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0년차 직장인 사표 대신 책을 써라 - 생존 책을 써라(Workers 10 years, resigned Write the book instead - Survival write a book)


최근 서점에서 내 눈에 띄는 작가가 있었으니 바로 김태광씨였다. 그 이유는 이 저자의 책이 몇 권이나 눈에 들어왔고 자신에 대한 설명을 읽어보니 장난이 아니다. 무려 110권이나 되는 책을 집필한 작가로 기네스북에도 오르고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글이 실렸다고 하니 호기심이 마구 마구 일었다. 사실, 처음 보는 내 시선은 긍정보다는 부정에 가까웠다. 대략 10년 동안 매 년 10권 정도씩 책을 펴 냈다는 뜻이 되는데 이게 과연 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Since there was a writer that look in my eyes in the bookstore recently, it was Mr. Gimutegu~an immediately. The reason is overwhelming When I read the description of his book of this author has been in the eyes nothing books. Curious statement that was published in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up to the Guinness Book of Records as a writer and author of the 110 or more books what happened rapidly. In fact, it is not positive, my eyes see Recommendations were close incorrectly. Make sense for about 10 years, and opened the book by 10 books every year, but it's from the idea that this indeed.

필력이 좋고 할 이야기가 많으면 많은 책을 펴 낼 수도 있겠지만 엄청난 권 수에 어쩌면 시기가 일어났는지도 모르겠다. 다른 책들은 모르겠고 최근에 책들이 책을 쓰라는 내용인데 솔직히 궁금했다. 이렇게 많은 책을 펴 낸 사람이 책을 쓰라고 하는 책에 어떠한 이야기를 알려주고 있는지 궁금하고 어떤 팁을 알려 줄 것인지에 대해서도 알고 싶어 결국에는 책을 읽게 되었다.
 There will also be put out to open the many books that talk often appeal is large, but do not know time even happened maybe to can get huge. It is what you say and the other do not know, and recent book and write a book, but it was honest mind. I want to know even about what tell you some tips in mind that you are told what to talk to the person who opened the book of so many in such a manner that writing a book, eventually I began to read a book.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달라지겠으나 개인적으로 재미있게 읽었다. 현재, 내 상황과 맞아 떨어지고 궁금한 사항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라 더더욱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 내 자신을 스스로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글을 쓴 다는 것과 책을 펴 낸다는 것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이야기하는 책이라 그 부분이 도움이 되었다.
 Likes and dislikes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erson, but I've read interesting personally. Currently, it was possible to read the more interesting because it is present to inform the question consistent with my situation. It was a chance to look back at yourself to more than anything. That part was helpful and that you wrote a statement and a book that you want to talk more about that we put out to open a book.

하다보니, 책을 많이 읽었고 그러다 보니 글을 쓰게 되었고 결국에는 책까지 나오게 되었다. 다만, 첫 책은 운이 결부된 결과라 본격적으로 작가로써 책을 쓰겠다는 마음으로 쓴 책이 아니라 많이 부족하기도 하고 원래 늘 어제보다 오늘이, 오늘보다는 내일이 더 발전하는 것이기에 부끄럽기도 하다. 
 When I, and Nari write a sentence for that you have read many books, this to began to come out in the end. However, the first book, not the book I wrote in the feeling that writing a book as a writer in earnest to be a result of luck combined, or by lack of a lot, today than yesterday, and tomorrow than today always original it is also embarrassing because it develop more.

지금까지 내가 글을 쓰는 건 간단하다. 어떠한 주제에 대해 내 생각을 쭈우욱 적고 끝을 낸다. 더이상 들여다 보지 않는다. 이 부분에 대해 조금의 고민은 있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내 방법이 바로 초보의 방법이라고 한다. 초보들이 자신의 생각만 글로 쓰고 다른 컨텐츠를 첨가하지 않고 글을 쓴 후에 퇴고를 거치지 않는다고 한다. 내가 그렇다. 솔직히, 난 내 생각을 글로 쓰고 싶었기에 그랬는데 그래서는 책으로 펴 낼 때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없고 자신의 생각만 적어서는 재미도 없고 논문 비슷하게 흐른다는 이야기도 한다.
 I write a sentence up to now it is easy. Put the tip less Uukku to squat their ideas about what theme. I do not look into the other. There were a little trouble in this part, but while reading this book, my way is the way of beginners soon. After a beginner wrote only my thoughts, I wrote a sentence without the addition of other content, and not through the elaboration. I'm so. Now that you have so honestly, because I wanted to wrote their thoughts, without a pleasure it is not possible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when you issue stretched to the book, and write only thinking of yourself, that flow paper as well there is also a story.

