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제노사이드 - 인류의 미래는? (Genocide - The future of mankind?)

 제노사이드는 집단학살이라고 한다. 제노사이드라는 단어가 있다는 것은 집단학살이 만행이 벌어진 적이 있다는 뜻이 된다. 얼핏 생각하면 집단학살은 인간이 동물에게 하는 못된 행동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지만 무섭게도 인간이 인간에게 한 집단학살도 많이 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나치의 유대인 학살이다. 불행한 시대에 일본인이 저지른 관동대학살도 마찬가지이다. 관동대학살에는 광기만이 흘러 일본인이 일본인을 조선인이라고 생각하고 죽일 정도였다고 하니 집단학살이 얼마나 무서운 일인지 알 수 있다.
 Genocide genocide. Mean that the word "genocide" genocide atrocities that never happened. At first glance, it presumably also think that genocide would humans to animals to behave badly horribly human to human genocide. The first thing that comes to the Nazi Holocaust. Unfortunate era in Japanese the Great Kanto massacre perpetrated versa. Genocide slaughter of the Great Kanto through the madness was about to kill the Japanese and Koreans think the Japanese do know how scary thing.

더 무서운 것은 제노사이드라는 걸 하는 유일한 종족이 바로 인간이라고 한다. 다른 종족은 집단학살을 하는 경우가 없다고 한다. 제노사이드는 인간이 갖고 있는 욕심과 이익에 결부되는 거다. 자신의 욕심을 채우고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노사이드를 하게 되는데 가장 큰 문제는 그 명령을 내리는 자는 현장에 있지 않아 그 참혹함을 명확하고도 구체적으로 잘 모른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고대부터 집단학살은 대부분 권력자들이 자신의 권력을 유지 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택한 가혹하고도 몸서리치는 명령이자 참사이다.
 More horrible genocide that the only human race. Other species if there is genocide. Genocide human greed and profits would entail. Genocide which fills their greed to maximize profits, the biggest problem is not those who make the command field chamhokham clearly and specifically do not know. For this reason, since ancient times, the genocide is selected harshly by most authorities as a means to maintain their power, and command and shudder disaster.

'제노사이드'는 참으로 재미있고 흥미롭고 스펙타클한 소설이다. 폄하라고 볼 수 있지만 일본 소설가가 이렇게 방대하고도 거대한 내용을 구성하고 치밀한 내러티브를 만들었는지 놀라울 정도이다. 소설에 나온 내용을 보면 우리가 흔히 블럭버스터 영화나 미드중에서도 엄청난 자본이 투자된 미드를 연상할 정도로 스피드있고 시종일관 극박하게 내용이 전개된다.
 'Genocide' novel is indeed fun and exciting spectacle. Disparaged, it may be worth configure a Japanese novelist so vast and huge, you have created a dense narrative surprisingly enough. What is shown in the novel, ultra-thin, and we often block buster movie or huge capital investment among mid-to mid-speed enough to evoke consistently content is developed.

이런 말을 한 이유는 일본 소설을 보면 스펙타클한 내용보다는 아기자기하게 작은 곳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집중적으로 탐구하고 풀어내는 경우가 태반이다. 밀실사건이라는 것도 일본 추리소설의 가장 대표적인 장치인 것처럼 대부분의 일본 소설들이 한정된 장소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치밀하게 풀어내는 강점이 있다고 보는데 너무 세세한 측면이 있어 나랑은 잘 맞지 안 맞아 굳이 많이 보지는 않는데 이 책은 그런 일본 풍과는 완전히 정반대의 지점에 있는 소설이다.
 Why did you say this Japanese novel, rather than spectacular intensively explored and unraveled what is happening in the charmingly small placenta. 're Seeing too detailed aspects that the strengths of Japanese mystery novels most representative device as most Japanese novels tightly disentangle what is happening in the limited place behind closed doors event that does not fit me, fit well, necessarily does not see a lot of this book Then the Japanese style is completely the opposite of the point in the novel.

아프리카, 일본, 미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벌어지는 일들이 시간 순서에 따라 전개되는 묘사가 저절로 머리속에 상상이 되면서 스스로 엄청난 자본이 필요로하는 미드를 찍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할 정도로 스케일이 장난이 아니다. 무엇보다 더 대단한 것은 단순히 스케일이 크고 여러 곳에서 사건이 벌어지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내용이 끝까지 긴장을 유지하게 만든다.
 Africa, Japan, and what is happening simultaneously in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order that is deployed depict itself in your head as you imagine yourself in the Midtown shooting that requires enormous capital and finds himself enough to scale this is not a joke. More than what a great thing simply does not stop to large-scale events going on in many places the contents to the end to maintain tension makes.

