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일본의 주식부자들 - 조사와 인내


일본은 잃어버린 20년으로 유명하다. 경제가 힘들어 진 것은 물론이고 자산가치도 형편없어졌다. 이러니 자주 알려진 것이 자산에 현금을 넣는 것이 아닌 금고함에 갖고 있다는 이야기다. 은행에 넣어도 이자는 없고 - 심지어 보유 수수료를 받기도 했다 - 자산에 넣어도 자산가치가 떨어진다. 모든 사람이 이렇게 현금을 갖고 있고 자산으로 갖고 있지 않다면 해당 국가의 경제가 제대로 돌아갈까. 결코 그럴리가 없다. 

그렇게 볼 때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달리 일본에서도 누군가는 자산으로 자신의 현금을 교환하는 사람이 있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에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다. 그나마 사와카미 펀드가 알려지면서 일본에서도 주식 투자로 수익내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 정도가 알려졌다. <일본의 주식 부자들>은 일본에서도 주식 투자로 성공한 사람이 있다는 걸 알려주는 책이다. 일본 주식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는 한국에서 말이다.

한국보다 일본은 훨씬 큰 국가다. 인구도 2배가 넘는다. 그 이야기는 다양한 기업이 있다는 뜻이 된다. 한국에서는 그다지 돈이 되지 않는 분야도 충분히 수익을 내서 상장까지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책을 읽어보니 특이하게도 일본은 일정조건이 되면 상위 거래소로 옮겨지는 듯하다. 한국은 코스피와 코스닥으로 나눠지는 반면에 말이다. 상위 거래소로 해당 기업이 이동하면 그에 따라 ETF와 같은 펀드들이 자동적으로 해당 기업을 매수하며 시가총액이 늘어난다.

이러한 점을 책에 나온 투자자들은 이용하기도 한다. 해당 기업의 실적이 좋아지면서 주가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점차적으로 시총이 커지며 상위 거래소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매수를 하면서 시가총액이 더 커진다. 이런 투자방법을 제법 이용하는 듯했다. 책에서는 다양한 사례가 나온다. 이미 유명한 <주식시장의 마법사들>과 비슷하다면 비슷하다. 차이는 잡지라 심층 인터뷰보다는 다소 가볍고 편한게 질의응답이 이어진다.

한국과 일본의 경제 덩치만큼 개인 투자자 중 성공한 투자자의 자산 차이가 꽤 있었다. 한국에서도 정확하지 않고 드러난 수치라 확실하지 않지만 대략 1,000억대 주식 투자자가 있다. 이 책에서 성공한 일본 투자자는 2,500억대다. 정확하게는 250억 엔이라고 하니 대략 그 정도 되지 않나 싶다. 더 놀라운 것은 중학생때부터 시작해서 20년이 되었다고 하니 어제 겨우 30대라는 뜻이다.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책 중간에 대담이 있는데 250억 엔 투자자와 함께 이야기하는 투자자도 130억 엔인데 역시나 겨우 30대였다. 둘이 이야기할 때 자산의 증가는 무덤덤하다고 말한다. 어느 정도 생활을 위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나름 승부라는 관점에서 한다. 그런 부분은 대부분 투자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부분이다. 자산 형성이 이제는 무의미해진 정도부터는 어떤 식으로 살아갈 것인지는 각자 다르지만 말이다. 책에는 다양한 투자자들이 소개된다.

가치투자를 하는 투자자부터 차트 투자를 하는 투자자까지 말이다. 신기하게도 여러 투자자들이 공통적으로 투자한 기업들도 있었다. 중복되는 경우가 왜 없겠냐마는 그래도 빈도가 잦게 느껴졌다. 책에 소개된 투자자들은 대체적으로 적으면 한국 돈으로 몇 억부터 있다. 전업 투자자만 있는 것도 아니고 겸업 투자자도 꽤 많다. 거기에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겠지만 소개된 투자자들이 전부 블로그 등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투자 방법을 알리고 있다.

그렇지 않은 투자자들을 찾기는 어려울테니 말이다. 책을 쓴 투자자도 있다. 나름 자신만의 투자 철학을 갖고 시장에서 살아남은 투자자들이다. 일본은 최근 경제가 좋다. 그로 인해 수익을 내는 기업들도 많아지고 있을테다. 읽어보면 일본에서도 중요한 것은 트렌드다. 향후 사회가 어떤 식으로 발전하고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하며 그것과 관련되어 유망한 회사가 무엇인가. 이 점이 가장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기업은 다를지라도 투자로 번 분야는 비슷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결국에는 사람들의 관심과 수요가 발생할 곳에서 돈이 돌아다닌다. 이런 기업을 찾아 투자를 할 때 가장 큰 돈을 벌 수는 있다. 그만큼의 리스크가 있다는 점이 잊으면 안되는 부분이다. 상당히 짧은 기간에 투자 수익을 낸 경우도 있지만 꽤 오랜 기간 보유하며 수익을 극대화한 경우도 많다. 대체적으로 큰 수익은 짧은 기간이 아닌 수익이 극대화 될때까지 인내하고 참은 사람의 몫이다.

책에 소개된 투자자들은 평균 10년은 넘는 기간동안 주식투자를 한 것으로 보인다. 거기에 매출과 이익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몇몇 투자자는 재무제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차트만으로 투자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끝으로 투자와 관련하여 누구에게 묻지 않는다. 자신이 고민하고 내린 선택에 대해서 그 누구도 책임지지도 않을텐데 말이다. 일본에서도 충분히 어머어마하게 주식 투자로 성공한 사람들이 많다는 어찌보면 당연한 걸 몰랐다고 할까. 

끝으로 1000억대 부자의 투자방법이다.
1. 이 주식은 오를 것 같다고 생각한다.
2. 그 주식을 실제로 산다.
3. 충분한 양(금액)을 산다.
4. 끝까지 보유한다.

증정 받아 읽었습니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워낙 투자 방법이 많이 나와서.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투자자들의 공통점을 내 것으로.

함께 읽을 책
https://blog.naver.com/ljb1202/221300788670
버핏 클럽 - 잡지

https://blog.naver.com/ljb1202/220939834913
주식시장의 마법사들 - 트레이딩

https://blog.naver.com/ljb1202/204634734
헤지펀드 시장의 마법사들 - 거래 이야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