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여덟단어 - 자존, 견, 소통(Eight words - Self-respect, attention, communication)


최근 인문학의 열풍이 분 이유는 창의력이라는 화두때문이다. 무엇인가 남과 다른 나만의 것을 찾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정답은 분명히 아니지만 인문을 통해 새로운 것을 만들었다고 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인문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 냈고 인문에 대해 사람들은 배우려고 노력을 하기 시작했다.
Last two minutes of Humanities craze buzzword that is why creativity. South and own something that others should be some effort to find the right answer for the Humanities and through, but obviously the people who have created something new to draw attention to their Humanities Humanities pulled trying to learn about the people began to .

정작, 인문에 대해 읽고 배우는 사람들은 드물고 인문의 언저리에 대해 읽고 배우는 사람들 - 바로 나~!!! - 만 가득해진 현실이지만 그마저도 인문에 대해 관심을 갖고 배우려고 한다는 측면에서 나쁘지는 않다고 볼 것이다. 창의력과 관련되어 광고를 만드는 사람들만큼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사람들은 드물만큼 관련성이 높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박웅현씨는 직접 인문에 대해 이야기를 전달하는 사람이라 더욱 많은 호웅을 얻고 있다.
Jeongjak, humanities reading and learning about the people on the edge of the Humanities and the rare people who are learning to read - just me ...! - But became a reality, but its full attention to even the humanities have to learn to look in that bad andago. Advertising creativity is associated with the idea of ​​creating a people that produces sparkling as rare as they are relevant to the higher of them, Mr. bakunghyeon delivered directly to talk about humanities is one who is gaining more and more houng.

인문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전업이 아니라 창의력을 보여줘야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광고를 만들어 이미 검증을 받았다고 할 수 있는데 인문에 대해 알려주니 여러가지 상승작용을 한다. 그의 책을 읽고 강의를 듣는 사람들은 저절로 본인이 싫어한다는 권위를 인정하고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To talk about the humanities, not full-time job to show creativity and a lot of people who know someone with proven advertising created for the humanities, which can be received various synergistic Junior is known. Reading his book lecture itself I do not like people to acknowledge that the authorities will be to participate.

전작과 마찬가지로 '여덟단어'도 강의 내용을 발췌해서 다시 구성한 책이다. 고로, 강의를 귀로 듣는 것 이외에는 동참한다고 볼 수 있는데 확실히 광고 프리젠테이션을 워낙 여러 차례 한 사람답게 참 매끄럽고 적재적소에 필요한 그림과 글귀를 삽입해서 사람들로 하여금 시선을 계속 유지 할 수 있는 힘을 보여준다. 
As with previous "eight words" extract it and re-configure the lecture book. Therefore, a lecture that involved other than the ears to hear the presentation can be seen quite wonak ad several times like a really smooth one person in place by inserting the required picture and saying people can not keep their eyes show the strength.

스티브 잡스의 프리젠테이션에서도 보여주듯이 이것 저것 쓸데없는 그림을 보여주고 설명을 하는 것 보다는 정확하게 핵심적인 그림만 보여주고 그에 맞는 설명을 이끌어 내는 것이 사람들의 집중력을 끌어내고 잡념을 없애준다고 보는데 강의중에 꼭 필요하지만 다소 생뚱맞은 그림들이 소개되고 글을 읽어주면 저절로 강의에 푹 빠져 참여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Steve Jobs, as shown in the presentation of this figure shows that useless description rather than the picture shows only the correct key, leading it to fit the description draws people's attention to get rid of worldly thoughts that I just need to watch during lectures saengttung been introduced across the picture somewhat, but read the article itself if hooked to the lecture would not want to participate.

'여덟단어'는 인생에 있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단어를 갖고 설명을 해 주는 책이다. '자존, 본질, 고전, 견, 현재, 권위, 소통, 인생이라는 측면으로 우리 삶에 대해 설명을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자존, 견, 소통으로 압축할 수 있을 듯 하다. 다른 것들은 중복되거나 포함시킬 수 있다고 판단이 들기 때문이다.
"Eight words" you think you need in life is a word that has a description of the book. 'Self-esteem, nature, classic, silk, current, power, communication, and aspects of life in our lives personally to explain the self-esteem, dog, seems to be able to communicate compressed. Others believe that you can include redundant or because the lift.

자존은 자신과 관계되어 있는 단어이다. 자기 자신에 대해 스스로 자신감, 믿음등을 가져야만 한다. 거기에 겸손함까지 포함되어 있어야만 자존감이 생기고 표출될 수 있다. 타인의 시선을 두려워하지 않고 내가 하고 싶은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자존감이다. 무조건 내 멋대로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것이 아니라 겸손함까지도 포함이 되어야만 한다. 대부분 자존감이 부족한 사람들이 자신의 지위와 자산여부등에 상관없이 못난 생각과 행동을 하게 된다.
Self-esteem is a term that is themselves and their relationships. For their own self-confidence, faith, and should have. There must contain the humility to self-esteem can be expressed occurring. The eyes of others, without fearing I would like to have the ability to act is right self-esteem. Unconditionally that my selfish to want to be included, but should be even humility. Many people lack self-esteem of their status and wealth, regardless of whether or ugly thoughts and actions will be.

