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음식없이 나를 위로하는 50가지 방법 - 음식으로 풀지마라(50 ways to soothe yourself without food - Please not solved the food)


음식을 먹는다는 것은 원초적인 본능이였다. 인간이 몸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인가를 먹어야 에너지를 쓸 수 있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기에 음식을 먹는다는 것은 거부할 수 없는 절대적인 인간의 생존본능이였다. 또한, 예전에는 풍족하게 먹을 수 있는 환경이 안 되었기에 최소한도의 음식을 통해 인간은 생존했다.
 That we eat the food, was a primitive instinct. In order to maintain the human body, eating food because it is possible to obtain energy which can use the energy to eat something was survival instinct of human absolute can not be denied. In addition, the environment in which you can eat rich once since it has been there, people survived through the food minimum.

갈수록 음식은 풍부해지면서 단순하게 인간의 생존을 위해서 먹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를 풀기위해 먹고, 무의식적으로 손에 잡혀 먹고, 단 것이 땡겨서 먹고, 걱정을 풀기 위해 먹고 자신에게 보상을 주기 위해 먹는다. 다양한 이유로 다양한 음식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섭취한다. 
 Food becomes increasingly rich, instead of eat for survival of human simply, in order to eat in order to solve the stress, eat it take to hand unconsciously, to eat sweet Tengyoso, to solve the worry eat to reward yourself to eat to. Consume in a variety of ways to a variety of dishes for a variety of reasons.

예전과 달리 현대의 음식은 인공적으로 만든 면도 있어 인간에게 과다한 영양소를 공급하여 적정 몸무게를 초과하는 몸무게를 보게 되고 보기에 훌쩍한 사람들보다는 과체중 이상인 사람이 많아졌다. 배가 고플 때면 먹어도 과체중이상으로 몸무게가 늘어나지는 않을 것이지만 배가 고프다는 생각도 없이 먹기도 한다.
 Unlike before, there is also surface that was artificially created, food of modern, or more overweight than those who were fluffy and supply the extra nutrients in human beings, to look at the weight exceeds the appropriate weight people increased. Sometimes thought weight would not have increased in more than overweight to eat but stomach that are hungry when stomach is bitter and eat without. .

문제는 실제로 배가 고프지 않는데 배가 고프다는 착각을 하고 먹는 것이다. 이런 것은 몸에서 보내는 신호가 아니라 머리에서 보내는 가짜 신호를 착각하고 배가 고프다면서 먹게 된다. 이럴 때는 단순하게 먹는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보다 맛있고 입에 맞는 것을 찾을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살기 위해 먹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The problem is to eat with the misunderstanding stomach is hungry even though not actually hungry. Rather than the signal from the body, this is eaten hungry to misunderstand the false signals to be transmitted in the head. When such, eating simply is not important, there is no choice but to find something palatable more delicious. This is because not intended eat to live actually.

배는 부르나 무엇인가를 먹어야 하거나 배가 부르지 않고 무엇인가를 먹어야 할 때 사람들은 인스턴트나 혀를 자극하는 음식을 선호하게 된다. 먹는 다는 것이 생존을 넘어서는 순간부터 먹는 것 자체가 병이 되어 버렸다. 먹는 것은 절제하지 못하거나 자신에게 일어난 문제를 회피하고 도망가고 잊고 싶어 먹는 것으로 풀어버리고 폭식까지 하게 된다.
People, learn to like foods that stimulate the tongue and the instant when you eat something you call, to eat something stomach without calling ship. From the moment that you eat is greater than the survival rate, as you know, to eat fell ill. Eating can not be excised, resulting in up to gluttony discarded release by eating you want to forget to run away or to avoid the problem that happened to themselves.


'음식없이 나를 위로하는 50가지 방법'은 음식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 권해주는 책이다. 자신의 문제를 음식으로 해결할 때 개인이 소장할 수 있는 에너지를 넘어서니 저절로 몸이 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해 반응을 하고 불어난다. 또는, 과도한 음식 섭취후 억지로 게워낸다. 현대에 들어와서 이런 몸매는 존경의 대상이 아니라 손가락질을 받고 병의 일종으로 취급받기까지 한다.
 "50 ways to me without food" is a book that had you invited to the people you are trying to resolve the food. The ballooning by the reaction for the body to store energy naturally you beyond the energy individuals to resolve in cooking their own problems are holding. Or, excessive food intake after out regurgitate force. The style such is not subject respect to it before they considered as a kind of disease in response to the pointing of entering the modern.

