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014의 게시물 표시

64 - 포기하지 않는다(64 - Do not give up)

이미지
이리 두껍고 글이 빼꼼하게 채워져 있는 줄 알았다면 읽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거의 700페이지나 된다는 것을 책을 선택할 때 보면서도 의식하지 못했고 그림 하나, 페이지 여백도 없다는 것을 얼핏 보면서 전혀 느끼지 못했다. 막상,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서서히 그 압박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읽어도 여전히 두껍게 남은 페이지와 읽어도 쉴 공간을 주지 않는 글자의 압박. Filled with thick posts here I thought that if this ppaekkom may have been read. Nearly 700 pages and choose a book that did not conscious of the picture while watching one, page margins, also did not feel that there is no looking at first glance. Okay, start reading the book slowly began to feel the pressure of. Read the rest of the page is still thick, does not give a place to rest and read letters is pressed. 엄청난 압박을 주는 책이 재미마저 없었다면 읽는내내 고역이자 시험이였을 것이다. 다행히도 재미있다~! 그것도 많이. 너무 주저리 주저리 쓸데없다고 생각되는 내용까지 세세하게 묘사하고 알려주는 바람에 중반까지는 다소 힘겹게 읽을 수도 있다. 내가 읽으려고 택한 책은 추리류라고 생각하고 읽고 있는데 아무리 읽어도 추리가 아닌 정치에 가까운 이야기였다. Tremendous pressure were not even fun to read a book is high-interest test would have been over. Fortunately fun! It's a lot. I do not think so needless jujeori

한국의 나쁜 부자들 - 그러진 말자(Korea's rich and poor - not all the)

이미지
한국에서 거의 최초로 부자에 대해 그나마 제대로 된 책은 '한국의 부자들'이였다. 워낙 큰 인기를 얻어 2편까지 나왔을 정도이다. 거의 대부분 부동산 부자를 많이 소개했는데 그들의 생활패턴과 투자 방법에 대한 언급과 함께 그들이 한 이야기를 저자의 관점으로 알려주는 책이였다. 그 책에서도 한국 부자에 대해 소개를 하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면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면도 이야기를 해 준다. Rich in Korea for almost the first time the book is well dont 'Korea's rich', respectively. Because of its huge popularity is about to get two pieces came from. I almost always introduces a lot of wealthy real estate and investment patterns in their lives, with no mention of how they tell the stor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author of the book, respectively. An introduction to the book, while rich in Korea generally, as well as the positive side, it gives a negative side to the story. 이를테면, 줘야 할 돈은 최대한 늦추고 늦춰 주고 받아야 할 돈은 무조건 기를 써 빨리 받아내려 한다는 식의 정보였는데 '한국의 나쁜 부자들'은 굳이 따지자면 부자들이 부를 형성하는 방법에서 합법과 불법의 경계에서 왔다 갔다하면서 줄을 타지 않고 불법을 작정하고 저지른다거나 탈세와 절세의 경계에서 교묘하게 절세처럼 보이는 탈세하는 모습을 그린다. For example, give the money to the money as muc

지옥설계도 - 인페르노(Hell design - Inferno)

이미지
아무런 정보도 기대도 없이 읽었는데 너무 재미있을때만큼 읽는 재미가 좋을 때가 없는 반면에 잔뜩 기대를 하고 읽었는데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가 있다. 재미 자체가 없는 것도 아닌데 워낙 큰 기대를 하고 읽다보니 기대가 큰 만큼 반대급부의 감정이 밀려오는 듯 하다. 불행히도 '지옥설계도'는 엄청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 작품이다. Without any information expects so much fun when I read of it is not much fun to read, while I read a bunch of expectations and sometimes we may not expect. Because of its self is not fun and it's not even the great expectations great expectations turned out as much as reading a trade seems to be surging emotions. Unfortunately hell blueprint 'is a work of great does not meet expectations. 이인화 작가는 '영원한제국' 작품을 집필한 작가이고 이 작품의 소개글과 책표지 디자인을 봤을 때 몹시도 끌렸다. 그러면서 단테의 신곡이니 '지옥으로 간다'정도의 정보를 갖고 읽었다. 유추했을 때 판타지적인 요소가 섞여 있을 것이라는 판단은 했다. 특히, 책을 읽기 직전에 작가의 약력을 봤을 때 그런 생각은 확실해 보였다. Yiinhwa Writers' eternal empire writer and author of works introduction to this work, and when I saw the book cover design attracted mopsido. Yet Dante's Divine Comedy are you 'go

허허 동의보감 - 기차게(Heoheo Donguibogam - gichage)

