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13의 게시물 표시

4천만원으로 작은식당 시작했습니다 - 시작하라 이들처럼(40 million won has started a small restaurant - Begin like these)

이미지
우리나라의 자영업자 비율은 다른 나라에 비해 많다고 한다. 정확하게는 아마도 OECD국가 가운데 많은 편일 것이라고 본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운영을 하고 있는 분야가 바로 먹거리로 보인다. 단순하게 생각해서 인간은 누구나 먹어야 하니 먹는 장사를 하면 최소한 어느 정도 돈은 되지 않겠냐는 생각을 하고 할 수 있지만 그만큼 먹거리 장사가 많다보니 한정된 인원을 갖고 나눠야 되는 만큼 큰 돈을 벌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갈수록 사람들이 먹는 걸 단순히 배부른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그 이상을 원하기 때문에 무턱대고 먹거리 장사를 시작한다는 것이 점점 갈수록 쉽지 않은 일이 되고 있다. Compared with many other countries, the proportion of self-employed in Korea. Accurately perhaps among the OECD countries, many pyeonil will Most especially in the field of operating and seems to be the right food. Increasingly people simply anyone to eat, do you eat buried, at least to some extent if the money would not detractors think and think a human can bury a lot of food that much, but I have limited personnel divide is large enough that you can make money nor increasingly getting full that eating simply is not satisfied, because we want more than that to start a business blindly stuffing is not easy. 사정이 이러한대도 여전히 사람들은 먹거리 장사를 손 쉽게 시작하고 어렵게 운

햄릿 - 세익스피어(Hamlet - Shakespeare)

이미지
우리가 알고 있는 햄릿의 내용은 세익스피어가 초연 당시나 그 이후에 했던 극본과 100% 일치하지 않는다고 한다. 당시만 해도 극장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자산이라 생각하여 대본을 극장에서 소유하고 있어 외부로 유출하지 않았다고 한다. 걔중에 기억력과 암기력이 좋은 사람들에 의지해서 대본이 돌아 다녔다고 하는데 그렇게 만들어진 대본이외에 세익스피어 사후에 극장 내부에 있던 극본까지 합해서 지금 돌아다니고 있어 영국에서도 햄릿의 대본은 3가지 정도가 된다고 한다.  Information we know that Hamlet was a play on or after the time of Shakespeare premiered correspond 100% does not. Leak outside the theater their own assets in the theater owns the screenplay did not. Was inside the theater, a play the Bellagio in the post I'm driving around now rely on the good people of memorization ability during her scripted Shakespeare back in addition to the so-crafted screenplay was stalking the screenplay of Hamlet in the UK degree, he said. 문제는 3가지의 극본이 전체적인 극의 흐름이나 내용은 비슷할 지 몰라도 대사등이 달라 캐릭터들의 심리와 생각이 현저하게 다를 수 있어 지금도 햄릿의 내용은 언제든지 새로운 내용으로 선 보일 수 있다고 한다. 햄릿은 저절로 입체적인 인물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극본에 따라 약간은 햄릿이 하는 행동과 생각이 달라진다면 다양한 이야기가 전개되어 더 풍부해지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Flow Screenplay overall three-pole or si

베끼려면 제대로 베껴라 - 모범교사, 반면교사(To properly transcribed copy from - The best teachers, while teachers)

이미지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라는 표현이 있다. 더이상 새로운 것이 나올 수 없다는 뜻이다. 무엇이 새롭게 나온다고 해도 결국에는 기존에 있던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오~~ 이거 신기하다'라고 이야기를 해도 찬찬히 가만히 들여다 보면 어디선가 본 것 같은 기시감에 빠져 들기 마련이다. 그렇지 않다면 그건 내가 미처 모르는 것이 많다는 뜻이고 관련 분야의 종사자들은 척 보면 느낌이라는 것이 있다. The phrase, 'There is nothing new under the sun'. No longer means that nothing new can come. You can see what was more, even eventually to the existing newly mere 'Oh this is amazing' story even contemplate If you look around This is like deja vu to fall somewhere. Practitioners in the field and there's a lot I realize you do not know means they pretend to look and feel that it is otherwise. 어디선가 본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고 하여 카피캣이라는 표현을 쓸만큼 그대로 베낀 경우는 드물다. '짝퉁'이라는 표현처럼 아예 대 놓고 베껴 이익을 보려는 사람이 아니라면 비슷하다는 느낌을 가질 지언정 완전히 똑같이 베끼는 경우는 없다. 양심을 떠나 그런 대범한 사업을 한다면 결국에는 업계에서 매장을 당하고 고객들의 외면을 받을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Somewhere, is rarely enough to write a copy of this seems to feel cared Cat phrase literally plagiarise. If you do no

