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오직 독서뿐 - 독서!!(Only reading - reading)


독서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독서덕분에 내 인생이 변하고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어제의 나와는 다른 오늘의 나를 보게 된다. 그렇다고, 독서가 모든 것이라 생각하지는 않는다. 독서를 하지 않아도 잘 먹고 잘 살 뿐 아니라 지혜로운 사람들도 많은 것을 보기 때문이다.
Does not deny the need for reading. Rather, my life is changing, thanks to a lot of reading to find out yesterday and the other today to see me. Yes, do not think reading is all. You do not have to have a good reading, as well as year-wise because they see many things.

독서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서? 지루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이유이든 분명히 사람들마다 독서를 하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아무런, 생각없이 책을 읽는 사람은 없다. 독서라는 행위가 인간의 본능에 가깝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What is the reason for the reading? In order to acquire knowledge? To spend tedious hours?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s? Obviously any reason why each person has a clear reading. No, people are not reading a book without thinking. The act of reading is closer to human nature, I do not think.

편리함을 추구하는 인간에게 독서는 불편함을 강요한다. 멍하니 있어도 상관이 없는 다른 행위에 비해 독서는 책을 집어 들어 읽으면서 페이지를 넘겨야만 한다. 책을 읽는다는 것도 끊임없이 뇌속의 머리를 움직여야만 한다. 글자로 인쇄되어 있는 책을 읽는 것은 결코 가볍게 선택할 수 있는 행위는 아니다. 이런 이유로 독서가 부담없이 선택할 수 있는 수 많은 것들중에 하나가 되지 못한다. 그보다 훨씬 부담없이 선택해서 할 수 있는 것이 많은 지금의 시대에서는 더더욱.
Seeking the convenience of humans reading an inconvenience to push. This does not matter if idly reading a book other than the act of reading the page to pick up the pass only. Read the book is also the head of the brain must move constantly. Letters printed on it lightly to choose to read a book is not an act. For this reason, reading can feel free to choose from one of the many things that are not. Instead, you can even choose to feel it more and more in the present times many.

독서를 많이 한 사람들에게는 못된 습성도 있다. 많은 독서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남보다 많은 것을 알고 있다는 선민의식이 바로 그것이다. 특정분야의 독서를 통해 깊게 알고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통해 넓게 알고 있다는 사실은 저절로 독서를 많이 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잘난체 할 수 있는 근거가 되어 자신도 모르게 주화입마에 빠진 편협한 인간이 되어 버린다. 독서를 많이 했는데도 변하지 않는 인간이거나 재수없는 인간이 이런 부류에 속한다.
A lot of people have a bad habit of reading, too. Knowledge through a lot of reading to know more than others and that the elect will be very conscious. Deeply aware of the specific areas of reading and reading through various fields widely known fact that people who are not naturally a lot of reading on the basis of the comparison can be pretentious unwittingly fell into a narrow man is away he went crazy. Unchanged even after reading a lot of unlucky humans or humans belong to this class.

몇 몇 특수한 사례를 제외한다면 독서는 한 개인이 추구할 수 있는 가장 멋있고 궁극의 무엇인가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독서를 한다는 것은 다른 인간이 되어 간다는 뜻이 된다. 비록, 그 시간이 더디고 오래 걸릴지라도 오랜 시간동안 끊임없이 독서를 한 사람들은 한결같이 남들과는 다른 무엇인가를 얻고 달라진다. 아니면, 달라 보인다.
Except for some special cases, if a person can pursue reading is the most cool and the ultimate way to get something. Reading means that the other man is going to mean. Although, it is slow and take a long time for a long time, even the people who are constantly reading something that is different from the others consistently get changed. Or different.

독서는 책을 읽는 행위이고 인쇄되어 나와 있는 책을 읽는 것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독서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들도 있다. 대체로, 독서에 대한 필요성을 알려주거나, 독서의 방법에 대해 알려주거나, 독서를 통한 변화를 알려주거나, 독서할 책을 알려주기도 한다. 독서를 하고 싶어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독서에 대해 알고자 하는 사람들이 주로 읽는다.
And the act of reading is printed out to read a book in which to read a book that can tell you that these books talk about reading too. In general, the need to inform the reading, or reading about how to tell or inform change through reading, or reading a book that tells you pray. Reading or want to know about other people's reading that people often read


정민의 '오직 독서뿐'은 최근 독서에 대한 책이 많이 나와 있는데 그 중에는 선현들의 독서에 대해 알려주는 책들이 꽤 있는데 그런 부류중의 하나로 보았는데 이미 많은 책을 펴 내기도 했고 이런 종류의 책도 펴 낸 저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꽤 많은 사람들에 의해 선택받은 책이라는 것을 알게되어 좀 고민을 하다가 읽게 되었다.
Jung Min's "only reading, but 'is a book about reading a lot recently, which shows that while reading seonhyeon tell us about the books that are of that type, which is one of quite a number of books already saw this, I was kind of spread betting books Spread know that the author was chosen by quite a few people realized that the book is read while I was trouble.

짧게 선현의 이야기를 해석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보태서 하는 책들이 꽤 있는데 그런 책들을 이상하게 선호하지 않다 보니 - 논어와 같은 책들이 대표적인데 이상하게 피하게 된다 - 몇 번이나 이 책을 서점에서 잠시 보고 읽을 생각은 하지 않았는데 역시나 베스트셀러라는 이미지는 나로 하여금 결국 읽게 만들었다.
Seonhyeon short story botaeseo interpret the story of his book that there are quite a strange book that turned out not prefer - but typically odd books such as Analects avoided - how many times have I read a book in a bookstore while looking I did not figured the best-selling me to finally read the image is created.

