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마녀 - 여전히 유효한 개념(Witch - Still a valid concept)


책이 재미없거나 내가 아직 잘 몰라 전혀 이해를 하지 못하거나 둘 중에 하나가 아닐까 한다. 전혀 생소한 분야의 책을 읽을때면 머리에서 받아들이고 이해하는데 꽤 시간이 걸린다. 익숙한 내용이나 개념이면 그다지 어려움 없이 집중하고 책의 내용에 젖어들 수 있는데 평소에 전혀 접하지 않는 분야는 읽어도 잘 안 들어오는 경험을 하게 된다.

 I still do not know the book at all funny or does not understand, or it might be one of the two. When I read the book in the field of entirely new head takes quite some time to accept and understand. If you're familiar with the content and concepts without much difficulty to concentrate on the content of a book, which can be jeoteodeul usually do not touch at all on the field do not read well, the experience will come.


내가 모르고 안 읽은 분야는 여전히 무궁무진하고 읽어도 모르는 것들은 더욱 많다. 그러다보니 이 책처럼 평소에 전혀 읽어보지 않은 분야는 읽는데 좀 불편하고 어색한 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읽는데 있어 안 읽히거나 어렵지는 않았다. 그런데, 읽으면서 재미가 없었다. 새로운 지식을 알기 위해 읽은 측면이 분명히 있을텐데 영~~ 나에게는 재미가 없었다. 불행히도.
I do not know do not even read, and read endless areas still do not know many things more. To do that, the book does not read at all like the usual, read a little uncomfortable and awkward if the field is true that you have not read or difficult it was to read. However, there was no fun as you read. Read the terms of new knowledge to know the spirit'd definitely was not fun for me ~ ~. Unfortunately.



'마녀'라는 책을 선택한 것은 호기심이 동했다. 중세부터 내려오는 마녀의 개념과 어떤 식으로 마녀가 생성되고 발전되고 악용되었는지를 알고자 하는 마음이 강했다. 그런 면을 속 시원히 밝혀주는 책이라 여기며 선택을 했지만 내 생각과는 달라 더 그런 것이 아닐까 싶다. 
'Witch' is selected, the book was a curious move. Comes down to the concept of a witch from the Middle Ages in any way exploit, and that witch has been created to develop a strong mind to know. If such a book out of my chest, but I think because the selection yeogimyeo unlike whether it would be more like that.



특히, 이 책의 저자인 쥘 미슐레는 1798년에 태어 났으니 이 책의 이야기인 마녀에 대해 그 어떤 사람보다 더 생생하고 자세한 이야기를 해 줄 것이라 여겼다. 마녀가 사라 진지 지금과 비교해서는 얼마 되지 않았으니 여전히 그에 대한 이야기가 회자되고 있을 시대였으니 더욱 적나라하고 솔직하고 이야기할 것이라 봤다.
In particular, the book's author, Jules misyulre you were born in the 1798 story of the book is about witches any more than a person more vivid and the story line will be considered. So now be compared with the witch disappeared've not been much talk about it still blows era is being talked about more openly and honestly and I saw the story would be.



더구나, 이 책은 마녀에 대한 정체를 밝히는 것보다는 어떤 식으로 마녀로 정치적으로 악용되고 일반인들이 써 먹었는지를 알려주는 책이라 더욱 마녀에 대한 시대상을 알 수 있는 면이 있지 않을까 싶었는데 분명히 그런 면이 나오기는 하는데 내 생각과 달리 보다 편협적이고 세밀한 이야기가 많았다. 보다 거시적인 스토리를 원한 내 마음과 달리 말이다.
Moreover, the book will reveal the identity for a witch in any way, rather than being exploited politically by the public as a witch tell us ate and write a book about a witch called sidaesang even if you can see clearly that I wanted would not have come out if Unlike the more narrow-minded and I think to the story was fine. Wanted a more macro-story and my heart says otherwise.