또한, 초고를 쓴 후에 수 많은 퇴고를 거쳐야만 좋은 글이 나온다는 말에 솔직히 동의를 안 할 수가 없다. 내가 뭐 대단하다고 퇴고도 없이 말이다. 사실, 내가 책을 펴 낼 생각없이 그저 생각을 글로 표현한 것이기에 그런 측면이 많았는데 그 부분은 다시 한 번 나중에 책을 염두에 두고 출판사에 보낼 때는 퇴고를 해야겠다는 마음을 다지게 되었다.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not to agree with the honest words after writing the draft, such statements must go through a precision that many come out. I would be very impressed what no precision. In fact, since a thing is not also possible to open my book, only expressed in statement opinion, that point were many, but the part when it sends it to the Publisher in mind this later again it was decided that to solidify the mind that we should make a precise difference.

얼마전에 출판사와 만나 이야기를 할 때 내가 보낸 원고의 방향은 좋은데 글이 좀 산만하고 다른 이야기들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고 특별한 목표로 이어지지 못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인정을 했다. 스스로 다시 한 번 퇴고의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하여 컨셉은 좋으니 글을 쓰는 걸로 이야기가 진행이 되었다. 그런 이야기를 들어도 글을 쓴다는 것과 책을 펴 낸다는 것은 다른 영역이다. 한편으로는 부족한 내 글을 온갖 노력으로 잘 편집한 첫 책의 편집장에게 다시 한 번 감사함을 느낀다. 그 당시에도 여러 번 감사를 표명했지만 말이다. 
Direction of the document I sent when you talk to meet with publishers during this time, heard the story there is a story being distracted is a good statement, that there is talk of another, does not lead to a special purpose . I was certified. Because it has not undergone the process of precision again yourself. And, since a good concept, story is advanced by writing a sentence. That we put out to open a book and write a sentence even heard such a story is a region other. On the other hand, I feel you Thanks again to editor-in-chief of the first book has been edited to make every effort to my writing the missing. Note I expressed appreciation many times at that time. .


책을 펴 내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을 하고 고민을 할 때 콘텐츠를 첨가하는 부분에 대해 이 책을 읽고 출판사와 미팅을 통해 다시 생각을 고쳐 먹었다. 내 생각도 중요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실 사례나 유명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첨부해야 읽는 사람들이 더욱 흥미롭게 책을 집어 들 수 있다는 이야기에 결국은 굴복하고 말았다.
 When you the trouble you are thinking seriously about what you put out to open the book, for the portion to add content, by the book, it was replaced to reconsider through the meeting with the publisher. My opinion is also important, but the story that people can read if you do not attach a story of famous people and real case for that is, pick up a book to be more interesting, I got to give in eventually.

전업 작가라고 하면 나는 소설가와 같은 문학작품을 만드는 사람이라 생각했는데 꼭 그럴 필요는 없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런 저런 아이템을 갖고 그것을 글로 구체화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읽게 만들고 사람들이 읽게 만드는 책을 여러 권 펴 낸다면 그게 바로 전업작가이다. 스스로, 전업 투자자보다는 전업 작가 맞는 것 같다. 그럴 만한 능력이 되느냐가 문제기는 하지만.
I thought it was human to make literary works such as the novelist Speaking of full-time writer, but I feel that there is no need that was. It is a full-time writer as soon as it is embodied in the text it has a various items, is to be read to the people, if you put out stretched multiple books to make people read. On their own, rather than a full-time investor, it seems to fit full-time writer. Although there is a problem in order to check on their ability to be just that.

단순히 책을 펴 낸 작가가 아니라 이를 토대로 사람들에게 내 생각과 이야기를 알리는 것이 좋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책을 출판해야 한다는 저자의 말에 동의한다. 어디 가서 '이 분은 이러쿵 저렁쿵 구구절절' 이야기하는 것 보다는 무슨 책의 저자라는 한 마디면 모든 것이 끝난다. 
 It is possible that not a writer who opened the book simply, based on this, to tell the story and thoughts of their own people. To do so, you agree to the words of those who must be a book first. Where to go it certainly is not to talk, the word of what the author called, all ends "Joronbumu word complain discussion is the person this".

사실,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이야기를 글로 쓰고 싶다는 생각을 최근에 많이 한다. 다만, 내 성격상 천천히 꾸준히 쓰려고 하다보니 하나의 주제만을 갖고 일주일에 하나씩 쓰려고 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생각을 해야 할 듯 하다. 그저, 생각나는 대로 주제에 맞게 쓰려고 했는데 그럴 것이 아니라 이 책에서 언급한 것처럼 정확하게 책의 제목을 설정하고 그에 맞는 목차를 구성하고 소 제목을 만든다음에 글을 쓰면 스스로도 전체적인 그림이 그려지면서 글을 쓸 수 있을 것 같다.
 In fact, a lot recently and I would like to talk wrote a variety of various fields. However, the nature of me and if it tries to use one at a time in a week to have only one theme When I trying to write slowly and steadily, but there seems to be a need to think again as well for this part. However, if it tries to use to match the theme without a plan, but not such a thing, as mentioned in this book, set the title of the book accurately, set the content that is appropriate to it, the statement after creating a small title the entire image is drawn myself if you write, and is likely to write the statement.

