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읽고 생각하고 쓰기 - LQ(Literacy intelligence Quotient)


읽고 생각하고 쓰다를 책에서는 LQ라고 표현을 한다. Literacy intelligence Quotient의 약자라고 한다. 책의 저자인 송숙희씨는 글쓰기 코칭으로 유명하다. 글쓰기 코칭 역사까지 알지는 못하지만 저자의 표현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글쓰기코칭의 개척자라고 한다. 글쓰기로 먹고 살았고 현재는 글쓰기를 가르치고 있으니 글쓰기에 대해서는 독보적인(?)로 보인다.
 In the present to write to think to read, to the representation and LQ. That it stands for Literacy intelligence Quotient. Sonsukufui who is the author of the book, is famous for writing coaching. I do not know the history of writing to coaching but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he author, is a pioneer of writing coaching in Japan. If you are living to eat to write, because it teaches the writing is currently in writing, unmatched it is (?)

책을 쓰라고 이야기하는 책으로 책을 쓰기 전에 해야 할 것들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글을 쓰는 책에 대해 많은 책을 읽은 것은 아니지만 '읽고 생각하고 쓰다'는 객관적이고 냉정하게 이야기를 해 준다. 글을 써야겠다는 뜨거운 마음을 만들어주는 선동적인 내용은 없지만 차분하게 선생님이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해 알려주는 느낌이 든다.
 It is a book to be notified about what does not before you write a book in the book states that you have to write a book. "Writing to think and read" I have not read many books on this to write a statement, can you talk calmly and objectively. There is no content seditious makes us the passion of writing a text, but feel you want to signal that the teacher to write the sentence calmly to.

'다문다독다상량(多聞多讀多商量)'이라 하여 중국의 구양수가 많이 듣고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하면 글을 잘 쓴다고 한 유명한 말이다. 이에 대비하여 저자는 읽고 생각하고 쓰라고 표현을 한다. 읽는다는 것이 먼저 나온다. 그만큼 읽는 다는 것이 중요하고 제대로 읽는 다는 것이 어렵다고 이야기해준다.
 And "(multi-闻多 读多 commercial quantity) knowledge extensive reading Dasanryan", given a lot to read a lot Ouyang Osamu in China has been heard a lot, it is a famous quote that you write good sentences. In preparation for this, the author, to express to write to think and read. Come out ahead to read. Can you talk to read so is important, to read properly is difficult.

많은 사람들이 책이나 글을 읽지만 오독하는 경우가 많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파악하는 사람이 드물다고 한다. 그러하니, 엉뚱한 이야기를 한다. 정작, 책에서 말하는 바를 이해하지 못하니 책을 읽었으되 할 말이 없고 쓸 글이 없게 된다. 책을 많이 읽은 사람들조차도 제대로 글을 소화하지 못한다. 책을 읽었지만 그가 하는 이야기는 자신의 이야기가 아니라 책에서 발췌한 표현을 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이것은 책을 읽었다고 할 수 없다. 
 If a lot of people read the documents and this but you are misreading a lot, people who know what it means that unusual. If you think so, to talk outrageous. If you do not expect ever to reading this emergency, and did not understand the bar referred to in the present, I want to say, write statement can not be. It does not digest the text properly even people who read a lot of books. I read the book, which is not a story of their own, his story does not assume the end by making a representation taken from this. This, never read a book.

글을 읽고 저자가 주장하는 바와 상관이 있든 없든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가져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 책을 제대로 읽지 못한 것이니 읽었다고 할 수 없고 자신의 생각이 없으니 글을 잘 쓸 수 없다. 그런 이유로 먼저 읽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읽지 못하면 생각을 깊게 할 수 없고 쓸 꺼리가 없게 되는 것이다.
 Regardless of whether the relationship so that the authors claim to read the text, with a clear idea of their own, but not have read it because it is a thing you can not read properly the book otherwise, the sentence because there is no thought of their own it is impossible to write well. That's why, to read first is important. If not read, it is not possible to deepen the idea is of not willing to write.