거의 대부분의 책들이 초반에 신기하고 새로운 내용으로 시작하지만 중간에서 뒤로 갈수록 힘이 떨어지고 어딘지 다음 내용이 유추 가능하고 시작할 때의 참신한 맛과 강력한 에너지가 소멸되어가는데 반해 '제노사이드'는 끝까지 어떤 결말이 될지에 대해 궁금증이 더해지면서 잘못하면 손에 침 뭍혀가며 읽을뻔 했다.
Almost all of the books in the early new and strange begins with power increasingly back in the middle of falling, where the following content inferred and start fresh taste of the powerful energy and is destroyed whereas Makin 'genocide' to the end, but some endinghand, spit on added As missteps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how to read gamyeo buried almost fell.


사실 이런 책은 될 수 있는한 책의 줄거리를 이야기하지 않으려고 한다. 결말을 알고도 재미있게 읽는 사람도 있지만 이왕이면 뒤 내용을 모르며 읽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광고문구를 근거로 이야기하면 일본에서는 희귀병의 치료를 만드는 사람이 있다. 아프리카에는 기존과 인류와는 다른 엄청난 지성을 간직한 존재(??)가 태어난다. 미국에는 초강대국으로 자신의 옳다고 믿는 바를 실천하려는 대통령과 관련 인물들이 있다.
 In fact, I do not want to talk about the plot of a book that can be. Think is best to know the ending, preferably behind as he read the contents, but also fun to read because Who has been in Japan for the treatment of rare diseases create story based ad Existing with humanity in Africa and the presence of other tremendous intellect pristine (?) Born. The United States, the president believes right to practice their superpower and related characters.

이렇게 세 군데에서 각자 벌어지는 내용이 기본 골격이고 하이즈먼 보고서라는 곳에서 세계의 미래에 대해 예측을 했고 그 중에 신인류에 의해 지금의 인류가 멸망할 수 있다는 내용이 있다. 소설 내용중에 우리가 알고 있는 네안타르인 같은 종족의 현재의 인간이라는 종족에게 몰살당했다고 한다. 그들의 유골등에 단순히 늙어 죽은 것이 아니라는 증거가 있다고 이야기를 하는데 늘 이런 내용을 접하면 도대체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사실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긴다.
 Humans are now, that it can be destroyed sininryu by predictions about the future of the world and from each of these three going the basic framework and the Heisman distant report from a place called. Nean, such as tar species of the human race was to annihilate this we know that during the novel content. Where to evidence that their bones, just a dead old man does not always fold these stories to reality and the fact that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whether formed.

책 내용은 상당히 스펙타클하게 전개되면 흥미진지하지만 여러가지 생각할 꺼리도 우리들에게 던져준다. 의도적으로 이 책에는 부시대통령이 미국의 대통령이라 생각하게 만든다. 비록, 이름은 다르지만. 자신이 하는 행동은 선이고 그렇지 않은 것들은 악이라는 편협한 생각이 어떤 어려움을 만드는지 우리에게 보여준다.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민의를 대표하는 인물이 뽑힌다고 해도 그가 하는 정책과 외교와 군사행동은 제어할 사람이나 제도가 없는 독재자를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Various conceivable book details quite a spectacle is unfolding seriously interested but reluctant also throws us. Intentionally President Bus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in this book makes you think. Although the name. Any difficulty mandeuneunji line his behavior and anything otherwise is an evil one-track mind, and shows us. Figures that represent the popular will in the name of democracy even if elected, his policy and diplomacy, and military action to control the people or institutions you can create any number of dictators.

