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햄릿 - 세익스피어(Hamlet - Shakespeare)



우리가 알고 있는 햄릿의 내용은 세익스피어가 초연 당시나 그 이후에 했던 극본과 100% 일치하지 않는다고 한다. 당시만 해도 극장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자산이라 생각하여 대본을 극장에서 소유하고 있어 외부로 유출하지 않았다고 한다. 걔중에 기억력과 암기력이 좋은 사람들에 의지해서 대본이 돌아 다녔다고 하는데 그렇게 만들어진 대본이외에 세익스피어 사후에 극장 내부에 있던 극본까지 합해서 지금 돌아다니고 있어 영국에서도 햄릿의 대본은 3가지 정도가 된다고 한다.
 Information we know that Hamlet was a play on or after the time of Shakespeare premiered correspond 100% does not. Leak outside the theater their own assets in the theater owns the screenplay did not. Was inside the theater, a play the Bellagio in the post I'm driving around now rely on the good people of memorization ability during her scripted Shakespeare back in addition to the so-crafted screenplay was stalking the screenplay of Hamlet in the UK degree, he said.

문제는 3가지의 극본이 전체적인 극의 흐름이나 내용은 비슷할 지 몰라도 대사등이 달라 캐릭터들의 심리와 생각이 현저하게 다를 수 있어 지금도 햄릿의 내용은 언제든지 새로운 내용으로 선 보일 수 있다고 한다. 햄릿은 저절로 입체적인 인물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극본에 따라 약간은 햄릿이 하는 행동과 생각이 달라진다면 다양한 이야기가 전개되어 더 풍부해지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Flow Screenplay overall three-pole or similar, but it still Hamlet metabolism is different and I think the characters' psyches differ significantly at any time with new content line can be seen that the problem. Hamlet itself became a three-dimensional figure. Slightly changed behavior and thought that Hamlet was a play on if it comes to the deployment of various stories become more abundant.

어지간한 사람도 햄릿이라는 작품은 알고 있고 '사느냐 죽느냐 이것이 문제로다'도 알고 있고, 세익스피어라는 인물도 알고 있다. 일부러 재미삼아 햄릿과 세익스피어를 연결짓지 못하는 우스꽝스러운 장면도 연출할 정도로 햄릿은 워낙 유명한 작품이다. 조금만 아는 사람은 햄릿의 대략적인 내용도 알고 있을 정도로 햄릿의 내용은 유명하다.
 Hamlet is also quite a bit of people know the work and life and death That is the question, and we know that Shakespeare figures know. Hamlet Shakespeare Hamlet deliberately for fun and does not link it look comical scene is so famous works. Is famous for the little people know know the approximate Hamlet Hamlet's enough information.

특히, 연극으로는 수시로 지금도 공연이 올려지고 있고 영화로도 꽤 많은 작품이 상영이 되었다. 꼭 햄릿이 아니라도 햄릿이 변용되거나 차용되어 다양한 예술작품에서 영감을 준 작품이기도 하다. 이러한 햄릿작품도 오리지널 작품은 아니라는 것 또한 재미있는 일이다. 세익스피어는 없는 것을 창조하는 것보다는 이미 기존에 있는 내용을 자신만의 것으로 만들어 발표하는 데 천재라고 할 수 있다고 한다.
 Especially, theater performances often still being raised and the movie pretty much works the screening was. Exactly Hamlet, but Hamlet is transformed or are borrowed from various works of art that inspired the work is. Not original works, the works of these Hamlet also a funny thing. Announced that already existing in their own rather than to create something that is not Shakespeare was a genius could.

이미, 햄릿의 작품도 거의 유사한 내용이 시중에 있었다고 한다. 이런 내용을 세익스피어만의 세계에 편입하여 새롭게 창조한 작품이 바로 햄릿이다. 비슷하다고 느끼는 작품이 있어도 그걸 뛰어넘는 작품의 완성도가 있다면 사람들은 아무런 이야기를 하지 못한다. 그것이 예술분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삶과 세계에 모두 골고루 적용된다.
Works almost similar to Hamlet's already on the market, he said. Hamlet is incorporated into Shakespeare's world and these newly created works. Works similar feel, even if the completion of the work beyond that if people do not talk , But it is limited only to the field of art apply evenly all our lives and in the world, is

햄릿을 연기한 배우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거의 예외없이 연기력을 인정받고 스타로 발돋움을 한다. 그만큼 햄릿이라는 인물을 표현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햄릿이 하는 행동이나 대사를 보면 절대로 평면적인 인물이 아니고 엄청나게 입체적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더구나, 그가 끊임없이 고민하고 번뇌하면서 우왕좌왕하기도 하고 진실을 알아가는 모습을 연기하는 것은 베타랑 배우에게도 결코 쉽지 않은 도전으로 보인다.
 Learn the East and the West, who played Hamlet and, almost without exception, regardless of acting to become a recognized star. As much a representation of a man named Hamlet is not an easy task. Can look absolutely flat but incredibly three-dimensional figures that moves the action or metabolism of Hamlet. Moreover, he constantly worries and trouble may disorient while to get to know the truth and look for smoke to beta with actors that never seems to be not an easy challenge.