9명의 선현들이 등장하는데 이 분들은 한결같이 독서에 일가견이 있는 분들이다. 아울러, 독서라는 것 자체가 공부라는 의미가 포함된다. 한마디로, 심층적 공부라고 표현할 수 있는데 이런 독서를 한 사람들이 자신이 독서에 대해 (공부에 대해) 알려주는 내용만을 발췌해서 소개하고 있다. 추가로 저자 자신의 이야기를 함께 곁들여서.
Seonhyeon nine to emerge're pretty good these people are the people who are reading consistently. Further, the reading means itself is included in the study. In short, in-depth reading of these studies can be said to represent the people about their reading (for the study) to inform the content only introduces the excerpt. Add gyeotdeulyeoseo with their own stories to the author.

고전을 꼭 읽어야 한다는 것에는 거부감을 갖고 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고전을 꼭 읽어야 한다는 당위성에 대한 거부감이지 고전을 읽지 않겠다는 의미가 아니라서 고전도 제법 읽는다. 고전을 읽어야만 독서이고 지혜를 얻는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다. 그런 의미로 볼 때 이 책은 고전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Be sure to read the classics to have that as a rejection, but that's where you have to read only the classics classic justification for the rejection not mean I will not read the recipe is not really read the classics. Read by reading the classics, and get the wisdom of resistance is about. Then the classical sense of the word that tells you about the book can be called a book.

몇 백년 전 사람들의 글이 아직까지 살아남아 후대에게 전달된다는 것이 바로 고전이 아닐까 한다. 독서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전해주는데 다만, 지금과는 분명히 다른 시대상과 환경이라는 점은 유념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대부분 조선시대의 문인들이 한 독서에 대해 알려주는 것이라 지금과 같이 다양한 분야의 책들이 범람하고 읽을 꺼리가 넘쳐나는 시대와는 달리 읽을 책이 어느정도는 한정되어 있어 그 책을 통해 깨달음을 얻은 분들이 이야기니 말이다. 
Post a few years ago people that are yet to be delivered to the surviving descendants is probably the right classic. I talk a lot in giving a reading, however, is clearly different now, and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 sidaesang not we want to keep in mind. Most writers have a reading of the Joseon Dynasty would now like to inform you about a wide range of books and reading Mind is overflowing flood era unlike reading a book is limited to some extent through the book, the story of enlightened people you said.

그 당시에도 수 많은 책들이 있었겠지만 지금처럼 옛사람들의 좋은 말과 인생과 삶에 대해 세상에 대한 진리를 탐구하는 말이 아니라 과학, 예술, 체육, 동물등등 그 당시에도 생각할 수도 없는 많은 분야의 지식이 넘쳐나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을 통해 인간에 대한 탐구와 세상에 대한 지혜라는 관점에서 독서에 대한 이야기가 도움이 될 것이다.
At that time, there were also a lot of books, but now the old man like a good horse and the truth about life and the world, about life, not make sense to explore science, art, sports, animals, etc. You might think that time is the proliferation of knowledge in many areas that do not respect for the human exploration of classic wisdom about the world in terms of reading the story will help you.

읽으면서 동의하는 부분도 있고 난 아닌데 하는 부분도 있고 같은 내용을 같고도 선인들마다 약간 이야기를 달리하는 경우도 있고 선인의 이야기와 달리 저자가 또 다시 달리 이야기하는 부분도 있다. 그만큼 독서라는 자체가 사람마다 다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방법도 천차만별이라는 뜻이 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I agree that reading the part that's not even part of the same content, the same story every little contrast to the ancestors and the ancestors of the cases, again unlike the author of the story, unlike a part of the story too. Every person reading it that much different from themselves vary widely accepted method is that it is probably the meaning.

오직 독서만이 내 맘대로 할 수 있는 행위다. 언제든지 내가 읽고 싶을 때 읽을 수 있고 궁금한 것을 언제든지 알려주는 내 맘대로 되는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독서이다. 오직 독서만이 모든 것이라고 나는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내 맘대로 할 수 있는 것이라 이야기하고 싶다. 독서를 통해 성장하고 위로받고 화를 내고 감동을 느끼고 모르는 것을 알게되고 같이 공감해주면서 단 한순간도 떠나지 않았다.
Only reading can only act within the Suit. Can be read at any time when I want to read it at any time, any questions that you can tell Whatever it is I just read that. All that I'm only talking about only reading but would I want to talk Whatever you can do. Reading through growing up getting angry and do not know what emotion to feel empathy haejumyeonseo just like to know and did not leave a moment too.

피로할 때 독서를 하면서 피로가 풀리고 마음이 심란할 때 독서를 통해 편안함을 느끼고 들 떠있는 마음을 다잡아 주고 온갖 잡생각이 머리속에 떠나지 않을 때 독서로 물리칠 수 있었다. 옛사람들이 오직 독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읽으면서 사실 커다란 깨달음이나 독서에 대한 것을 알게 된 것은 아니지만 나와 비교하면서 읽는 재미가 있었다. 내가 그처럼 대단한 사람은 아니지만.
Fatigue and fatigue when reading can become loose and upset to feel comfort in reading through the floating mind wander to catch them all in the head will not leave the reading was defeated. Reading the story about the old man that they only read the fact that a great awakening and learned about reading, but it was fun to read while comparing me. I was not such a great person.



함께 읽을만한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