신기하게도 이 책에는 한국인이 등장하여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는데 그 보다는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를 그대로 책에서 알려준다. 일본인들이 갖고 있는 편협한 역사관이 아니라 보편타당한 역사를 우리에게 알려준다. 특히, 단지 한국인에게 피해를 봤다고 무조건적으로 싫어하고 피해망상까지 벌이는 사람들에게 그렇다면 일본인에게 피해를 봤을 때는 왜 같은 일본인에게같은 행동을 하지 않느냐는 말에는 일본인이나 한국인에게나 똑같이 적용되는 보편타당한 정의로 보인다.
 Curiously, this book appeare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Korean history as we know it, rather than as it tells in the book. Tells us the history of the Japanese people have a narrow-minded view of history as universally valid. So, to those who just saw the damage to the Koreans fighting unconditionally hate and paranoia until I saw the damage to the Japanese, especially Japanese and Koreans alike to apply at the end when the same behavior as to why the Japanese would not seems to be universally valid definition.

개인적으로 흥미롭게 보는 장르 - 그런 장르가 따로 있지는 않지만 - 우리 인간을 뛰어넘는 존재가 등장하는 장르이다. 우리 인간의 지적 능력을 뛰어넘는 존재는 늘 인류에게 위협이 되는지 발전을 가져올지에 대한 가치판단이 불가능하다. 대부분의 소설과 영화에서 몇 몇 개인들은 그런 존재에 대해 친근감을 갖지만 권력자들은 하나같이 그들을 없애려고 한다. 한결같이 인류를 위한다는 같은 목적을 갖고 동일하 상대에게 다른 대처를 하는데 있어 보는 즐거우이 있다.
 Genre-personally interesting to see such a genre does not have - is a genre that emerged beyond our human existence. Always exists beyond the intellectual capacity of our human value judgments about whether to bring development is a threat to humanity, it is impossible. From most novels and movies that exist in some individuals, but the affinity for the authorities as they try to get rid of. Uniformly for all mankind that have the same purpose, the same relative to one another to cope with the viewing jeulgeowooyi.

미국에서도 천재라고 불리며 모든 사람들이 갖고 있는 지성보다 뛰어난 사람보다 더 뛰어난 지성을 갖고 태어난 존재가 등장하는데 한편으로는 그렇게 엄청난 지성을 갖고 있다고 인류를 굴복시킬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은 들었다. 지성만으로 모든 사람들을 굴복시키거나 내 편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책에서는 뛰어난 지성으로 사이버세상을 통제하는 것으로 자신의 위대함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그 정도로 인류를 능가하는 존재라고 보는 것은 힘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In the United States, who was born with a superior intellect that all people have more superior intellect than those who appeared to exist a genius called On the other hand, has a tremendous intellect so that humanity could succumb to the question heard. Not succumb to all the people on my side or intellect alone that can create, but I do not think A book that represents the greatness of their own superior intelligence to control the cyber world, but it's - it's thought that it's hard to see him enough to surpass mankind exist.

인류는 지성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발전과 개선을 시켰지만 그에 반해 지성이 없는 사람들도 각자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했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인류역사가 발전했고 지금까지 올 수 있었다. 지성은 없어도 다른 사람이 생각하지도 못한 것을 발견하거나 인류역사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한 사람들이 무궁무진하다는 걸 보면 꼭 온 인류보다 뛰어난 지성을 갖고 있다는 것만으로 인류에게 위협이 된다는 것은 우리 인류를 너무 무시한 처사가 아닐까싶기도 했다.
 Mankind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people who have the intellect, whereas the role of their own people without intellect faithfully because sikyeotjiman the history of mankind, such as the now-and now I was able to come up with the development. Role in the history of mankind, people found that even if other people did not think or know that endless intelligence that have superior intelligence than all mankind just simply to be a threat to humanity, ignoring our humanity too dealings might want to have.

개인적으로 책을 읽으며 생각한 뜬금없는 것들을 논외로 치고 '제노사이드'는 정말로 재미있는 책이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빠져들어가며 읽었다. 초반에는 그렇고 그런 일본 추리 소설류의 책이라 생각하고 읽었지만 소설 중반부로 가면서 점점 책 내용에 흠뻑 젖어들게 된다. 분명히 이 책이 미국에서 출판되었다면 미드나 영화로 - 영화보다는 미드가 제격일 듯 - 만들어 질것이라는 데에 격렬하게 동의한다.
 Offtopic things do not personally read the book thought tteungeum struck 'genocide' is a really interesting book. Exit was time to go, do not know how to read the Introduction. At the beginning of the novel to the middle, but I read a so-so kind of Japanese mystery novels and think getting drenched with books. Immerse As Obviously, this book has been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rather than mid-movie - movie seemed perfect fit - Mead made ​​would be wildly to agree.


큰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