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한국단편문학선 1 - 민음사(Korea short line literature - Min'umusa)

세계문학전집을 시리즈로 1편부터 차례로 읽고 있지만 엄연히 한국 문학도 세계에 들어간다. 한편으로는 굳이 세계문학전집에 한국 문학 소설을 넣을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기는 한다만 시리즈물에 10번째로 당당히 들어가 있으니 차례로 첫 권부터 읽기 시작한 나로써는 건너 뛰지 않고 읽는다만 언제 다 읽을지 평생에 걸쳐 다 읽기는 할련지 궁금하기는 하다.
You are reading in order from the first story in the series the world literature complete works, but enter the world of Korean literature clearly. On the one hand, and read it without being skipped as I began to read from the first volume in order to not even care to whether there is a need to include South Korea literary novel in world literature complete works dare, but it has entered the imposing 10th series not able to read the whole life or read at any time only it to Haruryonji care.

한국 단편 문학선에는 우리나라 작가들이 나오는데 대부분 내가 학창시절에 한 번씩은 언급되었던 작가들이다. 일제 강점기시대부터 해방 직후 시기까지의 소설들이고 주무대도 그 당시 한국 땅에서 벌어진 내용들이다. 읽고 있는 시간은 현재이지만 책에 나오는 내용들은 그 당시라는 것을 분명하게 기억하면서 읽어야만 한다.
 Korea short line literature, writer of Korea comes out, but it is artists who were mentioned once as a student I almost. The main stage of the novel over by the time immediately after release from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period strength era, but what was made ​​in Korea at that time. Time you are reading is the current, but the contents mentioned in the book, it should be read while stores clear that it is at that time.

나는 책을 청소년 시절에 읽은 편에 속하기는 해도 그렇게 많이 읽지는 않았다고 여겼는데 이 책을 보다보니 내가 꽤 책을 읽었다는 생각도 든다. 그 이유는 비록, 교과서에 각 내용들이 조금씩 언급되고 소개되고 있지만 난 직접 교과서에 나온 소설을 읽었다는 게 이 책에 소개된 단편소설을 읽으면서 기억이 되 살아 났다.
 The Yogyotonun, when looking at this book and do not read that much though as belonging to the person who I read when I was young the book, I feel that reading this much to me I am. For example, the reason is, is introduced each textbook content is described by a little, but I remember while reading a short story that is presented in this book I read a novel that came out in the textbook of direct it has survived by being.

김동인의 감자, 발가락이 닮았다,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 나도향의 물레방아, 김유정의 동백꽃, 이효석의 모밀꽃 필 무렵은 분명히 읽은 기억이 있다. 그 외에도 책에 소개된 저자들의 다른 책들도 분명하게 단지 책 제목만 기억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책을 읽었다. 시험을 잘 치기 위해 책을 읽은 것은 아닌 듯 하다. 그냥, 자연스럽게 당시에는 지금처럼 책이 많지 않은 시절이였고 내가 구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읽을 수 있었던 책이지 않을까 한다.
 Potatoes Gimudon'in, toes are similar, sunny transportation of Hyonjingon, water mill Nadohyan, camellia Kim Yujon, I remember reading certainly time to flowering buckwheat Lee Hyo stone. Other books of the author was introduced to the other as well instead of stores the only title of the book just obviously, I read the book. It seems not read a book in order to beat the test well. However, I think was times present as now not many natural time, and whether not the book can be read within a range that can save me.

기억이라는 곳은 왜곡이 된다는 말처럼 몇 몇 작품들은 읽으면서 내가 예전에 읽고 기억했던 내용과 아주 약간 달라서 좀 혼동스럽기는 했다. 기억에 이효석의 모밀꽃 필 무렵도 메밀꽃 필 무렵이였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미세하지만 약간씩 내가 생각한 것과 다르다는 작품이 있었다.
 I mean memory, few pieces of some, was a little confusion Suropuginun quite different from what I remember I read previously while reading as the word become distortion. I know that there was a time when bloom Memirukoto also the time when flowered buckwheat Lee Hyo stone in storage, but is subtle, but there is a work different from I thought I little by little.

