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길 위에서 하버드까지 - 의미부여(Breaking Night - Give meaning)



서점 매대에서 이 책을 발견하고는 얼핏 들어 봤다. 마약, 길거리, 노숙등 나에게는 친숙하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꺼려하는 것에 대해 저자가 직접 경험을 했다는 것으로 읽었다. 그 이후로도 자주 서점 매대에서 발견하고는 나도 모르게 다시 또 집어 들어 슬쩍 슬쩍 보게되었다. 한편, 이 책의 저자가 아직도 하버드에서 학생으로 생활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아마도, 책의 표지가 이미지를 지배한 것이 아닐까 싶다.
 At first glance, this book from the bookstore shelves and saw it. Drugs, such as streets, homeless, or to be familiar without the author has direct experience that many people are reluctant to read. And since then, he has often found on the shelves of bookstores and myself again picked swipe swipe to see. On the other hand, had the idea that life as a student at Harvard and the author of this book, still. Perhaps, the cover of the book seems to dominate the image.

책을 읽기 시작하고 느낀 것은 '아니, 이렇게 기억력이 좋다니~~'였다. 나는 중,고등학교 시절도 제대로 기억이 잘 나지 않는데 아기때부터의 이야기가 진행이 된다. 대략 3~4살부터 이야기가 진행이 된다. 간단하게 자신의 부모님들에 대한 소개를 한 후부터 언니와 저자, 부모님 이렇게 4명이서 겪은 경험에 대해 하나씩 풀어내고 있는데 일반적인 가정의 모습은 아니다.
 Started to read the book and felt that, 'No, so you're memory ~ ~', respectively. The story of the baby from the time I remember correctly, even in high school, and does not progress. From about 3 ~ 4 years old, the story is in progress. One sister, parents, authors and so on the experience of four people after an introduction to their parents simply released out, but the general appearance of the home.

학력은 높았지만 마약으로 인해 인생이 절망으로 떨어진 아버지, 아버지를 만나고 마약을 하면서 함께 힘들게 살아가는 엄마, 그 엄마와 아빠와 함께 살고 있는 언니 라지와 동생 리즈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언니는 그나마 집에서 유일하게 제 정신(??)으로 살아가고 힘들지만 상황에 함몰되지 않으려고 끊임없이 노력을 하고 리즈는 그저 부모님에게 전적으로 의지하며 이게 운명이라는 체념으로 산다.
 My sister dont get to meet his father, while the drug, with the hard-living, higher education, but due to the drug life to the despair of his father, mother, living with mom and dad and brother and sister lodges in Leeds story home to the onlydifficult to live the spirit (?) dent in the situation you do not want to Leeds and striving just rely to parents and it is a fate resigned 

부모님이 국가에서 주는 돈으로 겨우 연명하면서 일주일 안으로 마약과 생활필수품 몇 가지를 구입하고 남은 나날동안은 굶으면서 살고 밤마다 나가 엄마는 구걸을 통해 자식들의 먹거리를 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약을 구하는 모습을 보면서 단 한 번도 원망하지 않고 오히려 엄마를 안스럽게 보는 저자인 리즈를 보면 천성적으로 착하다고 해야 할지, 답답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심정이였다.
 Mothers to obtain their drugs, rather than giving the food of the children begging to buy the rest of the day-to-day during the week in a few of the necessities of life and drug gumeumyeon while netting the only money that the parents in this country, I live every night lookI do not want to be frustrated without resentment even once looked rather look at the author, Liz, mom look carefully what to naturally chakhadago the heart, respectively.

최소한, 벗어나려는 의지조차 없는 부모밑에서 살면서도 긍정적으로 밝게 자라난 것이 정말로 기적과도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나마 어릴 때 부터 아빠가 늘 책과 더불어 살았던 것이 도움이 된 것이 아닐까 싶다. 비록, 거의 하루종일 누워있고 깨워 있을 때는 마약을 찾아 다니고 마약에 취해 있지만 정신이 멀쩡할 때는 집에서 책을 읽는 모습을 늘 보여준것이 말이다.
 Dont think of it I At the very least, getting out will not even parents grew up brightly positive salmyeonseodo the same miracle really, since I was a kid, my dad always lived with the book, it seems to help. Look sane when reading a book at home, though, and lay most of the day when you wake up, go find a drug, drug-taking, but always shown it.