다른 역할들도 마찬가지로 쉽지 않은 인물들이지만 햄릿이 번뇌하고 좌충우돌하는 것에 비하면 아주 작은 고민과 행동이다. 왕이 고민하는 것은 자신의 죄에 대한 양심상의 고민이고 왕비의 고민은 그나마 엄마로써의 고민과 지아비를 잃고 동생의 부인이 된 고민이 있어 보다 쉽게 표현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Other roles as well, not easy to figure, but is struggling with very small compared to what Hamlet defilement and clumsy behavior. Worried that the king of conscience for their sins worry dont lose of worry as a mother and jiahbi worried that my brother's wife and the queen of worry, it is always hard to make it easier to express.

햄릿에 나온 배우들은 어느 한 명 쉽게 나왔다가 들어 갈 수 있는 인물들이 없다. 그런 이유는 아마도 대사에 있을 것이다. 등장 인물마다 각자 뱉어야 하는 대사가 범상치 않기에 흔히 말하는 엑스트라마저 그 의미처럼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의미없이 나와 의미없는 대사를 뱉고 나가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
Actors came to the hamlet, there are no figures to get into one easily came That reason will probably be ambassador to Ambassador extraordinary characters each, every baeteoya said extra even has a special meaning, like the meaning. Because without meaning if you do not have me spit out meaningless metabolism.

읽다보니 어느 순간 왕의 행동은 왕비를 사랑한 행동이 아니였을까 하는 생각이 들고 - 왕의 권력에 대한 욕심보다는 - 왕비의 행동도 마찬가지로 왕의 동생을 더 사랑했기에 선택한 결과가 아니였을까하는 생각도 들고 햄릿마저도 엄마에 대한 사랑에 눈이 멀어 그와 같은 행동을 한 것이 아닐까하는 다소 동 떨어진 생각을 했다.
 Queens loved not act the king's behavior seemed the idea that at any moment - greed - rather than on the power of the king, the queen's actions could it not selected results Likewise, the king's half-brother loved that holding reading, I think holding Hamleteven blinded by love for mom to be the thing that such behavior was somewhat think of copper.

한편으로는 햄릿이 미치광이 흉내를 내며 타인을 속이지만 실제로는 미친 것이 아닐까 싶다. 정말로 유령은 있었던 것일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가 아버지의 죽음에 의심을 가졌을 것이고 그 사실을 알게 되어 이 사실을 밝힐 방법이 없어 같은 편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이성과 감성 사이에서 줄곧 줄다리기를 하며 실제로 행동한 것이 아닐까하는 의문말이다. 그가 한 행동들이 실제로 이성에 근거한 행동이 아니라 반 미친 상태에서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본능적으로 한 행동 말이다.
 On the other hand, Hamlet was a crazy maniac, imitate, deceive others, but actually, it seems. Really was a ghost? ", I think. Questioned said that suspected in the death of his father, he would have had would reveal this fact, there is no way to know the fact that, on the same side and, based on this and the tug of war between reason and emotion, all the way from actually doing it. Actions based on the reason, but his actions actually half-crazy state, regardless of their will instinctively act says

아니면, 편집증에 사로 잡힌 것이 아닐까한다. 왕이 자신의 왕을 죽였다는 사실은 왕의 독백을 통해 알 수 있지만 그 외에 일들은 하나같이 햄릿의 편협적인 사고라 볼 수도 있다. 왕비는 자신의 아들을 살리기 위해 한 선택일 수 있으면 플로니어스는 왕의 신하로써 의당 해야할 행동을 했고 친구들은 친구로써 햄릿을 아끼는 마음과 왕의 부탁을 받아 한 행동말고는 없다. 햄릿은 점점 오해에 오해를 더하고 스스로 만들어낸 세계에 빠져 버려 다른 생각이나 이야기는 들리지 않아 플로니어스를 죽이게 되고 이 후에 왕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한 것일 수도 있다.
 Paranoid, obsessed, or is the twin Other things unknown, but through the fact that the king killed the king's own king monologue as one may see Hamlet's narrow-minded thinking. Behavior choice if you can in order to save his son, Flo Earth Houses should act as servants of the king and the queen, the dear hearts and the king of Hamlet as a friend to ask friends, except not. Hamlet left out in the world made ​​itself increasingly adding to the misunderstanding on misunderstanding think it could also be that the choice to kill the workflow Earth is inevitable after the king, I do not hear or talk.

