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깊은 상처 - 과거는 지워지지 않는다(Gash - The past is not cleared)


넬레 노이하우스는 다른 나라에서의 상황까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작가이다. 상당히 많은 책이 팔린 것으로 알고 있는데 딱히, 대단한 스릴러적인 요소나 추리적인 요소가 박진감있게 진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근 조근하게 하나씩 이야기가 전개되며 풀어내는 솜씨가 뛰어난 작가로 보인다.
Neuhaus nelre the situation in other countries, I do not know until recently spotlighted in our country is a writer. I know that quite a lot of books sold particularly, a great thriller and mystery elements elements allow the bakjingam progress the story but not one that is deployed jogeun jogeun unreeling workmanship looks excellent writer.



유럽쪽의 추리소설이 미영소설보다는 우리나라 정서에 맞는 것인지 몰라도 긴박한 요소는 드물어도 생활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들을 읽으면서 천천히 하나씩 밝혀지며 전개되는 이야기에 서서히 녹아든다는 느낌이 든다. 무엇보다 넬레 노이하우스의 책에서 범인이 누군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왜 그런 행동을 했느냐가 더 중요한 요소이다.
Jeanne mystery novels of the European side of the country, rather than emotional elements to meet the impending rare even without knowing what happens in life, read the story slowly unfolding story, one out jimyeo feels Stepping slowly melt. Neuhaus nelre than what someone in the book of the killer is not so important. Why did such behavior is a more important factor.



추리 소설은 범인을 끝가지 꽁꽁 숨겨 읽는 독자로 하여금 지적 대결을 벌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누군지 찾아봐라는 페이크를 쓰기도 하면서 범인과 주인공의 추리 싸움뿐만 아니라 독자와 작가의 추리 게임도 함께 연계되어 진행된다고 할 수 있는데 넬리 노이하우스의 소설은 그런 요소보다는 살인이 벌어진 그 동기에 대해 더 집중하고 그 스토리에 몰입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Mystery of the hidden culprit tightly to the bitter end to their readers beolindago intellectual confrontation is not an exaggeration. Who try to find the culprit and even while writing a fake hero's fight, as well as readers and writers of detective mystery game that can be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Nelly Neuhaus are those elements of the novel, the motive for the murder, rather than more intensive and immersed in the story has the power to make.



특히, 소설의 주인공인 보덴슈타인과 피아는 딱히 대단한 능력자라고 할 수 없는 인물이다. 그보다는 형사라는 직업을 갖고 직업적인 활동을 할 뿐이지 여타의 추리소설처럼 대단한 추리능력과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저, 형사로써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게 행동한다는 느낌을 가질 정도이다.
In particular, the novel's main character, Constance Stein and the apparent Pia is a man of great ability that can not be grown. Rather, the criminal activities that have a job, you know, other professional, like a great mystery novel reasoning ability and rarely showing excellent form. Just, faithful to his role as a criminal act that is about to have a feeling.



주인공이라 표현했지만 딱히 보덴슈티인과 피아가 주인공이라 하기에도 뭐할 정도로 다양한 인물들이 자주 등장하고 작품마다 두 사람의 비중도 조금씩 달라지기도 한다. 이런 스토리가 갖는 힘이 바로 넬리 노이하우스가 우리나라에서 사랑을 받는 힘이 아닐까 싶다. 줄거리가 탄탄하게 구성되어 하나씩 연결되는 것이 말이다.
Which is described as the main character, but with no apparent Bowden Pitesti So what'll it to Pia called a hero by various figures appear frequently enough and it works slightly different portion of every two people is accentuated. This story has a power Neuhaus Nelly just loved the power in our country whether it wants. The plot consists of tightly connected to one said.



지금까지 읽은 작품중에 가장 방대하고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는 작품이 '깊은 상처'로 보인다. 솔직히 워낙 많은 인물들이 등장해서 끝까지 각 개인의 파악을 제대로 하지도 못했고 구분하지도 못했다. 막연히 도둑이 잡혔다정도로 소설을 읽었다고 해야 할 것 같다. 무엇보다 한 가족의 인물이 총 출동을 하니 비슷한 이름들이 연속적으로 등장하니 도대체 헛갈려서 포기했다.
I've read so far, the most extensive work and the work of many people emerge 'deep wound' seems to be. Frankly, many people emerge wonak the end did not properly identify each individual was not nine minutes. So vaguely caught the thief seems to have read the novel. Above all, the total mobilization of the family do you figure similar name in vain on earth do they come up in a row galryeoseo gave up.

