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리츄얼 - 마음보다 몸(Ritual - the body than mind)


리츄얼(ritual)은 제사, 의식, 절차라는 뜻을 담고 있다. 자주 쓰는 표현에서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는 말이 있다. 흔히, 연인관계인 사람들이 서로 자주 볼 수 없는 장소에 있으면서 연락도 뜸해지면 저절로 상대방에 대한 감정이 점점 식어 결국 헤어질 때 쓰는 표현이다. 하지만, 한국과 미국에 살고 있으면서도 얼마든지 서로 연락을 주고 받으며 사랑을 키워가는 경우도 있다는 걸 보면 몸이 문제가 아니라 마음이 문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만.
 Ritual (ritual) sacrifices, rituals, procedures, means holds. Words are frequently used expression in the body that drifted too far from the heart. Contact moxibustion becomes lover relationship people can not see each other often stay in a place, often getting feelings for each other spontaneously cools and eventually break up when first expressed. But living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ut also realize that taking care of it to keep in touch with each other and loving the body, mind this is not a problem, but the problem whether the idea costs only.

가끔 책을 읽다 책의 표지로 다시 돌아가서 책을 지은 저자가 누구인지 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책을 미리 읽어본 다는 것은 말이 안되기에 저자가 지은 다른 책을 이미 읽었다면 어느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그렇지 않은 저자일 때는 책을 읽다 책의 저자에 대해 다시 한 번 궁금할 때가 있다. 거의 대부분 부정보다는 긍정적인 의미로써.
 Sometimes reading a book to see if you who go back to the cover of the book, the authors built the book. Built by the authors say should have already read the other books that you read this book that how much you think you know, but if one author did not have time to read a book about the author of the book, once again wondering when Almost as a negative rather than a positive sense.

책은 무척이나 많은 실험에 대한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다. 저자 자신의 이야기도 하고 있지만 저자가 주장하는 바를 보다 공신력있게 하는 방법중에 하나가 유명인의 명언으로 이야기를 시작하거나 이름은 잘 몰라도 어딘지 믿어야 될 것은 같은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이야기하여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 경우가 있다.
Book really is full of talk about the many experiments. Not believe to be where the author's own story, but what the author is claiming more than one way to allow credible Celebrity Quotes of the story well without knowing the name or start to make claims of their own to talk abou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f scholars such as there are

여러 단락에 걸쳐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는데 있어 관련된 연구를 설명하는데 읽으면서 그 많은 연구를 일일히 다 찾아가며 쓰느라고 고생을 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마음이 먼저이고 몸은 그 이후에 따라오게 되어있다는 생각과 달리 마음이 움직이지 않아도 몸이 움직여 하게 되는 경우나 마음과 달리 정 반대의 행동을 하는 경우나 마음이 알아채기도 전에 먼저 몸이 행동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것을 다양한 연구결과를 통해 알려준다. 그 이후에 별도 부록처럼 저자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Want to talk to the description of related research across several paragraphs to read as many studies find the transcript of the gamyeo you're asking for trouble with writing a thought. Mind that we often think first and your body to come along since then, the idea that, unlike Unlike my mind, if you do not move your mind and body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ehavior that if my mind Before you know it, are considerably if the first body to act that is done through a variety of research results. Is composed thereafter as a separate appendix to the story of the author's own.

한편으로는 저자 자신의 이야기보다는 거의 대부분의 지면을 각종 학자들의 실험과 연구결과에 대해 알리고 있어 조금은 건조하다. 분명히 영양분을 섭취하기는 했지만 이상하게도 몸에 영양분이 제대로 골고루 퍼지지 않은 느낌이랄까? 아니면, 맛있는 음식을 먹어야 하는데 입 안에서 제대로 음미하지 못하고 꿀꺽 삼킨 느낌이다. 분명히 몸에 들어온 영양은 내 몸에서 제대로 공급을 하겠지만 말이다.
 The other hand, the author's own story, rather than a little informed about the experiments and findings of various scholars almost floor is dry. Apparently nutrients intake Oddly enough nutrients in the body is not evenly spread, but FEEL? Properly in the mouth, savoring delicious food to eat, or do not feel Gulp swallowed. Obviously, coming into the body, nutrition feed properly, but my body says

이 책은 행동경제학이나 인지심리학과 같은 분야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을 간결하게 묶었다고 할 수있다. 그런 종류의 책들이 다소 방대하게 미주알 고주알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며 이야기를 한다면 꼭 해야 할 이야기만 꼭 꼬집어 이야기한다. 꽤 많은 심리학 부분을 다루고 있지만 그런 이유로 지루하지 않게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This book is coming from areas such as psychology and behavioral economics and cognitive tied concise stories that can be If somewhat Recent changes vastly, storytelling and story that kind of book, tells the story must necessarily pinch. You can hear a variety of stories dealing with the psychology part quite a lot, but not for that reason boring.

많은 사람들이 몸보다는 마음이 더 중요하다고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는 것이 지금까지 다양한 심리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심지어, 자신이 품고 있는 마음과는 전혀 다른 행동도 서슴치 않고 저지르는데도 본인이 전혀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면서, 나는 똑똑하다고 믿고 있고 행동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불행히도 나도.
 Many people the body, but the mind is more important than to show that it does not necessarily through a variety of psychological experiments revealed until now. Even own and bear in mind the totally different behavior perpetrated anywhere inroads lot even if I did not realize that at all was revealed. Yet, I believe that she is smart and act right pan. Unfortunately, too.

