Zen-like mastery, can you use to read that it is very interesting. Introduce a vivid case alive, if I know to person recently, can you read it plunged into the story itself of individual further.

어떤 법칙을 통해 마스터리에 이르는지 마스터리를 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직접 책을 읽고 하나씩 하나씩 직접 확인하고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야 할 테니 말이다. 거듭 이야기하지만 다른 책들이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그렇게 노력해야 한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는 것과 달리 '마스터리의 법칙'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Those who ignore details that inform you whether you can make a mastery or mastery to reach through the law of some seem good. By the book direct, It is because I should have the time to think as we confirm with their own little by little. It is a story of stacked, but unlike news that this other is a law of 10 000 hours, and to talk it seems like it is necessary to strive to that, law "of 'Mastery, concrete I have presented a method.

위대한 인물들이 어떤 식으로 마스터리를 갖게 되었는지를 알려주고 마스터리를 향하는 과정에 겪는 혼란, 어려움, 좌절, 실패, 실수, 시련등을 극복한 과정을 알려주고 이에 도움이 되었던 스승과 인물들의 마음가짐과 삶에 대한 태도, 어릴 때부터 자라면서 경험했던 것들이 어떤 식으로 인물에게 적용이 되고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Tell the process that overcomes confusion to experience in the process towards the village news you how great man who has a mastery, difficulty, frustration, failure, mistake, trials, person and our teacher who served in it how those attitudes and life attitudes of experienced growing up from childhood is applied to the person, tells us also about how Kichotonun the impact.

책을 3분의 2 정도를 읽다가 문뜩 든 생각이 책에 소개된 인물들은 한결같이 부모의 영향력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았다는 것이다. 일부 부모는 자녀를 위해 여러가지 해 주기도 했고 어떤 부모는 원하지 않는 것을 강요하기도 하고 자신의 욕심에 자녀를 휘둘리기도 했지만 책에 소개된 인물들이 어릴 때 예외없이 부모로부터 받은 영향력이 엄청나다는 것이다. 최소한, 부모가 자녀에게 직접 무엇인가를 해 주지도 않았어도 큰 길을 보여주고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는 것이다. 
 Person who was introduced to this book I thought suddenly If you are reading about two-thirds of the book I was not free from the effects of never parent uniformly. When young, some parents exception a person who was introduced to the book you can force that the parent of some variety was me or done for the children do not want to, you also can swing the children to greed of their own it would be no, there is very much influence you have received from the parent. At the very least, without me the parent is something directly to the child, and that he presented a direction shows a big way.

'마스터리의 법칙'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지만 내 눈에는 그런 내용이 들어 왔다. 아마도, 자녀들의 부모라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결국 자신들의 길을 훌륭히 간 인물들이지만 어릴 때 부모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내 눈에 들어와 '마스터리의 법칙'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을지라도 눈여겨 보게 되는 부분이였다.
 Law "of 'Mastery, did not mention at all about this part, but do not know in my eyes, something like that came. Perhaps, also, whether the parents of the children. Myself finally it is the person who went to fine the way guys but, even if not direct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impact of parents when I was a child "law of the village" came in to my eyes, in the part that is noteworthy display there was.

'마스터리의 법칙'은 읽으면서 참고할 것들이 있고 현재 걸어가는 길에서 힘들고 어렵더라도 마스터리의 법칙에서 나온 여러가지 사례와 법칙을 기억해야겠다는 생각은 들었는데 이상하게도 리뷰를 쓰려고 하니 마땅히 쓸 말이 별로 없는 조금은 특이한 책이다. '내 안에 숨겨진 최대치의 힘을 찾는 법'이라는 소 제목처럼 읽으면서 힘이 다 소진되었나 보다.
 Think there is something to be helpful to read the law "of 'mastery, is very difficult on the road to walk the current, but that they must remember the law cases and various came out in the law of Mastery wonder heard power has been or used up while reading to a small subject and that "to get the strength of the maximum value hidden in me." is a book that has changed a little bit not much to say in use of course because I try to write reviews such than.


관련책(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