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생은 소설이다 - 역시 기욤 뮈소

 

기욤 뮈소. 내가 아주 즐겨 읽었던 소설가였다. 기욤 뮈소가 썼던 모든 소설을 전부 읽었다. 탐닉이라는 표현은 다소 거창하지만 이렇게 대중적인 소설이라니. 지금은 어느 정도 많아졌겠지만 글로 써 있는데 화면을 보는 것처럼 소설을 읽었다. 내용도 무척이나 참신했다. 판타지 장르는 아니었지만 그런 요소를 아주 적절히 잘 섞여 저절로 몰입도를 높여줬다. 읽으면서 다음 내용이 궁금하고 어떤 식으로 전개되는지 빨리 다음 페이지를 넘기고 싶어 휘리릭 읽기도 했다.

전작주의처럼 다 읽었더니 어느 순간 패턴이 보이면서 좀 지루해졌다. 처음에 느꼈던 참신함이 많이 사라졌다. 다른 소설에서도 이제는 느낄 수 있기도 했다. 그래도 언제나 내 마음속에는 기욤 뮈소의 소설을 읽어야겠다는 의지가 강했다. 하다보니 도서관에서 보지도 선택하지도 않았다. 여전히 기욤 뮈소의 인기는 대단해서 도서관에서도 신작은 쉽게 대여하기 어려웠다. 그나마 읽을까하는 책은 워낙 많은 사람들의 손을 타서 너덜너덜해지면서 괜히 집고 싶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최근에는 기욤 뮈소의 책을 읽지 않았다. 그렇다해도 한국에 출판된 책 중에서는 대략 최근 1~2년 정도만 안 읽었을 듯하다. 이번에 새롭게 출간된 <인생은 소설이다>를 읽게 되었다. 그동안 작가는 결코 멈추지 않았다. 그동안 다소 익숙해졌던 패턴을 아주 참신하게 비틀었다. 그 전에는 다소 뻔히 보이던 그 패턴을 완전히 새롭게 만들었다. 뭔가 판타지같은 느낌은 여전히 있다. 그걸 판타지라고 해도 되는데 어떤 식으로 보여주느냐가 핵심이다.

작가라는 존재는 그런 면에서 참 대단하다. 사실 해마다 책을 펴내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나름 이것도 노동이다. 나도 어느덧 몇 권의 책을 쓴 저자로 해마다 책을 펴 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잘 안다. 책을 읽는 입장에서는 작가가 쓴 것만 보면서 평가한다. 쓰는 책마다 항상 새롭긴 힘들다. 본인은 노력하지만 읽는 입장에서는 수많은 소설 중에 하나일뿐이다. 그렇게 좋아했지만 한동안 안 읽었던 기욤 뮈소의 책을 이번에는 읽으면서 무척이나 재미있고 집중해서 읽었다.

집중이라는 것은 별거 아니다. 재미있어 다음 내용이 궁금하면 된다. 저절로 집중하면서 읽게 된다. 소설의 가장 큰 매력이다. 다른 분야와 달리 소설은 작가가 펼쳐놓은 세계에 빠져들면 상상을 하면서 내용을 쫓아가게 된다. 저절로 다음 내용이 궁금하고 읽는 속도마저 빨라진다. 속도가 빨라지는 것인지 좀 휘리릭 읽게 되는 것인지 여부는 모르겠다. 그만큼 마음이 조급해지면서 그 다음 내용을 빨리 쫓아가며 페이지를 넘기는 나를 발견할 정도로 읽게 된다.

책 목차 중에 로맹이라는 이름이 들어가기에 로맹 가리를 떠올렸다. 에밀 아자르란 필명으로도 활동하며 그가 쓴 소설이 전부 대중과 평단의 각광을 받았다. 무엇보다 자신을 속이고 소설을 펴 냈으니 말이다. 혹시나 했는데 책은 명백한 에밀 아자르이자 로맹 가리를 위한 헌사처럼 느껴진다. 아예 주인공 이름을 로맹이라고 한 순간부터 말이다. 책 내용도 그것과 완전히 연결되었다. 처음에는 그다지 인식하지 못하다 두 번째 챕터 제목에서 로맹이 나오자 저절로 떠올렸다.



소설은 액자구조로 되어있다. 라고 작가는 독자와 게임을 한다. 기욤 뮈소의 소설은 대부분 어느 정도 추리 요소가 들어가면서 로맨스를 그 바탕으로 깔고 있다. 초반에 비해서 최근에는 좀 더 부성애나 모성애를 많이 내세우는 듯하다. 플로라 콘웨이라는 작가와 팡틴 출판사 대표가 나온다. 둘은 엄청난 소설을 만들어 세상에 선 보인다. 플로라에게 불행이 닥치면서 한 막이 끝난다. 그 후에 로맹이라는 작가가 다시 나온다. 로맹은 알민과 이혼한 상태로 테오 아들이 있다.

알민은 로맹에게 모든 것을 빼앗고 테오마저 빼앗는다. 로맹도 작가지만 최근에는 전혀 새로운 소설을 쓰지 못하는 중이다. 소설의 순서는 플로라가 먼저 나와 충격적인 요소와 추리적인 내용으로 흥미를 끈다. 그 후에 로맹이 나와 갑자기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모든 것을 설명한다. 소설의 내용은 작가인 자신이 신으로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그 로맹에 대해 읽고 있는 나는 그마저도 창조된 캐릭터라는 걸 아는 상태에서 읽고 있는 다소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워낙 간만에 읽어 그런지 이 책은 로맹 가리뿐만 아니라 기욤 뮈소 자신의 이야기도 함께 담겨 있는 듯하다. 분명히 예전에 비해서 기욤 뮈소의 책은 사람들에게 선택되지 않는다. 익숙한 패턴은 읽혔고 전개가 어떻게 될 지 지레짐작으로 읽지 않고 판단한다. 이 책을 읽기 전 내가 그랬는데 소설을 읽으면서 기욤 뮈소가 다시 돌아왔다는 생각을 했다. 최근 2권 정도의 소설을 읽지 못했지만 나에게는 그랬다. 여전히 흥미로운 요소로 독자를 작가가 끌어들이면서 대중 소설을 읽는 재미를 선사한다.

증정 받아 읽었습니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편견은 무섭다.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기욤 뮈소 소설은 여전히 재미있구나.

기욤 뮈소의 다른 소설

https://blog.naver.com/ljb1202/220965128958

7년 후 - 로맨스

기욤 뮈소의 소설을 전부 읽었다. 시중에 나온 모든 소설을 읽고 찾아 읽고 전작주의처럼 읽었다. 어느 순...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jb1202/220974994243

지금 이 순간 - 재미있다

기욤 뮈소에 대해 좀 불평은 했지만 그가 한국에 펴 낸 책은 거의 다 읽었다. 그만큼 좋아한다는 뜻이다.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jb1202/220274593502

센트럴 파크 - 사실 인식

센트럴파크 작가 기욤 뮈소 출판 밝은세상 발매 2014.12.11 리뷰보기 예전 회사 동료가 기욤 뮈소의 책을 ...

blog.naver.com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