번역의 문제라기보다는 저자가 상당히 내용을 위트있게 역설적으로 설명하고 배배 꼬여 이야기를 하니 읽으면서 혼동도 된다. 분명히 저자는 카톨릭에 대해 냉정한 시선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부정하는 시선으로 서술하고 있는데 마귀는 있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한다. 초 자연적인 현상에 대해서도 그렇다면 부정해야 할 듯 한데 그건 그렇지도 않다.
Rather than a matter of translation by the author quite so paradoxical wit to explain the contents of the story do baebae twist may be confused as you read. Apparently the author of Catholic for a sober look at the eye of the eye, rather than to deny, which describes the way the story is that the Devil. Then about paranormal phenomena seem to deny even though it is not.

분명히 마녀로 몰린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마귀가 들린 사람들에 대해 설명을 할 때는 아무리 봐도 그 존재를 믿고 있는 상태에서 설명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신의 존재도 믿고 있다는 뜻이 될 듯도 한데 뉘앙스는 전혀 그렇지 않다. 오히려 이 책은 마녀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책이라기보다는 위선적인 종교인들에게 대한 이야기가 핵심으로 보인다.
Obviously people talk about witches and Moline heard people describe the devil, however when I see you believe in the existence of the state is described. Then you also believe in God means to be not at all nuances deutdo together. Rather, this book is a story about a witch rather than a book to talk about religious hypocrisy seems to be the key.



초반에 마녀가 어떤 식으로 나왔는지 설명할 때는 영주들로부터 시작을 하지만 마녀에 대한 본격적인 설명과 어떤 식으로 마녀로 몰리고 처형과 화형을 당하는지에 대한 설명에서는 수도원들과 수녀들이 자신들의 탐욕을 위해 이용하는지에 대해 설명을 한다. 심지어, 책에서는 성스러운 수도원과 수녀들이 아니라 아주 음탐하고 세속적이고 막가파식의 이야기가 도배된다.
In any way at the beginning of the witch when describing nawatneunji lords, but starting from a witch in any way as described for the full-scale executions and burned as a witch and being driven as a description of the monastery and the nuns that used for their greed is to describe. Even in the sacred books, not very eumtam monastery and nuns and secular and bombard the story of Choi equation is



마녀는 어떤 이유로도 갖다 대면 된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불에 탈 때 소리를 내도 소리를 내지 않아도 마녀라고 규정할 정도이니. 그런데, 걔중에는 죽고 싶어 마녀라고 고백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스스로 죽는 것은 힘들고 용기가 필요하니 그런 식으로 죽음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는 판단도 든다. 살아있는 것이 고통이고 저주인 경우라면 죽음이 그 여인에게는 더 좋은 선택이 될 수도 있는 시대였으니 말이다.
Witches know that for some reason that was also hover. Ride on fire in the sound when the witch does not sound too much am I to prescribe. However, he wanted to die during the witch must confess that there is a case. Do you need the courage to die himself hard and choose to die that way, one way to lift the judgment. If it is a living death, pain and cursed her, which may be a better choice for the era blows said.



책에서는 사바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는데 정확하게 다가오지는 못했지만 난잡한 파티정도로 생각할 수 있을 듯 하다. 모든 것이 억압된 세상에서 사바에서는 어떤 사람과도 자유롭게 무엇(??)이든지 가능했다. 특히,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던 시대에 남자와 여자가 서로 눈이 맞을 수 있는 유일한 통로였는데 이를 통해 마녀라는 개념이 처음 통용되기 시작했다.
In the book to explain the concept of Sabah should not come exactly did seem to be thought of as promiscuous party. Repressed everything in the world and freely what some people in Sabah (??) Whatever was available. In particular, the movement who could be free men and women to each other in the days right eye was the only pathway through which the concept of witches began to be commonly used for the first time.



처음에 마녀는 지금과 같은 나쁜 의미보다는 사람들의 고민을 들어주고 억압된 심리를 풀어주는 역할을 했던 듯 하다. 굳이 따지면 우리의 무녀의 개념으로 시작되어 점점 마귀에 사로잡힌 여인으로 치환된 듯 하다. 그러면서 점점 수도원들의 주교와 교황의 역할을 빼앗아 가기 시작해서 역습을 하게 된다.
Now for the first time such a bad witch means trouble for people, rather than giving a hearing to release repressed seems that role. In terms of our concept of bother Miko started getting caught up in the devil seems she substituted. Yet more and more the role of the Pope as Bishop of the monastery started to go away and will counterattack.