읽는 것이 이처럼 중요한데도 여전히 사람들은 읽지 않는다. 읽어도 건성 건성 읽으니 소화를 못하고 단 맛만 보고 뱉는 것과 같은 상황에 이뤘다고 할 수 있다. 책의 내용이 어렵고 쉬운 것을 떠나 얼마나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드느냐가 중요한데 사람들은 무슨 책을 읽었다는데 더 중요한 방점이 찍여있는것은 아닐까 한다.
 It is important as this to read, but people do not read yet. It may be that it was done in the situation can not be digested and Translation Drying even read like vomit just looking only taste. I think the contents of this is difficult, did the stuff completely how much to leave the simple things is important, but people to read any book, more important neighbor's Chikuyo is or not.

사실, 나같은 경우에는 책을 읽으면서 굳이 생각하지 않으려 했지만 책을 읽다보면 저절로 생각이 난다. 내 생각에는 책을 많이 읽으면 저절로 그러한 단계로 진입한다고 보는데 책의 저자는 많이 읽은 사람들도 그러하다고 하는 표현을 한다. 아마도, 서로 책을 많이 읽는다는 것에 대한 개념이 달라 그럴 수도 있어 보인다. 
 In fact, if like me, while reading a book, it was not to think dare, but remember naturally and is reading a book. In my opinion, the author of the book of the mill and enter the stage like that naturally If you read many books to the expression that people who read much to be the case. Perhaps, it seems there is also such a thing to the concept of reading a lot of books to each other are different.

그렇다고 이 책은 책을 읽는 것에 대해 알려주는 책은 아니다. 책을 쓴다는 것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 책을 잘 쓰기 위해서는 - 어떤 방법들이 있는지에 대해 알려주는 책인데 가장 중요한 것은 책을 읽는 것이다. 읽지 않고 생각할 수 있지만 평범한 사람들이 뇌에 자극을 주는 것도 없는데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읽는 것이다. 뇌의 자극을 받아 생각하게 만들고 이를 글로 풀어내는 것이다.
 Yet this book is not a book that tells you to read a book. It is a book to inform you that you write a book. In order to write a good book - - To do this is a book that tells what kind of way, and most importantly, reading this. It can be considered without reading, but do not think though never ordinary people stimulate the brain. So, I read. Create to think in response to the stimulation of the brain, it's global pay out.

오랜 시간동안 글쓰기 코칭을 하여 그런지 정확하게 글을 잘 써야 하는 것에 대해 법칙같은 것도 소개하고 저자가 만든 - 인용인지도 모르겠지만 - 여러 개념들을 소개한다. 외우기 쉽게 다양한 말을 조합하여 알려주는데 솔직히 너무 많다. 정확하게 몇 가지만 알려주는 것이 기억에 오래도록 남을 듯 한데 워낙 소개하는 새로운 조합어들이 많아 좀 벅차다.
 It also introduces a kind of law about what you want to if you have to use well the text exactly a long time, or that so and the guidance of writing, the author has created - to introduce some concepts - you do not even know quote to. Taught by a combination of simple words to remember, but too many to say frankly. To inform some pointers exactly seems to remain long in the memory, but new word combinations to introduce too many, and a little daunting.

글을 잘 쓰는 방법중에 저가 소개하는 게 블로그에 글을 쓰는 것인데 이 부분은 꾸준히 하고 있고 글을 잘 쓰는 단계에 있어 끝에서 두번째가 리뷰를 쓰는 것이고 마지막이 칼럼을 쓰는 것이라고 하는데 이 두 부분도 현재 하고 있으니 최소한 글을 잘 쓰기 위한 노력은 하고 있다고 스스로 보여진다. 무엇보다 이 리뷰도 그렇지만 온전히 책을 읽고 책에 대한 내 생각을 가감없이 쓰고 있으니 말이다. 
 It is to write a blog post I have to introduce in the way of writing good statement, but We are in the process of writing well the statement has been steadily, this part, the last column by writing a review of the second from the end is in writing, of two parts because the current, can be seen on your own and you have the effort to write a good statement at least. More than anything, this post is also being said that we're writing without moderate the idea of my book reading a book in decent.

