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교통사고 후유증 - 눈에 보이지 않는

 

몇 년 전에 책쓰기 수업을 한 적이 있다. 그 당시에 수업을 들었던 분들 중 한 명이 <모르면 나만 고생하는 교통사고 후유증> 저자였다. 당시에 책쓰기 수업을 들었던 분 중에 대략 50%가 책을 썼다. 이 정도면 나쁘지 않은 결과였고, 괜찮은 수업이었던 듯하다. 1년에 한 번씩 하려했는데 여러 여건상 못하고 있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 이번에 책을 펴내게 되었다고 연락이 왔다. 내 수업뿐 아니라 다른 수업도 들은 것도 같긴 한데 수업때 함께 이야기한 목차나 구성이 있었다.

한의원은 운영하는 한의사인데 교통사고 전문이다. 교통사고 후에 한의원을 가서 치료 받는 경우가 과거에 비해 많아졌다. 내과가 있고, 외과가 있다면 교통사고는 외과에 직접적으로 해당하지만 복합적이긴 하다. 이 책에서 다른 것은 외과적인 현상이긴 한데 직접적으로 눈에 보이진 않는다. 교통사고라고 하면 피를 뚝뚝 흘리며 어디가 부러지거나 장기 하나가 나오는 끔찍한 걸 떠올린다. 가볍게 접촉사고가 난 후에 서로 외부적으로 딱히 문제 없으니 헤어지기도 한다.



교통사고는 후유증이 크다고 말한다. 보통 당일이 아닌 다음날 후유증이 온다고 말한다. 나는 딱히 자동차를 운전하지 않는다. 그러니 교통사고가 날 일도 당할 일도 지금까지 없었다. 여러 방송을 보면 교통사고라는 것이 내 의지와 상관없다. 아무리 조심 운전을 하고 방어 운전을 해도 갑자기 차가 느닷없이 덮치는 일도 비일비재한다. 이런 상황을 볼 때 교통사고는 어쩔 수 없는 측면도 분명히 있어 보인다. 문제는 교통사고가 난 후에 아무런 외상이 없어 보인다는 점이다.

분명히 교통사고가 났는데 외적으로 볼 때는 별 문제가 없다. 혹시나 해서 엑스레이를 찍어도 어디가 부러진 곳도 없다. 사고 당사자도 당장 아무런 아픔이 느껴지지 않으니 별일 없다는 듯이 생활한다. 이상하게도 다음 날부터 뭔가 내 몸이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해도 아무런 증상이 발견되지 않는다. 의사도 별 문제는 없다고 말한다. 이런 상황에서 아프다는 말을 하지도 못한다. 특히나 회사 등에서 아프다고 해도 이해를 하지 못한다.

이런 상황이 꽤 많은 듯하다. 보기에 아무 문제가 없으니 꾀병을 부린다고 오해한다. 나 자신도 겉으로 볼 때 멀쩡한데 아프니 말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끙끙 앓게 된다. 이런 상황이 바로 교통사고 후유증에서 제일 어려운 경우 같다. 직접적으로 큰 피해를 입는 것이 가장 큰 문제겠지만 차라리 눈에 보이니 사람들에게 케어도 받고 나도 치료에 집중하면 된다. 그와 달리 분명히 겉으로 멀쩡한데 아프다고 하니 서로가 어찌할 바를 몰라한다. 이해 못하는 상대방이 원망스럽기도 하다.

나같은 경우도 교통사고가 난 적은 없지만 허리가 자주 삐끗했다. 겉으로 아무 문제가 없으니 아프다는 말을 못한다. 막상 움직이려면 제대로 일어서지 못한다. 불편하고 어색한 자세로 일어선다. 특정 자세에는 몹시 아파하면서 어쩔 줄 몰라한다. 이럴 때 물리치료를 받긴 하는데 당장 곧장 상태가 좋아지는 것도 아니다. 대부분 잠을 잘 못 자거나 특정 자세를 너무 오래하고 있을 때 근육 등이 놀라 그렇다. 대부분 이럴 때 겉근육은 어느 정도 치료로 상태가 좋아진다.



겉 근육이 아닌 속 근육까지 함께 풀어줘야한다. 그렇지 못한 상태에서 움직이니 제대로 활동을 못한다. 속근육을 풀어줘야 하는데 쉽게 풀어지는 건 아니다. 더구나 이를 위해 함부로 운동을 강하게 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 무엇보다 속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으로 조금씩 해줘야한다. 이런 사실은 이 책을 통해 배웠다. 사실 우리 주변에 교통사고를 당하는 사람들이 많다. 대부분 큰 사고와 달리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경미하다 생각되는 충격에 별 생각없이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을 읽어보면 그러면 안 된다. 초기에 빨리 치료를 받아 놓지 않는다면 해당 부위가 치료하기 힘든 상황으로 갈 수 있다. 바쁘고 생업이 우선이라 차일피일 미루다 한 달이 지난 후에 한의원을 찾아와서 고생하는 경우도 많다. 이미 해당 부위가 치료하기에 만성이 된 경우도 있다. 앉아 있는 것도 허리는 압박이 되는 상황이다. 결코 쉬는 상황이 아니다. 이러다보니 운전을 다시 하려 하거나 일상에서 오래도록 앉지 못하고 제대로 발을 뻗지도 못하는 상황이 생긴다.


그럴 때는 남들이 볼 때는 이상하더라도 가장 편한 자세를 찾아 쉬는 것이 좋다. 다리를 구부리는 등의 자세로 말이다. 책에서 관련되어 그림이 함께 곁들여지는데 몇몇 그림은 본문과 그다지 어떻게 연결해야 할 지 애매한 것도 있었다. 설명이 다소 부족해서 말이다. 우리 주변에 교통사고를 비롯한 자잘한 외상사고가 많다. 이럴 때 어떻게 하면 좋은지에 대한 정보가 다소 부정확하다. 대부분 카더라가 많다. 이 책을 읽어보면 좀 더 객관적으로 처신해야 할 것들을 알게 된다. 

증정 받이 읽었습니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책 출판 축하드려요.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통증에 대한 올바른 치료를 알고 싶다면.

함께 읽을 책

https://blog.naver.com/ljb1202/220097029516

 

흰띠 한약사 - 기본서적

흰띠 한약사 작가 이혁 출판 생각나눔 발매 2014.05.15 리뷰보기 매 월마다 출판사와 저자들이 직접 책을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jb1202/220064586002

 

올 댓 스파인 - 척추

All That Spine 알고 싶은 척추의 모든 것 작가 올댓스토리 스토리텔러 출판 이야기원 발매 2014.06.27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jb1202/202900589

 

허허 동의보감 - 기차게

허영만 허허 동의보감 2 작가 허영만 출판 시루 발매 2014.02.03 리뷰보기 동양의학은 어릴 때 참...

blog.naver.com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