또한, 자신들의 치부를 감추기 위한 방법으로 마녀로 몰아 여론을 변경시키거나 자신의 노리개로 갖고 놀다가 마녀로 모는 등의 치졸한 짓을 서슴치않고 한다. 그것도 당시의 권력자로 할 수 있는 주교들과 주교가 되는 영주들에 의해서. 특히, 수녀들이 당시에는 음란한 문제로 마녀로 지목된 경우도 묘사된다. 
Also, as a way to conceal their private parts lead to a witch or change public opinion to their pacifiers have driven to play as a witch inroads naive to do. Powers of the time you can do with it and the bishop is the Bishop by the lords. In particular, the naughty nuns at the time pointed to problems if it is portrayed as a witch.



이렇게 쓰고 보니 읽는데 재미는 없었는데 얻은 지식은 있었나 보다. 마녀라는 개념자체와 어떤 식으로 이용되었는지는 알았지만 그 보다 조금 더 세부적인 내용을 알게 되었다는 정도 말이다. 그래도 다행이도 어느 순간 불쌍한 여인을 갖고 놀고 자신의 치부를 감추기 위해 마녀로 지목되었던 20대 초반의 여인에게 사람들의 여론이 달라져 '말도 안 된다'며 수도원까지 몰려 들었다는 이야기와 함께 그로부터 점점 마녀로 처형되고 화형되어 처벌을 받는 경우는 사라졌다. 그것이 1700년대 초반이라고 한다.
Bonnie writes fun to read than were you did not have the knowledge gained. Witches use the concept itself, and that in some way knew that a little more than that to know about the details said. Fortunately though at any moment to play with poor woman to cover their private parts as a witch in the early 20s was pointing to her alters people's opinion "is ridiculous" said Abbey flocked to him with the story as more and more witches If the stake is being executed punished disappeared. It is known as the early 1700s.



중세 시대에 의사와 법집행인들은 악마에 사로잡힌 사람들로 치부되었다고 한다. 인간에 대해 신이 아닌 인간이 치료하고 판정을 내리는 것에 대해 실제로 신이 아닌 가진 자들이 못 마땅했던 것은 아닐까 싶다. 자신의 권력을 내려놓거나 나눠 가져야 하니 말이다. 뭐, 그렇게 마녀는 서서히 실제하지 않고 개념만 남았다.
Physicians and law enforcement, which in medieval times, they have been dismissed as those possessed by the devil is. God for human and non-human decision making about treatment is not actually a God with those who did not deserve it whether it wants. Handing down their power sets do you have said. Well, it is not the actual concept of the witch, but gradually left.



문제는 이 개념이 점점 더 무서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마녀는 이제 없다. 자신이 마녀라고 하면 사람들은 무서워하지 않고 웃는다. 하지만,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이제는 마녀로 지목하고 정신적인 화형을 시켜려 한다. 마녀를 죽이지 못해 안달이다. 마녀는 사라졌지만 마녀는 여전히 존재하고 배회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The problem is that this concept is that it is more and more scared. In fact, now is a witch. Speaking of his people scared of witches do not laugh. But now he and other people as witches by pointing and trying to burn to the mental. Kill the witch is anxious. Witch Witch gone, but it still exists and is living in an era of wandering.



과학과 법이 발달하지 못한 시대의 암울하고 불행한 역사라고 치부할 수 있겠지만 현재 벌어지고 있는 세계 곳곳의 마녀들은 도대체 무엇때문일까? 비교할 수도 없이 과학과 법이 발달하고 다양성이 존재하는데 말이다. 마녀로 지목된 사람들보다 마녀로 지목하는 사람들이 더 문제였던 것과 같이 지금도 그런 것일까?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he law of the era could not be regarded as dark and unfortunate history, but this is happening all over the world because of the Witch Is What the hell? You can also compare with the diversity present science to the development of the law says. Than those that are pointing to a witch as a witch who was pointing the problem as more people now should this be?



괜히 소개하는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