그런 덕분에 리즈도 어렵고 힘든 여건에서도 책을 읽는 모습이 책에서 나오는데 본인이 크게 인지하지는 못한 듯 한데 내가 판단할 때는 꽤 영향을 받은 것 같다. 그건, 그 후에 리즈의 삶에서 커다란 도움이 된 것으로도 내가 볼 때는 나온다. 할 일이 없을 때 사람은 오히려 창의적이 된다고 하는데 그런 시간에 TV를 주로 보기는 했지만 책도 읽었던 것이 도움이 된 듯 하다. 심지어, 환경과 달리 아빠가 함께 도서관도 데리고 갔다고 하는 걸 보니 말이다. 책을 대여하고 반납을 하지 않았다고 하니 두고 두고 읽기도 했을 것이라 본다.
Then, thanks to Liz difficult conditions in the appearance in this book, read a book, but I did not seem to, but when I judge quite seem to be affected. It then Leeds in the life of a great help, I see that when you come out. What would happen to a person said to be rather creative, but mainly on the TV, it is helpful to read the book. Even, the environment and dad went to take a library with saw. Do you borrow books and did not return, taking place will have ilgido.

보이는 모습에서는 표출되지 않았지만 엄마는 탈출하고 싶었던 듯 하다. 그리하여 다른 남성에게 아이들과 거주를 옮기지만 마약을 하지 않는다고 달라질 것은 없는 환경에서 결국 엄마는 에이즈에 걸리고 친구들과 노는 것이 좋아 집에서 나와 살지만 이 집 저 집 특별한 거처없이 떠 돌면서 살고 남자친구와 함께 살기도 하지만 - 겨우 16살 전후 - 결국 남친도 마약하는 걸 보고 벗어나게 된다. 
 Looks is not expressed but she wanted to escape. Thus move residence and children to other men, in an environment where drugs do not vary mother to AIDS takes to play with friends, boyfriend and live with me at home and left without a dwelling house to house special live around live and after only 16 years old - but the drugs also have a boyfriend eventually out to see.

여전히 변한 것은 없고 학교를 다니지 않았기에 특별보호소 같은 곳에 잡혀 들어가는 것이 싫어 도망과 같은 생활이 지속되는데 책에서는 특별한 계기가 나오지는 않지만 학교를 다시 다녀야 겠다는 결심을 하고 대안학교에 입학을 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이야기를 글로 쓸 수 있는 능력을 지녔다는 것이다. 어렵고 비참한 삶은 살고 있었지만 책을 상대적으로 많이 읽었던 경험을 통해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이 어느정도 갖게 되었고 이를 글로 써서 학교에 들어 갈 수 있었다고 본다.
 Not to mention the ability to write their own stories in this series of processes, the most important. Writing it was able to go to school, have some relatively books, read a lot of experience, but hard to live a miserable life writing abilities.

그 후로는 과거와의 단절을 하고 살게 되는데 친구도 끊고 모든 것에 절연을 한 것은 아니라 자신의 못된 습관과의 단절을 한다. 예전 친구들과는 함께 생활도 하고 새로운 친구들과도 생활을 하고 심지어 예전 친구들을 자신의 학교에 입학하게 소개도 한다. 예전 친구들이 있다는 상황에서 예전과는 다른 생활을 한다는 것이 분명히 쉽지는 않았을텐데 여러 유혹을 물리치고 그런 자신에 대해 스스로 대견하다는 이야기도 한다.
 In well as mean that and the the the disconnection of the the the past and the to, which to live and,, one the to the, disconnect and In all the what, the Insulation the, the friend also,, the Afterwards, only and, should the The the a naughty habit of of the the their own to the disconnection of the the and the. Also Introduction to that the to Admissions The the the the old with friends, and the also a living together and, the a new with friends, to FIG. Life,, and the and even the to one of the old friends, on the the school, of the the their own,. Should the Would have the, not have is not easy it Obviously to date for that Net to the life, that from the the the situation that there is a a the old friends,,, the the a different the old and the,,,, and is should, too. The the story that the proud of for themselves have multiple by defeating the the temptation of Then,, of about the on the the their own of,