이상의 날개 같은 작품은 읽어보니 거의 마지막 2~3페이지만 읽었는데 전체적인 작품을 읽지 않고 마지막 2~3페이지만 읽어서는 절대로 여기서 왜 이리 되었는지를 이해할 수 없겠구나라는 판단이 들었다. 이상의 날개같은 작품은 워낙 난해하고 해석하기 어렵다는 말이 있었는데 솔직히 읽으면서 눈에 보이는 글과 내용상으로 해석할 때 직독직해만 했을 때 어려운 것은 없어 보였다. 그 숨은 의미를 찾아가면 어려울 수 있겠으나 말이다.
 I read only 2-3 last page of most when I read works like wings or more, but only read 2-3 the last page without reading the works overall, why is that you are so here absolutely was judgment and I will not be able to understand. There was a difficult word, but while reading honest, if you interpret the contents on statements and visible, artworks such as wings or more, and to interpret a difficult too It's difficult when a direct reading Jikuhe was did not know . That you will find the hidden meaning is, but would be difficult.

사실, 국어 시험은 여타의 과목에 비해서 아주 좋은 성적을 올리기는 했으나 그 당시에도 어렴풋이 느꼈고 지금도 느끼는 것이 왜 작품의 해석을 시험을 통해 획일되게 강요하는지 모르겠다. 읽는 사람에 따라 작품의 해석은 달라질 수 있고 작품의 의미는 천차만별이 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꼭 의미여야만 정답이 되게 만드는 작품에 대한 시험과 정답은 말도 안된다고 본다. 
 In fact, tests of language was to increase the performance is very good compared to other subjects, but to force why I feel even now you feel faintly even at that time the uniform by the test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I do not know whether. I think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Read, meaning of work in spite of become infinite variety, and answer test of the work to make it so that the correct answer if not always mean is not a word .

저자 자신이 분명하고도 확고하게 이런 의미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어느 작가도 자신의 작품에 대해 이런 의미이고 이런 해석으로 읽어야 한다고 분명하고도 확고하게 밝히지는 않을 것이다. 작품은 쓴 사람의 몫이 있고 작품을 읽는 사람의 몫이 엄연히 다르고 작가의 손을 떠난 작품은 읽는 사람에게 다시 새로운 작품으로 탄생하는 것이라 본다. 그런 의미에서 어렸을 때 읽었던 것과 지금 읽는 것이 조금 다르기는 하였다.
Authors themselves be clear, there will also be as a means such firmly, but any writer in this sense their work, it is evident that it should be read such interpretation I do not reveal too tightly. There is a share of the person who wrote, works, has seen work off the hands of the writer, shall be born in the new work also to those who read share of people who read the works are different clearly. It is little different to read now in that sense, and I read when I was a child.
꽤 많은 작품이 소개되는데 시대적 상황이 그러한 것처럼 작품도 시대상황을 표현할 수 밖에 없어 그런 것인지 소설이라는 것은 현실과는 달리 사람들에게 읽게 만들어야 하는 특정한 상황을 묘사해야만 하는 특수한 상황이라 그런지 몰라도 '한국단편문학선 1'에서는 총 12명의 작가에 19개의 작품을 소개하는데 특징중 하나라고 하면 제대로 된 가족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Of that novel or the like not many works were introduced fairly, work also only represent the status of the era as age situation is so, particular will have to be created by as read to the people, unlike the reality speaking of one of the features that introduce the works of 19 artists of the total 12 people 1 'line literature short Korea "without knowing or that special circumstances must describe the situation, the family that I did well come out at all will not come.

의도적으로 배제된 것인지 소설의 내용을 쓰다보니 굳이 다룰 필요가 없었는지 까지는 알 수 없고 당시의 시대상황이 평범한 일상적인 일들보다는 무엇인가 통제되고 터질 듯 한 에너지와 체념의 에너지가 공존하고 출구가 보이지 않는 삶을 살았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부부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It is impossible to know whether there was no need for further action when viewed using the contents of the novel whether were eliminated intentionally, it is not intended routine mediocre era status at the time is adjusted something, If the energy of giving up energy and so salmon co-exist, since lived life not see a way out, I feel that there is also such a thing is but a couple comes out is almost.

