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르네상스 소사이어티 - 미래를 엿보다(Renaissance Society - Watch for the future)


미래를 훔쳐보는 자는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있다. 모든 사람들은 미래를 알고 싶어 한다. 자신이 어떻게 될 것인지, 사회가 어떻게 될 것인지, 내 가족들이 어떻게 될 것인지 등등. 타임머신에 대해 오래도록 꿈을 꾸는 이유는 미리 미래를 보고 올 수 있다는 욕망때문이다. 단순하게 로또 번호만 알아가지고 와도 내 인생은 달라진다. 그렇게 되면 다른 세계관이 시작되어 또 다른 내가 존재한다고는 하지만.
Who want to see the future can have a peek. Everyone wants to know the future. How would they be, what society would be, how my family would be so. Why Time Machine is a dream for a long time in advance can come to see that the future because of the desire. Only about lotto numbers and also has a simple, my life is different. Then start with a different view of the world that there is another, but I am.

미래는 모든 사람이 궁금해 하는 미지다. 지금까지 겪어본 적이 없는. 권력자들이 늘 보고 싶어 안달이 나서 미래를 볼 수 있다고 하는 점술사와 같은 사람에게 의지하는 경우도 생긴다.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이제 미래학자라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향후 미래가 어떤 식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Mijida future of all people are wondering. So far I have not been through this before. Powers have always reported that anxious to see the future then the jeomsulsa some cases, such as those who will occur. People are now talking about the future of futurology people grow up. These are the future of the future come to tell us in what way the role.

실제로, 이들이 예측하는 대로 진행되는 경우도 많았다. 문제는 일들이 하는 이야기를 보면 잘난체를 많이 하고 어려운 말을 많이 쓴다는 것이다. 미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지금과는 다른 기술과 제도등을 알려주기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존재한다고 해도 쓸데없이 자신만 알고자 하는 듯한 용어와 쉽게 풀어도 되는 걸 어렵게 꼬아서 알려주는 경우도 많다. 그래야, 자신이 좀 더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인 듯 도 하다.
In fact, they proceed as if there were many predict. The problem is that things are a lot of pretentious and difficult to see the story end will be a lot of writes. Now and in the future in order to describe the different technical and institutional aspects, and you can not tell that there is help if you know your own character that seemed winded easily solve any of the terms and you are often difficult to tell the twist. , So that they can reveal more is probably due to the presence of too.

차라리, 미래시점을 배경으로 하는 문화(영화,소설,드라마등)가 더욱 쉽고 확실하게 다가온다. 영화 마이너리 리포트같은 경우 당시에는 아주 먼 미래에 벌어질 일이라 생각되었지만 톰 크루즈가 손으로 화면을 터치하는 모습은 어느덧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는 일이 되어버렸다. 눈동자를 마주쳐서 광고를 하는 모습도 현재 인터넷에서는 개인별 맞춤광고가 노출되는 것을 보면 얼마 남지 않았을 것이다.
Rather, at the background of a future culture (movies, novels, drama, etc.) is certainly easier approaches. If you like my report at the time of the film is very Winery on what will happen in the distant future, but I think Tom Cruise is like touching the screen with your hand is a thing of obsession we have become routine. The ads ran into eyes look even personalized the Internet is running out ads that would not look.

미래에 대해 예측하는 책들을 보기는 했지만 대체적으로 너무 거창하고 거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보니 피부로 잘 와 닿지 않는 측면이 있었는데 '르네상스 소사이어티'같은 경우에는 어렵게 이야기하지도 않고 두루뭉실하게 이야기하지도 않는다. 누구라도 읽으면 미래가 그려질 수 있게 이해하기 쉽게 써 져 있어 저절로 향후 변화될 미래가 조금이나마 보이고 '그렇겠구나'라고 생각된다.
Read the book to make predictions about the future, but generally is too tremendous to be a huge story turned out well, and does not reach the skin side was 'Renaissance Society' difficult cases, such as the story of the story does not even mungsil nor throughout. Anyone able to read the future will be drawn into easy to understand and write a little bit about the future itself seems to be changing the future "That's possible're 'believed to be.

동양과 서양, 선진국과 중진국과 후진국, 물질과 탈물질등 향후 우리에게 펼쳐질 미래에 대해 보여준다. 10년내의 미래부터 20~30년 이후의 미래까지. 현재, 세계는 정체기를 맞고 있다. 산업혁명을 거쳐 자본주의가 모든 것을 휩쓸고 간 자리에는 물질을 통해 삶의 평안과 만족도가 함께 올라갔지만 더이상 물질적인 면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은 정체될 수 밖에 없다.
Eastern and Western, develop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jungjinguk, materials and substances, such as riding a future show us about the future unfolds. Within 10 years from the future to the future after 20-30. At present, the world is facing a plateau. Industrial Revolution swept through the place all that capitalism has a matter of life and peace through the onboard, but with no more physical satisfaction through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face can not but be stagnant.