대부분 주제와 제목이 없어 글을 못 썼지 그것만 주어지면 글은 일단 앉으면 써 졌으니 말이다. 개인적으로는 아마도 겉 멋이나 진정으로 위대한 작가의 작품은 몇 권되지 않는다는 환상이나 신화에 갇혀 있던 것이 아닐까 싶다. 내가 무슨 그런 작가가 될 것도 아니고 위대한 작품을 쓸 것도 아닌데 너무 많은 다작가의 책은 조금은 폄하하는 시선으로 바라 본 것에 대해 마음을 고쳐먹기로 했다. 그런 이유로 책을 출판하는 것에 대해 천천히 하겠다는 생각도 다시 고쳐 먹었다.
 It is because written statement given that much who wrote not a statement that does not include the title of the topic of most, and sit down once. I think that it might be had been confined in the myth and fantasy of many books and works of fashionable surface, of a truly great writer is not perhaps personally. Without that I become a writer like that, for no and you can write a great work, about having looked at the line of sight to despise a little, we decided to eat swapped heart books prolific writer too much. About to publish a book on why it was replaced also thought that to slow.

현재, 몇 개의 아이템을 갖고 있으나 이런 것들이 한 꺼번에 진행되는 것에 대해 스스로 계면쩍어 키핑을 하고 있었으나 이 부분에 대해 할 수 있는데 까지는 해야 하고 그것도 능력이라면 능력이니 남들의 시선을 신경쓰지 말고 해야겠다는 다짐도 해 본다. 한 편으로는 한 번에 여러가지 진행하는 부분에 있어 내 능력 밖이고 귀찮아서 하지 않으려 한 부분도 있었는데 말이다.
 Currently have some items, but have their own interface Cho Kuo keeping about what is happening in Kobon such something like this, but to until the can be done about this part, it View Plus with the determination because it is the ability is the ability also, and should not worry about the line of sight of others. On the other hand, is in beyond me be in part to various progresses at a time, but it was also portions that do not so troublesome.

어느 분야에서든 10년 정도의 경험이 있으면 이를 근거로 얼마든지 책을 펴 낼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제 2의 인생을 살기 위해서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솔직히, 나도 10년 넘게 책을 읽었고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갖고 생각을 한 것들이 많다. 투자, 영화, 드라마, 책, 동기부여, 자기계발, 성공학등등.. 이런 것들을 글로 쓸 생각은 하지 않았고 그저 리뷰정도로 그치고 있었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하기도 하지만 무엇인가 스스로 부족하기도 하다.
 Authors say if experience about 10 years in any field, and can be issued to open a number of books on this basis. Only say that it can be also for the live second life. To be honest, what I also read a book more than 10 years, was thought to have an interest in a variety of fields in many cases. Investment, movies, drama, books, motivation, self-development, success, etc. science. Did not intend to write text these things, and it was limited to just about reviews. Sometimes there just it, but it runs out of myself something.

모든, 독자는 작가라고 한다. - 이런 경우에 이 말을 한 사람과 글을 해야 컨텐츠인데 나는 생각 떠오르는 대로 하는 편이라 이것이 문제인지도 모르겠다 - 꽤 책을 읽은 나도 점점 그렇게 머리에 고이고 고여 생각으로 쌓이고 쌓인 것들을 글로 쓰고 싶어 하고 책으로 펴 내고 싶어하는지도 모르겠다. 
 All, readers that a writer. - In such a case, it is content that the statements and people said, but I because the person who is to remain float to think, this may be a problem - I also on its head more and more by the book quite you might want to grow this and want wrote what was piled up in the estimates considered to be accumulated and accumulated.

여하튼, 덕분에 궁금한 점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해소된 측면도 있지만 그 보다는 글을 쓰고 책을 펴 내는 것에 대해 스스로 마음 다잡고 생각을 정리하고 확정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해 두려움이 없고 부담이 없지만 책을 펴 낸다는 것에 대해 주저함이 있었고 약간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 알고는 있었지만 정확하게 확인 - 노력을 더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In any case, there is also a side that has been solved to some extent for the point to be worried about, thanks, but to organize the idea to contract my mind to be put out to open the book and write a sentence, and to determine than it served. You know that it will be much different a little there was a hesitation that there is no fear for writing the text, there is no burden, but that issue open a book - had to know but see exactly - and I feel that the effort was is.

그런데, 문제는 편하게 한량같은 삶을 즐기고 있다는 것이 아닐까한다.
 Well, the problem is not of enjoying life like leisured intellectuals easily.

책 읽기에 관한 책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