또한, 목표를 세워 올 A를 목표로 하는데 자신의 집이 없어 떠돌고 학교나 친구들의 집에서 잠을 자면서 이룩했다는 것에서 더욱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방학때에는 아르바이트를 통해 돈을 벌기도 하고 말이다. 학교를 다닌 후에 늘 슈퍼에서 몰래 훔치는 삶을 살았는데 평소처럼 훔치려고 들어갔다 다들 열심히 자신의 일을 하는 걸 깨닫게 되면서 훔친다는 것에 대해 자각하고 하지 않기로 결심도 한다.
 In addition, I think the great thing floating around your own home do not have to come to a goal, set goal, sleeping on friends at home or school has achieved. When the break, and earn money through part-time job. "Always lived a life secretly steal from the super went to school as usual steal, you realize that everyone went to their hard work, and, awareness about steals and decided not to.

그렇게 학교생활을 하며 좋은 점수를 얻어 생각하지도 못하게 하버드 대학에 입학할 것을 선생님이 권하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저자인 리즈가 아주 아주 중요한 사람들을 학교에서 만났다는 것이다.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모든 것을 할애해서 도와준 선생님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들의 노력이 없었다면 결코 리즈의 노력만으로는 성공하고 달성하지 못했을 것이라 본다.
 The important thing here is to attend Harvard University, school and get a good score so I do not think the teacher to two authors Leeds met at school is a very, very important people. I will accept his spent all that actively helped teachers were. Without their efforts, never see that effort alone could not have achieved success in Leeds.

하버드에 신청을 하고 뉴욕 타임즈 장학금을 신청하며 보낸 에세이가 주목받아 최종 면접까지 간 후 그 곳 기자들과 인터뷰를 통해 일약 유명인사가 된다. 하버드를 들어가고 주변에 도와주는 사람들이 생겨 지금은 자기 계발 분야 강사로 활동을 하고 있단다. 단순하게 한 사람의 역사를 읽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 인생에 있어 중요한 부분에 대해 마지막 부분에 나온다.
 Harvard application essay scholarship application and sent the New York Times to receive attention until the final interview, interview with reporters after the place is suddenly a celebrity. Enter Harvard is now possible to help people around the field of self-development as an instructor, and activities. Important part in his life is not simply to read a person's history, but at the end of the emerges.

달라이 라마와 간단한 질문과 대답이 잘 못 되었는데 사람들은 잘못된 대답에 자신만의 의미를 부여한다. 다른 사람들은 잘못된 대답인지 모르는 상황에서 자신만의 가치와 판단을 근거로 리즈에게 이야기한다. 그런 후 통역과정에 잘못되어 대답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들은 후에 자신의 지나온 인생과 앞으로 가야할 인생에 대한 확고한 판단과 결정을 내렸다고 한다. 
 The The was the this the answers and the frequently asked questions a simple and the the the Dalai Lama,,, is well-nails, and so are the people in in the the wrong on the the answer of, you, shall grant the the the meaning of the the their own only the. ,, On the basis of the the the the value and judgment of the the the their own only the from the the the situation of the a different people who is of the you you do not know whether you have the wrong answer, and it shall be the story to the Leeds as a., After having heard the that the the does In Then, after the, in that says you have an invalid an interpreter on the the process of, is invalid and page has answer and,,,, you should be sent the. The a firm to the a judgment and the determines the the the life, so far of the the their own and the (0) about the in the future to the need to go on the life,,

"노숙자건, 사업가건, 의사건, 교사건, 어떤 삶의 배경을 가진 사람이건, 우리 모두에게는 똑같은 진실이 적용된다. 삶은 본인이 거기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는다는 진실"
 Homeless, businessman, doctor of teachers of people with a background in life, it has a different meaning for all of us, the same truth applies, any meaning in my life there depending on the truth "

이 내용이 책의 마지막을 장식하는데 이 글을 읽는 것만으로도 느껴지는 것이 있을 수 있지만 그보다는 '길 위에서 하버드까지'라는 책을 끝까지 다 읽은 후에 이 글을 읽을 때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리즈의 삶이 바로 저 문구에 투영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나에게도 투영되기 때문이다. 
The time you read this after reading the end of a book called Harvard 'on the road' to decorate the end of the book just by reading this article that can be felt, but rather comes as a big echo. Liz's life is projected that phrase. As for me, is projected.
돌아보게 만드는 책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