'깊은 상처'는 나치 시대의 그림자가 여전히 독일 사회에 남아있다는 이야기다. 우리나 일본과 달리 독일은 철저하게 자기 반성을 통해 지금의 국가를 이뤘다고 할 수 있다. 여전히 자신의 잘못에 대해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고 있고 나치와 관련된 것을 국가적으로 금지하고 법적으로 처벌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Deeply hurt' the shadow of the Nazi period that still remains in the story of German society. Unlike Germany and Japan, we are now through thorough introspection can yirwotdago country. Is still recognized for his fault, and forgiveness, and that associated with the Nazis banned nationally and legally punish knows that.



이러한 과거에 대한 반성이 주변 국가들에게 인정을 받고 독일 특유의 국민성까지 더해서 과거와 다른 좋은 나라가 된 듯 하다. 특히, 유럽은 워낙 자기들끼지 크고 작은 전쟁이 치열하게 벌어져 어지간한 전쟁은 평안한 나날이 지속된다는 표현까지 쓴다고 하니 우리와 상황이 다를 수 있겠지만 과거에 대한 반성을 하고 지나간 것과 그럴 수 있지라는 생각으로 지나온 시간은 갈수록 점점 무엇인가 벌어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Reflection on these past two have been recognized around the country for Germany in addition to the distinctive national character of the past and the other seems to have a good country. In particular, large and small, the war in Europe wonak they caught quite a bit of fierce battle underway that restful day by day continue to express sseundago do with us, but the situation may differ and reflect on the past and the past could he think that would cross time ever What is happening more and feel.



나치상황에서 앞장서 활동하고 좋은 기회를 가졌음에도 자신의 모든 과거를 깨끗히 지우고 이에 반하는 인물들을 자신의 이익을 위해 전부 제거하고 새로운 출발을 하여 사회의 덕망있는 인사로 다시 태어나 유지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고상한 척을 한 인물에 대한 까발림은 살아온 세월만큼 거대하고 치밀했다.
Nazi activities in a situation and a good opportunity to take the lead in the possession of all of his past clean clear figures contrary to their own interests, and a new start to remove all the personnel of the society reborn as virtuous striving to maintain the elegant Chuck one of the people who have lived for years as kkabalrim was huge and dense.



계속적인 연쇄 살인이 일어나고 추가적인 살인이 발생하면서 동일 인물의 살인인지에 대한 추리가 벌어지면서 서서히 과거의 행적이 하나씩 밝혀지며 경악할만한 추악한 감춰졌던 현실에 관계된 여러 인물이 각자 자신의 살 길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사건은 더욱 꼬이기만 하는 이야기에 작가의 노력이 대단한다는 느낌을 가졌다.
Continuing murders taking place the same person as an additional cause of the murder is a murder mystery about the deeds of the past, this one going out slowly As jimyeo might surprise many people involved in the ugly reality that was hidden in the flesh of their own trying to find a way more to go wrong in the course of events in the story, but the feeling that the author had a great effort.



결국, 진실은 드러나게 되어있다. 물론, 현실과 달리 소설은 작가의 머리에서 나온 것이니 말이다. 꼭 해피엔딩은 아니지만 다들 그래서 잘 되었답니다는 식으로 결말이 되어 읽는 독자로써도 안도의 한 숨을 쉬게 된다. '깊은 상처'는 우리와 달리 독일에서는 여전히 과거에 대해 반성을 하려 한다는 느낌을 갖게 만들어 주는 소설이고 추리적으로도 재미있는 작품이다.
In the end, the truth is revealed. Of course, real and otherwise shall come from the head of the author said. Everybody just happy ending, but the ending is so well-enlightenment is the way the reader is rosseodo breathe of relief one. 'Deeply hurt', unlike in Germany, we are still trying to reflect about the past that will not have the feeling that the novel is a work of reasoning is also interesting.



저자의 다른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