부부가 결혼을 했으나 자식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거나 부부가 있고 자녀가 있었으나 부부중에 한 명이 얼마전에 사별을 했거나 현재 위급상황이거나 작품속에 부부 중에 한 명이 죽는 경우가 있다. 꼭 주인공이 아니라도 주변 인물이라도 언급되는 인물중에 제대로 된 가족이 나올 수도 있으나 그런 언급도 없었다. 물론, 단편소설이라 많은 부분을 언급하기보다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는 점은 있겠지만 말이다.
 Couple was married, but had children can have a couple references to the child, or most, one person in the couple or was widowed before this, in the work if it were a critical situation of current there are cases where one person in the couple dies. You can also family that I did well in the person people around even if it is not the main character is also mentioned always come out, but there were no such references. Of course, I guess some things than to mention the many parts of the short story, if you have eliminated in many cases.

또 하나는 작품에 나오는 글과 말들이 지금과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같은 한국말이라도 지역에 따라 다르고 쓰는 사람의 위치와 나이에 따라 약간씩 다른 것처럼 '한국단편문학선1'에 나오는 작품상의 시대에서 썼던 말이 지금과는 다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심지어 몇 몇 언어는 한국말이 아니라 외국어를 한국말로 써 놓은듯한 착각마저 들었다.
 Another, realize that the words and sentences that come out to work is quite different from now. Unlike some areas in Korea words like, as a littl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and location of the person who uses words that I wrote in the age of the work award coming out to 'Korea short literature line 1'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e now it was found that you are. The language of some few, rather than Korean, illusion, such as those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was even further.

그만큼 한국말이 그동안 얼마나 많은 변화를 겪었는지 알게 해 준다. 한편으로는 저런 말은 - 대략적으로 무슨 뜻인지 알 수 있는 단어같은 경우 - 지금 다시 쓰면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이제는 거의 사라지는 단어가 되어 버린 결과가 되어버렸는데 다시 살려내는 소명의식과 사명감을 갖고 현재의 소설가들이 작품에서 쓰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기는 한데 그럴려면 그 뜻에 대한 소개를 하지 않으면 읽는 독자가 무슨 의미인지 유추를 할 뿐일테니 쉽지는 않으리라 판단이 든다.
 I me know how Korean is experiencing many changes to this much. On the other hand, such a word - to even think that can write again now - if the word that you can know what you mean roughly. It has become the results you're getting words disappear almost now, but I feel with a sense of mission and play lend a sense of mission, and that might be used for works of novelist current also for you it is, but for the is, if you do not have to introduce the meaning and judgment it would not be easy because it will be only the analogy of what readers mean?

시간상으로 따져보면 20년도 넘어 한국 근대문학이라 할 수 있는 소설들을 다시 읽게 되었는데 조금은 감회가 새롭다고 해야할까? 특히, 다른 문학작품들도 읽는 게 그다지 쉬운 것은 아니였지만 분명히 번역을 통해 읽어야 하는 것과 달리 '한국단편문학선1'에 나온 작품들은 내 나라 작가들의 내 나라 말로 쓰여 있어 그 미묘한 뉘앙스와 깊은 뜻을 읽으면서 음미(까지는 아닐지라도)할 수 있어 최근의 작품들과는 다른 색다른 맛을 볼 수 있는 소설들이였다.
 I mean was re-read the novel and say South Korea modern literature more than 20 years if you look in terms of time, and you are a little emotional? In particular, it was not so easy to read even literary works of other but differ from the read in translation indeed, work that came out to "South Korea short literature line 1 ', the words of my country the writer of my country it is written in, while reading a deep sense of the subtle nuances examine it is possible (even if not up), there was a novel where you can see the exotic taste different from the recent work.

비록, 오랜 일제 강점기로 인해 몇 몇 소설가들이 변절하여 그 의미가 퇴색되기는 했지만 소개된 작품들은 그와는 별개로 한국 문학을 빛 낸 작품이니 - 그 후에 변절했으니 - 그것으로만 봐야 할 듯 하다. 또한, 이 책에서는 그러한 변절에 대해서도 분명하게 작가 소개면에 알려주고 있으니 말이다.
However, novelist some some are altered for the colonial years, the meaning he was faded but apart from that, work that has been introduced, it is the work put out the light of Korean literature - and it seems such must see it just - because the altered. Also, in this book, that we're telling the writer introduce surface clearly also apostasy such.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