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여성에게 드리는 100자의 행복 - 하루에 하나씩(100 characters to offering women happy - day by day)


세상을 지배하는 것은 남자라고 한다. 그 남자를 지배하는 것은 여자라고 한다. 결국에는 여성들이 이 세계의 지배자가 되어 버리는데 그렇게 되어도 딱히 문제 될 것은 없어 보인다. 오히려 남자가 지배하는 것보다는 더욱 좋은 세상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물론, 무서운 여자들은 남자들보다 더 철저하고 확실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는 보다 인간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To dominate the world, man. To dominate the man is called a woman. Women eventually have to take out the ruler of this world, so even if no apparent problem there seems. Rather better than male-dominated world would not also want to. Scary women, of course, and certainly more thorough than men, but as a whole when thinking would not it more humane to costs.

여성에게 드리는 100자의 행복은 좋은 경구들로 가득차 있는 책이다. 하루에 하나씩 읽는 것이 차라리 좋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 책을 집어 들고서는 그 자리에서 단숨에 읽었다는 표현을 해도 전혀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많은 시간을 들지 않고 읽었지만 그 내용마저 단숨에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Happiness is a book full of good oral with women offering 100 characters. Did one day to read rather good, I think. Dash to identify its contents, even in a book to be read lightly "He grabbed the book to put in its place skimped too much time even without lifting the dash to read the expression read but not

성경중에 있는 여러 내용중에 시편에 해당한다고 할 수 도 있고 각 종교에서 나오는 좋은 문구나 훌륭한 선인들이 남긴 경구를 모아 놓은 것과 같은 책이다. 상당히 짧은 시간에 읽었지만 사실 하나씩 하나씩 음미하면서 천천히 읽어야 한다. 국수는 후루룩하고 먹을 수 있지만 설렁탕은 그럴 수 없다. 천천히 숟가락으로 떠 후~ 불어 식혀가며 먹어야 하는 것과 같이 읽어야 할 책으로 보인다.
Book is the same Bible during content that corresponds to the specimen during the collection of terms from each religion good or great ancestors left behind by oral Rea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but one appreciates the fact that one should read it slowly. Noodles and hururuk can eat, but I can not. Seolleongtang Slowly spoon after blowing cooled gamyeo eat and seems to like to read books.

이 책 처음에 거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거울은 여성을 대표하는 물건이라 할 수 있다. 남성들도 거울을 보면서 여러 일들을 하기는 하지만 여성들에 비하면 거울이 없어도 될 정도로 할 수 있는데 여성들이 거울 앞에 섰을 때 본연의 나와 만나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보기도 하겠지만 자신을 꾸미기 위한 도구로도 활용한다.
This book tells the story for the first time in the mirror. To mirror the things that represent women. Men compared to women without a mirror so you can meet women stood in front of the mirror when the original listed to look inside ourselves to see, but to many things, I have looked in the mirror, but also as a tool for yourself decorating should also take advantage of .

거울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아무런 꾸밈이 없는 나를 보여주기도 하고 온갖 치장을 하고 있는 나를 보여주기도 한다. 어떤 모습을 하고 있어도 거울에 비친 인물은 나라는 것에 대해서는 변함이 없다. 보이는 면이 어떨지라도 말이다. 하지만 거울을 바라보는 내 상태에 따라 거울을 바라보는 내 모습은 달리보인다.
Mirror shows his No unadorned give me all kinds of trappings and shows me. And any appearance, even if the figures reflected in the mirror for the country that has not changed. Even if only on whether the visible surface. However, depending on the status of my mirror looking in the mirror looking at my appearance otherwise seems

마찬가지로 이 책의 내용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그냥 좋은 내용일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있는 사람의 상태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특히, 이 책은 여성에게 드린다는 가제가 있는 것처럼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좀 더 와 닿을 수 있는 내용이다. 꼭 여성으로 편헙한 시각으로 볼 필요는 없지만 말이다.
Similarly, the contents of this book can be equally good just to anyone. , But it depends on the state of the people who read this book can be This book, especially women, as if to knock the gauze to women rather than men and can reach a little more content. But as women need to see visual pyeonheop said.

천천히 하루에 하나씩 한 페이지만 읽고 그 날 하루종일 생각하며 음미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 되지 않을까 한다. 우걱 우걱 꾸겨 입속에 집어 넣는 것보다는 입에 들어갈 만큼 넣은 후에 천천히 음미하면서 먹을 때 더 맛있고 영양도 골고루 온 몸에 퍼지는 것과 같이 말이다.
A good way to think about all day and sip slowly read only one page - one for each day of that day will be. As put in your mouth woogeok woogeok kkugyeo, rather than spreading to more delicious and nutritious, balanced whole body when you eat slowly while savoring enough to fit in your mouth after you insert the said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