햄릿은 무척이나 입체적인 인물이라고 표현했지만 어떤 면에서는 아주 아주 단순한 인물이다. 비록, 그가 많은 지식을 갖고 있고 다양한 것이 교육을 통해 주입받았지만 그가 하는 행동은 오로지 아버지의 원수를 갚겠다는 한 가지 목표를 위해 너무나 일직선으로만 행동한다. 영약하지도 않고 치밀하지도 않고 좌, 우는 살피지도 않고 달리는 경주마처럼 행동을 하는 것을 볼 때 햄릿이 정말 똑똑한 인물일까라는 생각은 든다. 확실히 지혜로운 인물은 아닌듯도 하다.
Hamlet really expressed as a three-dimensional figure, but in some ways, is very, very simple figures. He acts, even though he would have a lot of knowledge and a variety of injected through education but one goal only to avenge his father's getdaneun so only in a straight line behavior. Hamlet Is it a really smart character that you think when you see the elixir neither dense nor left, crying addressed here did not act like a racehorse running costs. Is certainly wise figures ahnindeut

바로 이러한 점이 햄릿이 위대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분명히 작품은 하나인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다양한 생각돠 다른 관점에서 바라 볼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바로 고전의 힘이 아닐까 싶다. 물론, 내가 생각한 것들을 남들이 읽으면 아주 아주 우습지도 않게 볼 수 있겠지만.
 This point is the twin of Hamlet in this great work can be This person reading a variety of work, and even though one hop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 think obviously that enables us to see the power of that classic seems Of course, but to see others read what I thought, so very, very not that funny.

햄릿 작품은 이미 1~2번은 읽은 경험이 있다. 그 당시에는 지금과 같은 시대적 배경같은 것은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읽었고 읽으면서도 우리나라 말임에도 읽는 것도 어렵게 느껴졌다. 사실, 번연극은 예전부터 대사의 문제가 있었다. 우리 말과는 다른 표현으로 인해 고상하다고 좋게 표현할지 몰라도 입에 딱딱 맞아 떨어지지 않는 표현들이 많다.
 Hamlet work experience already read 1-2 times. At that time, no such thing now as historical background not read felt it difficult to read Calligraphy Korean reading even horses. In fact, from the metabolism of the old theater once had a problem. There are a lot of good representation of our words and the solid phase due to the different representations that might crackle in your mouth does not jibe expressed

이 책도 읽어보면 비록 극본이라 할지라도 어색한 표현이나 대사가 많이 보인다. 심지어,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도 '있음이냐 없음이냐 그것이 문제로다'로 표현되어 있다. 'to be or not to be'라는 영어 표현으로 하면 후자가 좀 더 가까운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말로 할 때 몇 십년 전이라고 해도 "그것이 문제로다"라는 표현을 할 사람은 없어 보인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이러한 번역극이 아마도 햄릿과 같은 세익스피어 작품이 번안되며 남긴 유산이 아닐까 싶다. 최근에는 이런 점이 개선되어 새롭게 번역이 되고 있는 듯 한다. 그 부분은 연극뿐만 아니라 일반 책에서도 볼 수 있다.
 This book even if you read the script, even though a lot of awkward expression or metabolism seems Even that, 'To buy or die it is the question' 'Are No or it's a problem!' Is expressed. the English expression 'to be or not to be' is the fact that the latter is closer. , But the words to this country a few decades ago, even when the phrase "That is the question," who do not seem to think. These works such as Shakespeare and Hamlet, nor the legacy beonyeokgeuk probably seems In recent years, been improved in the new translation of this point seems. That part of the theater, as well as plain can be seen in the book.

햄릿은 결국 죽는다. 왕도 죽는다. 왕비도 죽는다. 햄릿이 사랑했던 - 정말로 사랑했는지는 솔직히 모르겠다 - 오필리아도 죽는다. 오필리아의 아빠인 플로니어스와 레어티즈도 죽고 친구인 로젠크란츠와 길든스턴도 죽는다. 햄릿과 조금이라도 가까운 관계에 있던 인물중에 유일한 생존자는 호레이쇼이다. 호레이쇼만이 유일하게 이 모든 사건을 파악하고 있다. 그렇다면 햄릿이 아니라 호레이쇼가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도 한 번 구상해 보는 것도 재미있지 않을까 싶다. 철저하게 호레이쇼의 관점에서 말이다.
 Hamlet eventually die. Royal road to die. Queens die. Hamlet loved - that you really love, frankly, I do not know - Ophelia dies. Ophelia's father, Near Swami workflow reeotijeu tame Stern Rosen Kranzberg and die, friends die. Hamlet had close relationship with little figures Horatio is the only survivor. Horatio, the only one who makes all of these events are identified. Then also works well as Hamlet, Horatio as a hero, fun to try once envisioned not think. Thorough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oratio said.

햄릿은 그다지 길지 않는 분량이지만 다양한 면으로 인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여지를 주는 작품이다. 등장인물 한 명 한 명이 전부 각자의 사연과 사고를 갖고 움직이기에 더욱 그렇다. 햄릿이 과거에도 지금도 그렇듯이 미래에도 끊임없이 공연되는 것은 이와같이 우리 인간들의 다양한 면을 볼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싶다.
Amount of Hamlet that does not so much long, but a lot to think about various aspects in human work. Characters all have their own stories and thinking, especially on moving. Hamlet was still, like in the past, in the future, are constantly performing this way we humans can see that I might have to do with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