이미지
동양의학은 어릴 때 참 친숙했다. 축농증이 있어 몇몇 병원과 한의원을 다녔는데 대체적으로 한의원쪽을 좀 더 많이 갔다. 약들을 좀 처방받고 침을 맞는 것이 대체적으로 한의원에 가 하는 의료였다. 추가로 동생이 아파 침을 맞는 것도 봤다. 옆 집에 살던 분이 한의사라 그 분에게 침을 맞기도 했다. 어머니가 침이라는 것을 배워 자신에게 실험하기도 했지만 나에게도 했다. When the child was indeed familiar with Eastern medicine. There is some sinusitis went to the hospital and clinic to clinic generally side went some more. Fit to spit a little about it being prescribed in the medical clinic was generally. Add to meet my brother spit it looked sick. Those who lived in the house next to La minute acupuncturist who was also back in the saliva. Learned that his mother was saliva, but I also had to experiment sometimes. 나로써는 밑져야 본전이라는 생각에 축농증에 좋다는 부위에 침을 맞기도 했다. 실제로, 좋아졌는지 여부는 이제 중요하지 않다. 나에게 축농증은 평생을 함께 할 아주 불편한 생활이 되었을 뿐이다. 그렇게 동양 의학은 어릴때부터 친숙했는데 첫째가 아토피가 있을 때 친구 아들이 약을 처방받아 좋아졌다고 하여 같이 처방받아 약을 먹은 적이 있다. You have nothing to lose and rosseoneun idea that is good for sinusitis acupuncture site was also constructed. In fact, now it does n

소비본능 - 거스릴 수 없는(The Consuming Instinct - I can not rule)

이미지
소비에 대한 이야기는 마케팅으로 분류할 수 있어도 실제로는 심리학에서 다뤄어야 할 분야이다. 책표지에 나와있는 타이틀을 읽어만 봐도 알 수 있다. 마케팅 회사나 대기업에서 자신들의 제품을 팔기 위해서 이제는 심리학자들의 조언을 받아 광고를 만들고 소비자들의 심리를 파악해서 사고 싶다는 동인을 일으켜야만 한다. 실제로 얼마나 많은 기업들이 그렇게 하는지 정확하게 모르지만. Consumption can be classified into the story, even if the marketing is actually to be dealt with in the field of psychology. Read the book cover shown in the title can tell by the look. Marketing companies and large corporations in order to sell their products now take the advice of a psychologist to create advertising that consumers understand the sentiment, but it should produce drivers that want to buy. How many companies actually do not know exactly. 자신들이 어떤 제품이나 상품을 팔든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를 하는 기업이라면 소비자들이 원하는 제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이 어떻게해야 사게 만들것인지나 소비자들이 사고 싶게 유혹을 해야 하는 점이 훨씬 더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제품이 중요하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이제 더이상 제품의 질로 승부하는 시대는 지났다. They have to sell any product or any products sold directly to consumers and businesses to make products that consumers want, th

파우스트 2 - 괴테(Faust 2 - Goethe)

이미지
분명히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다. 파우스트는 작품 해설에 의하면 - 아직 작품 해설을 읽지는 않았다 -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을 하는 작품이라고 한다. 파우스트를 읽으면서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인지에 대해서 전혀 아무런 감흥도 오지 않았다. 파우스트라는 작품이 어제, 오늘 갑자기 뜬 베스트셀러도 아니고 몇 백년이라는 시간을 단련되고 검증받은 작품이다.  I will definitely have a problem. According to commentary on the work of Faust - did not yet read the commentary work - the work of a human being is called to ask questions about. Human beings by virtue of having read all the questions about what did not inspire any. The work by virtue of Yesterday, Today bestseller suddenly floated a few hundred years, nor proven that the time to train and work. 파우스트는 수 많은 사람들이 읽고 - 그것도 전 세계적으로 - 대체적으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이야기가 있을 것이다. 작품해설에 나온 이야기는 분명히 사람들이 느끼고 읽은 것에서 얻은 공통적인 이야기를 한 것이라 보면 내가 읽은 파우스트는 전혀 그러하지 않게 느껴졌으니 이것은 분명히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것일것이다. By virtue of the number of people reading - it's all over the world - people in general, there will be a common story. Commentary on the work of people apparently feel the story is read out from what one wo

썰전 - 재미있는 시사책(Grim story - an interesting social book)

이미지
목요일 밤 11시면 어김없이 보던 프로가 있었으니 바로 '해피투게더'였다. 신동엽과 이효리가 쟁반노래방을 하던 시절부터 시청을 했으니 무려 10년은 되었다고 보는데 이러한 해피투게더를 보던 내가 어느날부터 다른 프로를 시청하게 되었다. 그동안 여타의 프로들이 그 시간대에 유혹을 했을지라도 묵묵하게 시청했는데 어느날 우연히 썰전을 보게 되었다. Thursday night, there were 11 professional simyeon've just watched without fail, 'Happy Together', respectively. GNP and yihyori since the days of the tray was watching karaoke haeteuni than 10 years and watched Happy Together I have been seeing this from one day to another procedure was watching. Businesses have been other times that even though the temptation to watch quietly, one day I saw the chance sseoljeon. 프로와 프로를 하기전에 광고를 틀어줄 때 채널을 돌리다가 우연히 발견하게 되었다. 거의 시작하고 1~2회가 지나고 난 후에 알게된 것같은데 김구라와 이미지 별로인 강용석과 잘 모르는 이철희라는 사람이 나와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정치에 대한 이야기를 열심히 하고 있었다. 잠시, 채널을 돌리지 않고 시청하고 있으려니 재미있었다. Businesses and professionals play ads before you turn the channel when it was discovered by accident. Start and 1-2 times almost broke, I think I learned later gang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