결코, 마음만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이 사람이다. 맹모삼천지교처럼 몸이 움직여 마음이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아니, 오히려 마음과 상관없이 몸이 움직여 사람이 변하는 경우도 많다. 마음은 '멈춰라'고 외치지만 이미 움직이고 있는 몸은 반강제 반의지로 움직이는 경우도 많다. 이런 이유로 성공한 사람들이 자신의 의지박약을 환경이나 상황으로 헤쳐나가는 경우가 많다.
 Never mind just does not move. If you move the body, the mind moving maengmo samcheonjigyo like many Not many, rather than the mind and the body, regardless of changes by moving people. Half force half Giro moving heart the cry, 'Stop', but already moving in the body, if there are many. For this reason, successful people going through their commitment to the environment or situation retardation, if you are going a lot.

혼자 조용히 독한 마음을 먹고 끝까지 하는 경우도 있지만 남들에게 널리 알려 어쩔 수 없이 움직이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사람들이 다 알고 있으니 일단 싫어도 해야만 한다. 담배를 조용히 금연하면 혼자 끝날 일이지만 사람들에게 알리면 지속적으로 물어보기에 조금 더 금연 날짜가 늘어 날 수 있다. 다시 피게 되면 또 다시 이야기하는 식으로 자신의 약한 마음을 몸이 먼저 실행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Mind eating alone, quietly bitter to the end, but in some cases it widely known to others, moving inevitably, is a prime example. People do not care, so one must know. Non Smoking cigarettes quietly alone the end people knew about them, but to ask a little bit more consistently increased the number of days smoking date. Puffing Once again, the story in such a way that once again, his weak mind body first run make.

스스로 대단한 인내를 지니고 있고 마음먹은 대로 할 수 있다고 하는 사람치고 제대로 일을 하는 사람이 극히 드물다. 아마도, 그런 사람은 소설에나 나올법하다. 실제 현실에 존재하는 인간들은 하루에도 수십번씩 결심한 것조차도 몇 달은 커녕 며칠도 가지 못해 흐지부지 되기 일쑤다. 아무리 뛰기 싫어도 마라톤 출발선에 서면 출발 총성과 함께 뛸 수 밖에 없는 것이 인간이다. 끝까지 완주를 하지 못하더라도 그렇게 움직였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고 그게 바로 리츄얼을 해야 하는 이유다.
 People who themselves have great patience, and as can be eaten like that is extremely rare to hit the person to do the job properly. Perhaps, on such a person, the novel was not so surprising. Times a day decided that humans exist in a physical reality that even a few months, let alone a few days do not go up in smoke before ilssuda. No matter departure in writing to the marathon starting line shots and compare do not care to play with not only humans. Important so moved and crossed the finish line does not it just be Ritual that is why.

난 이제 영어공부를 해야지라는 결심보다는 영어학원을 수강하는 것이 중요하고 새해에는 건강해야지라고 생각하기보다는 헬스장이나 수영장을 등록하는 것이 진정으로 건강해지는 첩경이다. 나도 책 좀 읽어야지라는 생각보다는 당장 서점에 나가 재미있어 보일 만한 책 한 권을 사서 눈에 보이는 곳에 두는 것이 백번의 다짐이나 말보다 중요하다.
 Is imperative that I ought to learn English, rather than a determination to take the English school now important and healthy in the new year ought to think, rather than truly refreshing to the gym or pool. I ileoyaji little book that I think is more important than the end or pledged hundreds of fun right now I am in a bookstore, buy a book which seems to put in plain sight, rather than.

'견물생심'이라는 표현은 괜히 있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소변을 하러 화장실을 갔더라도 변기를 보는 순간 나도 모르게 대변이 마려워 할 수 있다. 이게 바로 '견물생심'이다. 자신의 마음과는 전혀 상관없이 무의식적으로 몸이 움직이는 거다. 물론, 리츄얼의 의미가 의식, 절차가 포함되어 있는것처럼 이 책은 다양한 의식과 절차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곁들여 이야기해 주고 있다.
 Representation 'gyeonmulsaengsim' not in vain. No matter, even if you went to the bathroom to urinate. Moment I find myself looking at the toilet stool can gotta That 'is' gyeonmulsaengsim. At all, regardless of their mind and body moving. Unconsciously. Conscious of the meaning of the Ritual, of course, contains procedures as this book, talking about the various rituals and procedures adorned with a story to.

이 책의 카피인 '일단 움직여라, 마음은 따라온다'는 새해에 가장 적절한 구호가 아닐까 한다. 아무리 다짐과 각오를 해도 소용이 없다.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하기 싫어도 움직이면 하게 된다. 억지로라도 하게 되려면 움직여야 한다. 움직이지 않으면 절대로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원래 마음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아니, 움직이는 걸 싫어한다. 마음이 동할 때까지 기다리면 버나드 쇼의 '우물쭈물 하다가 내 이럴줄 알았어'라는 묘비명처럼 될 수 있다.
"Once you move your mind comes along that is a copy of the book in the New Year is the twin of the most appropriate relief. Pledge and determination, no matter even if it is useless. Moving is important. Moves to do not care. Be forced to make in order to move. Does not move, never change does not occur. Original mind does not change easily. No, I hate moving. Bernard Shaw's 'lingering I knew then my' epitaph could be like wait until the mind to move.


이 책과 함께 읽을만한 책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