서양에서 겪고 있는 문제가 바로 물질이 더이상 중요한 요소가 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제, 더이상 물질을 추구해야 할 필요가 없는 시대가 되어 있다. 이들에게는 집단이라는 권위도 필요없고 각 개인이 얼마나 더 탈물질적으로 살 수 있을 것인가가 점점 추구하는 삶이 되어 버렸다. 아직까지 동양은 물질적인 풍요로움이 채워지지 않았기에 물질적인 면을 추구하고 일치단결을 하고 있지만 동양도 결국에는 서양이 현재 겪고 있는 문제점을 맞닿게 될 것이다.
Right material in the West is no longer experiencing the problem, it is not an important element in the. Now, you no longer need to seek materials that do not need to be age. They have a group that does not need authority how much each person will be able to buy the material removal is increasingly pursuing a life with him. Oriental is still filled with material abundance did not pursue the unity of material and surface, but also the end of Western Oriental is currently experiencing problems will be brought into contact.

선진국들에서 서비스업이 80%가 되었고 향후에는 85%까지 진행될 것이라 한다. 인간이 하는 일을 기계가 대체하면서 인간은 서비스업으로 갈 수 밖에 없다. 완만하게 발달하면 그나마 적응할 시간이라도 있지만 급격히 진행되면 적응할 틈도 없이 자신의 직업이 사라지는 것이다. 아마도, 현재 대한민국이 겪고 있는 문제점이 아닌가 싶다.
Servic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80 percent of the proceeds from the future, would be 85%. The machine is replaced by the one man in the service sector of the human being can not but go. If you dont adapt to gradual development progressed rapidly adapt to time, but even without a break in the disappearance of his career. Perhaps, the current problems facing the Republic of Korea would like to or not.

갈수록 물질보다 탈물질을 추구하는 삶에서는 집단보다는 개인에게 더 집중되는 사회가 되어 대량생산보다는 각 개인에게 맞는 맞춤생산이 각광을 받게 될 것이다. 나 만의 자동차, 나 만의 집, 나 만의 모자등과 같이.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 각 개인에게 얼마나 더 집중하고 스토리를 갖고 접근하느냐가 중요하다. 이제 과거처럼 대량생산을 통한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의 만족도를 만족시키면서 다양한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이 살아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Material removal than ever to pursue the matter in the collective life of the community rather than the individual who is more concentrated than the mass-produced production is tailored to each individual will be given the limelight. I own car, or own house, and as such only a 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rather than focusing on how much each individual to have access whether a story is important. Now, through the mass production of the past, as it is not to maximize profit while satisfying the satisfaction of each individual to pursue a variety of interests is likely that the company will survive.

앞으로는 교육사업과 각 개인을 치유해 주는 사업등과 같이 탈물질에 부합되는 사업이 각광받을 가능성이 크다. 개인에 집중하는 사회가 되어 권위를 갖고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체제보다는 각자가 자신의 역할을 갖고 움직이는 체제가 살아남게 될 것이다. 르네상스를 통해 인간은 신으로부터 벗어나 인간에게 집중한 것처럼 새로운 르네상스를 통해 인간이라는 큰 범주에서 벗어나 각 개인에게 보다 집중하는 사회가 될 것이라는 이야기다.
Healing educational projects for the future, and that each individual business as such business meets the material removal is likely to get the limelight. Community to focus on the personal authority of the moving system has fourteen distraction than moving each have their own role in systems will prevail. Away from God through the Renaissance man is a human being, as a new focus on the big man through the Renaissance and beyond each individual category of the society, will be more focused story.

갈수록 인류는 과거보다 더 잘 살게 될 것이라 굶어 죽는 것과 같은 일은 점점 먼 옛 이야기가 되어버린다. 물질적으로 아쉬운 것은 없는 사회가 되어버린다. 그 이후의 세상은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바로 '르네상스 소사이어티'이다. 읽으면서 아주 타당하고 분명히 그렇게 될 것이라는 판단이 들었다. 시기의 차이가 있을 뿐이고 책에서처럼 서양과 동양과 선진국과 중후진국의 차이에 따라 시간적인 차례는 있을 지언정 결국에는 그렇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Toward humanity would be living better than in the past, such as starving to do more and more far away is an old story. Unfortunately it is not materially away society. What will be the world later on to predict the future is what 'Renaissance Society' is. Reading will be very reasonable and so judgment is heard clearly. There is a difference in time, as merely a book with the West and the East and developed a profound difference in the temporal order of developed countries is expected to be conducted so that in the end jieonjeong.

각 개인에게 더 집중하는 사회가 된다는 내용처럼 개인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이 많이 있어 더욱 읽기 편했다. 비록, 200페이지 이후에는 좀 거창하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알려주고 있지만 - 세계 경제, 정치, 집단등 - 그 부분도 앞에 전한 내용과 연계된 이야기들이라 읽는데 불편함은 없다. 이 사회에 끊임없이 살아남는 사람은 미래를 알기위해 노력하고 예측하고 자신의 포지션을 선정한다. 미래를 확신할 수는 없지만 유추라도 할 수 있다면 대비를 하면서 뒤쳐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e focus of each individual person and society as stating that there are a lot more readable detail come in handy. Although some tremendously after 200 pages and tells the macroscopic point of view - but the world economy, politics, population, etc. - that part of the story in front deulyira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secure content, there is no discomfort. To survive in this society who are constantly trying to predict the future and know that his position is selected. While we can not assure the future, even if you can infer the contrast because it can not keep pace.

'르네상스 소사이어티'는 그런 면에서 꼭 미래를 엿보고자 하는 사람이 아니라도 얼마든지 흥미롭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 궁금해 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과연?
"Renaissance Society 'is a glimpse of the future that sense, just as a person who is a book that can be read any number of interesting and fun. Whether the future will be curious about how people could not? Really?



함께 읽어볼만한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