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행복한 나라의 조건 - 얀테의 법칙


행복에 대해 최근 연구가 활발하다. 예전에도 행복에 대해 이렇게 집착했을까. 행복하다는 표현 자체가 과거부터 있었을까. 복이라는 단어가 한자인걸 보면 과거부터 복이라는 단어와 함께 내려온 건 같은데 행복이 그렇게 중요한 개념이었나라는 생각을 한다. '행복해 죽겠다.'는 표현도 과가에 있었을까. 행복이란 단어를 입 밖으로 내는 것은 최근의 일이 아닐까싶다. 언제부터 이렇게 의식하지 않고 행복이란 단어를 입밖으로 꺼냈는지 모르겠다.

심지어 각 국가의 행복지수까지 매기고 있다. 이럴 때마다 늘 사람들은 놀라워한다. 예상하지 못한 국가에서 행복지수가 높다. 아무리 봐도 우리가 더 잘사는 것 같은데 그들이 우리보다 행복지수가 엄청나게 높다. 우리보다 잘 사는 선진국이 그런 것은 쉽게 용납하고 인정하지만 그렇지못한 국가라 판단되는 나라가 그러면 고개를 갸웃둥한다. 그러면서 다들 합리화를 한다. 경제력과 행복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잘 산다고 행복한 것은 아니다.

못 사는 나라는 차라리 빈부격차가 심하지 않아 비교할 것이 없으니 다들 행복한 것이다. 이런 이야기를 한다. 반드시 꼭 틀렸다고 할 수는 없다. 한국도 과거에 누가 누구를 비교하며 행복한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은 걸로 안다. 다들 먹고 살기도 힘들었다. 빈부격차도 심하지 않아 잘 사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생활수준 등의 차이가 심하지 않았다. 이것도 생각해 볼 것은 예전에는 수준 차이가 덜한 것이 아니라 잘 몰랐던 것이 아닐까. 

매스미디어가 발달하지 않았고 지금처럼 SNS를 통해 내가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의 일상과 소비를 간접적으로 알지 못했다. 이러니 굳이 비교할 필요가 없으니 그러려니 하고 살지 않았을까. 지금은 워낙 너무나 많은 것들이 오픈되며 저절로 알게 된다. 나도 모르게 내 상황과 비교하며 자꾸 스스로를 불행하게 만든다. 흙수저, 금수저라는 단어 자체도 그런 측면에서 나온 것은 아닐까. 차라리 몰랐으면. 이게 알고 모르고의 문제가 아닌 공정한 룰에 대한 문제긴 하지만.

너무나 당연히 한국보다 독일이 더 행복할 것이라 믿었다. 한국은 늘 행복지수 국가에서 거의 꼴지한다고 알고 있었다. <행복한 나라의 조건>은 독일 책이다. 독일이 늘 행복지수에서 밑바닥에 있어 책 저자는 행복지수가 높은 국가들은 무엇이 다른지 직접 그 국가에 가서 사람들과 인터뷰를 했다. 또한 그 국가의 특성에 대해 조사했다. 이를 근거로 독일과 비교하며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는 기획을 한 연구조사였다.
맞다. 괜히 궁금했다. 정말로 그들과 무엇이 다른 것일까. 잘 모르는 내 입장에서는 독일이나 그들이나 큰 차이는 없을 듯 한데. 여기서 나오는 유럽 국가는 스킨디나비아국가들이다. 내가 볼 때 독일과 얼마나 차이가 난다고. 독일은 돈 없어도 대학을 가고 합리적이고 시스템적으로도 우수하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불만, 불평이 많았단 말이야..라는 생각이 떠 올랐다. 처음에는 무조건 북유럽국가들은 살기 좋다고 생각했지만 그쪽 국가들의 저자가 쓴 추리소설을 읽으면 우리와 다를 것도 없었다.

모든 사람은 다 그렇게 비슷하다는 것이 내 판단이었다. 추리소설을 읽어보면 거기도 우리처럼 추악한 것도 있고 서로 속이기도 하고 살인도 벌어지면서 말이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흥미가 생겼다. 읽어보면 무엇이 다른 지 알게 된다. 각 국가마다 개별적인 특성이 있다. 그 중에서 내가 가장 주목한 것은 바로 '얀테의 법칙'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당신이 특별한 존재라거나 우리보다 더 우수하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대부분 행복한 국가의 조건이다. 정확히 표현하면 잘 사는 국가의 핵심이다. 나는 늘 한국의 가장 큰 문제는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라 열심히 주장한다. 각자가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내편, 네편을 편 가른다. 부자는 부자대로 살아간다. 우리는 우리대로 살아간다. 그렇게 다를 수 있다. 이건 쉽게 변할 수 있는 문화가 아니다. 오랜 시간을 두고 변해야 할 문화다. 가끔 유럽 국가 뉴스를 볼 때 총리도 줄서서 밥을 먹고 일반인과 똑같이 한다. 바로 '얀테의 법칙'이다.

그는 우리 위에 굴림하는 인간이 아니다. 그런 직업을 갖게 되었고 그런 일을 할 뿐이다. 그 이상은 아니다. 이러니 똑같은 조건에서 공평하다. 누가 더 대단한 인물이 아니다. 자랑해야 할 이유도 없다. 오히려 이상한 사람이다. 자신의 일을 한 것인데 그게 왜 자랑이 되나. 충실히 각자 할 일을 하면 된다. 얼마전 봤던 <허드슨 강의 기적>에 썼던 영화평에도 그저 각자 해야 할 일만 제대로 해도 사회는 지금보다 훨씬 더 좋은 사회가 될 것이라 표현했다.

각자 자신이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으면서 불평한다. 사회 지도층이 뇌물을 먹었다며 욕하며 걸으면서 신호등을 어기고, 취사금지되어 있는 곳에서 술마시고 찌개를 먹고 큰 소리로 이야기한다. 이런 상황에서 누가 누구를 욕할 수 있을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한국사회에서 살기 좋다고 북유럽처럼 복지가 잘 되었고 인간답게 살 수있는 것으로 이민간다. 선택의 자유지만 그건 어떻게 보면 무임승차다. 자신은 한 것이 아무것도 없으면서 이미 잘 되어있는 곳에 가서 잘 살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자신부터 스스로 그런 사회를 만들기위해 실천하려고 하지 않을까. 

못사는 국가는 '얀테의 법칙'은 없지만 행복한 것이 더 좋다는 자기암시를 하며 살아간다. 멕시코 등은 치안도 불안정하고 먹고 사는 것도 상대적으로 풍요롭지 못하다. 룩셈부르크 같은 경우 외국인 비율이 50%가 된다. 이러니 오히려 외국인이 없으면 국가가 돌아가지 못한다. 더불어 사는 다문화국가가 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더욱 상대방을 인정하며 행복하다. 책을 아무리 읽어도 역시나 '얀테의 법칙'이 핵심으로 난 읽혔다. 나나, 당신이나 다 똑같은 인간이다. 

당신은 불행한가? 그렇게 생각하는가? 그렇지 않다면 무조건 행복하다. 그렇게 믿자. 그렇게 살자.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동어 반복적인 내용이 좀 많긴하다.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나부터 얀테의 법칙으로.

함께 읽을 책
http://blog.naver.com/ljb1202/220337562152
행복의 기원 - 생존과 번식

http://blog.naver.com/ljb1202/157936374
세상 모든 행복 - 은 나로부터

http://blog.naver.com/ljb1202/220079403440
행복하라 아이처럼 - 읽으면 좋아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