다만, 내가 현재 부족한 것은 거의 대부분 글을 쓰면 나는 더이상 퇴고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곧장 블로그에 올리고 - 아예 블로그에 쓰고 곧장 저장한다 - 리뷰를 쓴다는 것이다. 글을 잘 쓰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는 대부분의 책들이 이 퇴고의 과정에 대하여 그토록 중요하게 이야기하고 유명한 작가들의 말까지 인용을 하는데 아직까지 나는 그 단계에는 오르지 않았다. 솔직히, 귀찮다. 단, 책을 펴내기 위해서일때는 쓴 글을 갖고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퇴고하는 과정을 거치려고 한다. 블로그나 리뷰는 지금처럼 한 번에 쓰고 끝낼 것이지만.
 However, I have currently missing here: I write a sentence almost raised to blog straight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precision - No more will write a review - to be saved straight blogged completely . Most books that introduce how to write good statement, important story that way about the course of this precision, in order to quote to words of a famous writer, I did not rise to that stage yet. To be honest, it's troublesome. However, when the Pyonegi for the book, trying to through a process that examined on an ongoing basis to have what you wrote, is precision. You will end up writing at a time like now reviews and blogs.

문학작품을 쓰는 사람들을 위한 글쓰기가 아니라 실용적인 목적으로 글을 써야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책들을 읽어보니 책 제목과 같다. 많이 읽고 생각하고 쓰라는 것이다. 사실, 너무나 당연하고 당연한 이야기다. 백지상태에서 무엇인가 샘솟듯이 흘러나와 글을 쓸 수는 없다. 읽어야 머리에 무엇인가 들어가고 머리에 들어온 무엇인가 쌓이고 쌓여 생각이라는 것을 하게 되고 그러다 견물생심이 생겨 글을 쓰게 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내가 그러했듯이. 모든 독자는 작가라는 표현처럼 말이다. 이 말이 꼭 그런 말은 아니겠지만.
 Rather than writing for people who write literary works, it seems the title of the book and I read a book intended for people that if I have to write sentences for practical purposes. That you choose to believe that read a lot, in fact, the story of the natural course too. You can not write a sentence in the flow of Samusotodo~uto something from scratch. I think or not that Kyung Nmu Pedersen shim can be likely to be a thought piled estimates something that came into my head after entering something in my head to read, to write the statement. Seemed to me so. All readers, seems to be the expression writer. It will not always say this word.

읽으면 생각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도 충분하다. 거기서 한 발 더 나가 쓰기 시작하면 다른 영역이 생기게 되는데 읽고 생각할 때는 막연하고 뜨문 뜨문 떠오르는 편린들이지만 글을 쓰면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집중하게 된다. 나같은 경우에는 덕분에 글을 쓰게 된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는데 일련의 과정들이 자연스럽게 진행이 되었다. 그런데, 관련 책들을 읽으니 그런 과정으로 책을 쓰라고 한다. 
 You will be considered to be read. It is sufficient in this state. There, if one step I have started writing, it's To~umunto~umun emerged glimpse vague when you think to read the other areas will be created, but it is to be precise focus more specific when I write a sentence. If like me, you have came to write the text Thanks, helped a lot, but the course of the series was to proceed naturally. However, it is to write a book in such a process when you read a book related.

일부러 하려고 하는 것보다 무엇인가를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진행이 되는 것처럼 좋은 일도 없지 않을까한다. 글을 쓰기 위해서는 그런 이유로 읽고 생각하고 써야 한다. 이제는 점점 자신만의 브랜딩이 중요한데 책을 쓰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주구장창 주장하는 바가 바로 평생 먹고 살기 위해 글을 써 책을 펴 내는 것만큼 좋은 것이 없다고 한다. 나로써는 그렇게 조금씩 조금씩 가고 있는 듯 하다. '읽고 생각하고 쓰다'의 저자만큼은 아니라도.
When you do something than to try to bother, do not think it 's that do not even have things like that to proceed naturally. In order to write an article, read the reason, you must use to think. That it is not in good enough to put out to open the book and write a sentence to where people now, branding your own is important more and more talking to write a book is long spear claim at hand is going to eat life exactly. It seems to have done little by little so I like it. Even if not only author to write to think to read ".




읽고 쓰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