실제로도 먹는다는 것은 배가 고파 먹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우리 뇌에서 보내는 가짜 신호를 착각해서 먹는다고 한다. 이렇게 먹는 것을 참지 못할 때 먹지 않기 위해 단식과 같은 다이어트를 통해 강제적으로 몸에 음식을 넣지 않는 많은 방법이 있는데 이 책에서는 먹는다는 것은 결국 인간의 뇌에서 보내는 신호이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Also in fact, eat it rather than eat hungry, and of eating by mistake the false signals to be sent to our brain always. There are many ways that do not put food on the body to force through the meal, such as fasting in order to not eat when you can not stand to eat like this, but in this book, that you eat, the human brain ultimately it is said that since the signal from, and should be solved mentally.

먹고 싶을 때 총 50가지에 따른 방법을 통해 먹고 싶다는 욕구를 해소하거나 회피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억지로 먹지 않는 것보다는 이 방법이 보다 현실적이고 확실한 방법이라 생각은 되지만 의지가 약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먹는다는 것에 대한 본능을 거슬려가면서 할 수 있는지 여부는 솔직히 책을 읽으면서도 반신반의는 하게된다.
 Can you tell me how to or eliminate the desire to eat in a way that achieves the 50 kinds total when you want to eat and avoid. Than not eat force, whether you can while really annoying the instinct to eating to people of almost weak will to this method may be the thought that it is a sure way more realistic, the book frankly it is as dubious even read.

책에서는 '심리적 허기'라는 용어를 쓴다. 육체적으로 허기가 진 상태가 아닌데도 심리적으로 허기가 진 상황임에도 심리를 통해 해결하려 하지 않고 당장 눈 앞에 보이는 물질로써 풀어버린다. 그것도 가장 만만하고 즉각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는 음식을 통한 포만감으로 아주 아주 잠시라도 잊으려고 하는 것이다. 
 In this, I use the term "psychological hunger". And without trying to resolve in psychology also situation hungry psychologically also do not have a state hungry physically, resulting in the release as a substance visible in front of you. It also is to try to forget even a little very very feeling of fullness you through the food that you can see the effect immediately in full of the most.

포만감을 찬 후에는 다시 심한 모멸감이나 자책을 하게되고 스스로가 한심하지만 다시 또 이러한 상황에서는 똑같은 행동을 되풀이하는 것이 인간이다. 여기서 방법은 안 먹는 것이다. 막연히 먹지 않겠다고 하면 인간은 더 많은 에너지를 쏟아부으면서 결국 인간 스스로 에너지를 필요로 하여 굴복하게 되는 것이다.
 After kicked satiety, their miserable to look like ERA and offensive feeling intense again, in such a situation, repeating the same actions are a human many times. Way here, he do not eat. If it is assumed that not eat vaguely human is that while pouring pouring more energy, resulting in need of human energy itself eventually.

이럴 때 책에서 말한 50가지 방법으로 먹는다는 것에 대해 잊거나 음식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심리적 허기를 메꾸는 것이다. 심리적으로 허기를 느끼는 것이라 음식을 통한 포만감이 채워지지 않아도 된다. 읽다보면 괜찮다고 생각되는 방법도 있고 정말로 이 방법으로 먹지 않게 될까라는 의구심이 드는 것도 있다. 나같은 경우에는 도저히 그 방법으로 식욕을 해소할 수는 없을 듯 해서 말이다.
 If you forget to eat in the way of 50 types was told in the book of time like this, not the food, it will fill the hunger psychological in other ways. Feeling of fullness through the food that you feel hungry psychologically may not be met. Sometimes question is whether to become not to eat in this way really Another way to do this seems to be nice and I read it takes. It has to be impossible to eliminate the appetite so very If you like me.

현대인들에게 음식은 단순하게 생존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먹는다. 결국에는 심리적인 문제로 치부할 수도 있다. 틀린 말도 아니고 말이다. 매 끼니를 먹을때 많이 먹는 것도 심리적인 허기때문인지 모르겠다. 먹는 것으로 해소하지 않는 나로써는 식사할 때 많이 먹는 스타일이라서 말이다. 이건, 방법이 없을 듯 하니 최소한 심리적 허기라도 이 책을 통해 피하고 보자.
Food, rather than for survival simply eating as a means to eliminate the cause various modern people. It is also possible to clear a psychological problem eventually. It is the word, not the word wrong. To eat a lot when you eat every meal I do not know for hungry psychological. It is after all a style to eat a lot at the time of the meal as I have not solved by eating. This is because as there is no way, even on an empty stomach at least psychological, Avoid this book.


관련책(클릭)      

협찬받아 읽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