견이라고 하는 것은 결국에는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사물을 다른 사람의 눈으로 귀로 입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내 눈과 입과 귀로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똑같은 현상과 사물을 보고도 사람들마다 다른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것처럼 내 생각을 갖고 바라보는 것은 의외로 힘들고 어렵다. 많은 이야기를 하지만 정작 자신만의 시선과 시야로 바라본 것을 이야기하는냐는 다른 문제이다. 이런 견을 갖고 있는 사람은 무엇을 하든 분명히 창대하게 될 것이다.
To that found in the end view of looking at the world can be said. All things in the eyes of others, rather than to judge by ear, I only believe my eyes and ears and mouth to say. Who reported the same phenomenon and objects can be a different story, as I have to look at a surprisingly difficult thing is difficult. However, many stories but my own eyes and vision seen by detractors to talk to is another issue. These dogs have no matter what a person will certainly windowsill.

끝으로 소통이다. 자존과 견은 나만이 잘 하면 되고 타인을 신경쓰지 않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사회적인 동물인 인간이 자존과 견만을 갖고는 살아갈 수 없다. 끊임없이 부대끼고 만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으면 제 아무리 자존감과 견을 갖고 있어도 아무 소용이 없다. 소통이라는 것은 내 생각뿐만 아니라 타인의 생각도 잘 받아들이고 서로 서로 정확하게 확실한 의견을 주고 받아 오해를 만들지 않아야 가능하고 내가 갖고 있는 것을 내려놓고 상대방의 상황을 받아들여야만 가능한 것이다.
Finally, communication is When dogs are my pride and well-being of others will not care to do. Human social animals and dogs have only two self-respect can not exist. Constantly communicate with people you've met along the bag does not smoothly no matter how self-esteem and even if found to have no use. Communication, as well as others, I think that the idea of ​​accepting each other well, sure exactly Discuss it can not create misunderstanding and that I have put down the other side to accept the situation, but is possible.

그 외에도 본질, 고전, 현재, 권위, 인생등은 충분히 내가 생각하는 3개 안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본다. 또는 저절로 함께 해결 가능하다고 본다. 
In addition, the nature, classic, current, power, life, etc. I think that enough could be included in 3 watch. Or that can be solved with the look itself.

인문을 배운다는 것은 책, 음악, 그림을 볼 줄 알아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 이런 것들은 배우려고 해서 배워지기도 하고 저절로 깨닫고 알게 되는 부분도 있다. 박웅현씨는 인문을 통해 자신만의 것을 가지라고 말하는 듯 하다. 옛 선현들이 전하는 글과 그림과 음악이 아직까지 살아남은 이유가 있을 것이다. 글을 읽고 그림을 보고 음악을 들으며 그 이유를 파악하고 알게 되고 깨닫게 된다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에 있어 많은 것을 얻게 될 것이고 이것은 인생을 보다 가치있게 살아갈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듯 하다.
The humanities learn the books, music, and know how to see pictures that are meaningful. Accentuated these things and learning to learn and get to know the part is realizing itself. Mr. bakunghyeon through Humanities own kind that seems to say. Seonhyeon old words and pictures to convey their music still survived and will be the reason. Read the article to see the pictures while listening to music, and get to know them better understand why, if we live to realize many things in life will be to get to live this life more valuable is that the story seems to.

꼭, 인문이 아니라 수학이나 과학을 배워도 가능하다고 보는데 세상은 다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나도 그 단계까지 진입은 못했고 그럴 것이라는 예상만 하는 정도로 감히 더이상 쓰지는 못하겠다만 극과 극은 통한다고 무엇이 되었건 간에 읽고 보고 듣는 것은 중요하다고 본다. 꼭, 고전일 필요는 없고 말이다. 그 안의 본질을 보면 되는 것 아니겠는가한다.
By all means, humanities and science, but math is possible baewodo seeing is because the world is connected. Entry to that stage, I did the only expectation that it is not enough to know how to do dare no longer only through extremes that the see and hear what's important to read between doeeotgeon looks. By all means, do not need classic one said. In it would not seem to be looking at the nature.

박웅현씨가 자신만의 시선을 갖고 인생에 대해 알려주며 고전을 통해 인문을 통해 찾아가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해 보라고 한다. 책을 읽고 강의를 듣고 아~~그렇구나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것을 자신도 갖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결국, 좋은 말과 글도 박웅현씨가 생각하는 것 아니겠는가한다. 내가 바라보는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Mr. bakunghyeon have your own eyes tells about life through the humanities through classic Getting to and ask them to introduce you to. Reading a book, listening to a lecture from a ah ~ ~ I see that's not enough, but his own efforts it is important to also look to have. After all, good words and writings, Mr. bakunghyeon would not think to. I think looking at that as well.

특정 분야나 대목을 갖고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설명하지 않고 인문 전체적으로 아우르며 인생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박웅현씨의 책은 인문에 대해 어려워하고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입문서와 같은 역할을 한다. 바로 나와 같이.
I have specific areas to focus passage introduces the humanities as a whole does not explain the fallen bakunghyeon make you think about life 's book about the humanities to people who struggle hard and acts as a good primer. Just like me.


저자의 전작 and(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