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19의 게시물 표시

땅투자, 이렇게 한번 해볼래요? - 지도

이미지
부동산 투자를 하는 사람들의 가장 마지막이 토지라고 한다. 처음에는 많은 지식이 없어도 가능한 주택으로 시작한다. 그 중에서도 아파트가 대부분이다. 이 후에 좀 더 수익을 올리기 위한 방법으로 눈을 돌리게 된다. 상가를 하는 사람도, 토지를 하는 사람도 있다. 아파트는 임차인 관리가 쉽지 않으니 다른 쪽을 눈을 돌리는 경우도 많다. 상가는 수익도 훨씬 좋게 느껴지고 임차인이 알아서 주인에게 연락하지 않고 다 처리를 하니 무척 편하게 느껴진다. ​ 토지 투자는 임차인이 없으니 신경 쓸 것이 없어 매력적으로도 보인다. 둘 다 막상 해 보면 쉽지 않다. 상가는 까닥하면 임차인은 구하지도 못하고 공실때문에 엄청나게 속썩이다 끝나는 경우도 있다. 토지는 그저 땅을 산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한국이 좁디 좁은 땅 덩어리라고 하지만 중요한 땅 덩어리가 아니면 쓸모없는 경우가 태반이다. 아주 적은 돈으로도 당장이라도 살 수 있는 땅은 수두룩하다. 부동산 경매 사이트를 들어가면 엄청나게 많이 볼 수 있다. ​ 심지어 몇 십만 원에도 구입할 수 있는 토지가 있다. 이런 걸 볼 때 토지구입하는 것이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런 건 주택도 마찬가지긴 하겠지만. 내 주변에도 토지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분들이 하는 이야기 중 하나가 최소한 임대차 문제로 신경 쓸 것은 없다고 말한다. 토지 투자는 대체적으로 개발과 가장 큰 연관이 있다. 개발이 되는 곳을 미리 구입해서 기다리거나 내가 개발을 하거나. 둘 중에 하나만 잘 해도 꽤 수익이 쏠쏠하다는 것이다. ​ 과거에는 토지 투자라는 것이 아무나 할 수 없는 걸로 여겼다. 은밀하게 개발 계획을 남들보다 먼저 알아낸다. 그 후에 해당 토지를 더 은밀하게 매입한다. 나중에 정부에서 발표가 난 후에 사람들이 몰려들며 큰 수익을 남기고 매도한다. 이런 식으로 돈을 버는 걸로 알고 있다. 이런 내부 정보를 아는 사람이나 그 주변 친인척들이나 돈을 버는 방법처럼 말이다. 이제는 다르다. 누구나 얼마든지 정보를

2만 원의 행복 - 피트니스

이미지
어느 날부터 길거리를 다닐 때 변화된 풍경 중 하나가 전단지에서 느껴졌다. 보통 전단지는 각종 분야에서 나눠주는데 피트니스 전단지가 많아졌다. 실제로 전단지 나눠주는 아줌마들도 있었지만 몸 좋은 트레이너들이 직접 주기도 했다. 예전에는 피트니스 전단지가 거의 없었는데 갑자기 많아졌다. 전단지를 나눠줄 뿐만 아니라 전봇대 등에도 많이 보였다. 대략 1~2년 전부터 이런 경향이 아주 많이 보였다. 회식문화가 달라지고 주 52시간 등의 문화가 생기면서부터다. ​ 그때부터 사람들이 오후나 저녁 시간을 활용하는 방법이 다소 달라졌다. 이전에는 음주가무를 즐겼다면 이제는 각자 자신이 할 것을 하는 문화가 생겼다. 그 중에서 부담없이 어디서나 할 수 있는 것 중에 하나가 피트니스다. 아마 이것도 사회가 발달하며 경제 수준이 올라가면서 함께 새롭게 문화가 생기는 것이 아닐까한다. 그러면서 언제부터 피트니스 센터가 엄청 많이 생겼다. 덕분에 어지간한 건물 지하가 뜻하지 않게 호황을 맞이한 걸로도 안다. ​ 사람들이 피트니스 센터로 몰려들자 상당히 많은 업체가 생겼고 거기에 개인 PT뿐만 아니라 그룹 GX라는 것도 많이 보급되었다. 자신의 몸에 대한 관심도 달라지면서 사람들이 스스로 운동을 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었다. 어디서 나타났는지 모르지만 피트니스 트레이너나 요가는 물론이고 필라테스 등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노력이 많아지면서 성수기를 누르는 듯하다. 그런 전단지 중에 꽤 인상깊은 것이 있었다. 대부분 전단지를 보면 비포 앤 애프터가 주였다. ​ 거기에 몸매 좋은 트레이너들이 포즈를 취하면서 '너도 이렇게 될 수 있어!'라는 식의 문구가 많았다. 최근에는 그런 전단지가 보이지 않지만 살짝 촌스러운 피트니스 전단지가 있었다. 캐릭터가 나오며 꽤 저렴한 금액이고 어느 지점을 가도 된다는 광고였다. 그런 식의 전단지가 흔한 것은 아니라서 기억에 남았다. 그 전단지는 '새마을 휘트니스'라는 곳이었

군중 심리 - 이성 보다 감정

이미지
개인이 뭉치면 군중이 된다. 집단지성이라 말한다. 여럿이 모이면 그들이 갖고 있는 각자의 경험과 지식들이 쌓여 혼자면 불가능할 것들을 해결하는 걸 말한다. 그만큼 혼자보다는 여럿이 함께 할 때 훨씬 더 똑똑하다는 뜻이다. 정말로 그럴까. 이 부분은 케바케 라는 표현이 정확할 듯하다. 집단지성이라고 불릴 때도 있지만 군중이 될 때 인간은 엄청나게 이상한 짓을 한다. 논리적으로 이해 되지도 않고 이성적으로 볼 때 개인이라면 하지 않았을 행동을 한다. ​ 혼자면 좀 더 차분하게 이성적으로 판단 내렸을텐데 집단으로 있을 때 차마 거절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건 아닌데'라는 생각을 하지만 입 밖으로 내뱉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어..어..'그러면서 따라가게 된다. 지나고 나서 하지 말았어야 할 행동을 했다는 자책할 때는 이미 늦은 경우가 대다수다. 나는 절대로 그렇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군중심리> 책은 세상에 나온지 이미 100년도 넘은 고전이다. 과거와 달리 현대인은 엄청난 정보와 지식으로 무장했다. ​ 지난 100년 동안 발전 과정을 돌아 볼 때 그 이전의 수천 년보다 훨씬 더 큰 발전을 이뤄냈다. 우리 인간도 똑같이 그럴것이냐고 묻는다면 안타깝게도 전혀 그렇지 않다. 정보와 지식은 더 많아졌을지라도 인간의 행동양식은 여전하다. 과거보다 더 잘 살고 있고 편리한 생활을 한다고 결코 더 지혜로운 것은 아니다. 과거보다 훨씬 더 개개인의 지혜는 상승했을 것이라 본다. 글자의 전파와 교육 수준의 향상은 과거와 비교될 수 없다. 이런 개개인의 모이면 과거와는 다른 행동을 해야 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 여전히 과거처럼 군중이 되었을 때 개인의 이성은 사라진다. 군중이 되었을 때 이성보다는 감정이 우선이다. 아마도 집에서 혼자 조용히 스포츠 경기를 본다면 차분하게 관란했을 사람이다. 경기장에서 여러 사람과 함께 관람하면서 주변 분위기에 취해서 나도 모르게 혼자서는 절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