나는 남들과 무엇이 다른가 - 나만의 무엇(What is the difference I have with others - Own what

이미지
'나는 남들과 무엇이 다른가'는 아무런 이유없이 내 관심을 끈 책이다. 우연히 서점에서 이 책을 발견하고는 아무런 꾸밈없이 오로지 책의 제목만으로 나를 유혹하는 게 느껴졌다. 대부분의 책은 아무래도 책 표지 이면에 있는 저자에 대한 간단하지만 중요한 이력을 읽게 된다. 사실, 저자 스스로 써 놓은 이야기를 읽는다고 책을 선택하는 데 있어 딱히 영향력을 크게 발휘하지는 않아도 습관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읽으면서 알게 모르게 선택하는 데 판단을 하게 된다. 'I' What is different with others, for no apparent reason, my attention is the book down. This book by chance in a bookstore, and found nothing to tempt me with only the title of the book without embellishment felt Maybe the author behind the book cover for the book's most simple, but it is important to read the history. In fact, the judge is to choose to read a book that the author himself wrote the story particularly do not exert significant influence, knowingly or unconsciously, habitually read as to select. 하지만, 앞 표지는 넘기고 나온 면에는 저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책 표지 만큼이나 나를 더욱 유혹하는 문구가 나와 있었다. 그 글을 읽으니 더욱 읽고 싶은 욕구가 발동을 했다. 나중에 깨닫고 보니 마케터라는 저자에게 내가 당했는지 앞 표지가 아닌 뒷표지쪽에 저자의 이력이 있었다. 저자의 이력등과는 상관없이 철학책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했고 작년에 우연

손정의의 상식을 파괴하는 비느지스 테크닉 - 300년 대계(Business techniques to destroy the sense of sonjeongui - 300 years Daxi)

이미지
미국에는 스티브 잡스, 빌 게이츠, 한국에는 안철수가 IT를 통해 성공했고 사회적으로도 기업적으로도 존경을 받고 그들의 경영철학과 삶의자세에 대해 사람들이 궁금해 하고 배우려고 한다면 일본은 누가 뭐라해도 손정의가 아닐까 한다. 일본 기업인들을 다 알고 있는 것은 아니라도 한국에 있는 내가 알 정도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사람으로 한정한다면 손정의는 틀림없는 사실일 듯 하다. 추가로 일본에서 활동하지만 일본인이 아니라는 점까지 더해서.  In the United States, Steve Jobs, Bill Gates, in Korea, Ahn and socially through a successful IT companies as respected people wonder about their management philosophy and attitude of life, and if you want to learn Japanese, who say it might even sonjeonguishould. Unmistakable fact limited to riding so famous in Korea, but also I know people know that Japanese businessmen if sonjeongui seems Plus additional activities in Japan but not Japanese. 손정의에 대해서는 신문이나 여러 기사를 통해 접하게 되었지만 단 한 번도 손정의에 관한 책을 읽어 본 적은 없다. 게다가 굳이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 적도 없다. 그토록 일본에서는 대단한 인물로 추앙을 받고 뜨문 뜨문 들리는 소식에 의하면 좋은 일도 많이 하는 사람인 듯 싶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실제로 그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알려져 있지는 않은 것 같다.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에 비하면 말이다.  Only once sonjeongui for several articles in newspapers or through

오디션 -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Audition - Antony and Cleopatra)

이미지
로맨스 소설은 유치하다는 이야기를 들을지 몰라도 꾸준한 팬층을 획보한 장르이다. 최근에는 예전과 달리 로맨스와 판타지를 접목하거나 SF를 접목하여 더 발전한 내용을 선 보일뿐만 아니라 보다 적극적이고 자극적인 묘사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는 장르로 발전했다. 그런 이유는 아마도 20대에 로맨스 소설을 읽었던 팬층이 나이가 들어 더욱 농밀도 높은 묘사와 자극을 원한 이유가 아닐까 싶기도 하는데 불행히도 그런 로맨스 소설의 대다수가 우리나라가 아닌 외국 소설이라는 것이다.  Attract that may have made the story of the romance novel genre is a steady fan base hoekbo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people through more aggressive and provocative depiction Unlike before, combining romance and fantasy or SF line by incorporating more advanced look, as well as love (?) Genre has evolved. That reason probably read a romance novel fan bases in 20 age, for which also might be one of the reasons I wanted to stimulate more dense and high depiction Unfortunately, the majority of those romance novels country rather than foreign novels. 이토록 꾸준히 사랑을 받는 장르임에도 혹시나 B급 장르라고 터부시한 결과는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에 반해 무협지와 판타지 장르는 꾸준히 사랑을 받고 읽히는 것과 대비하면 약간은 의아한 생각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한 때 인터넷 소설로 로맨스 장르가 유행을 크게 한 적도 있는데 장

부메랑 - 뿌린대로 거두기(Boomerang - As you sow, so you reap)

이미지
부메랑을 던지기 위해서는 작은 공간이 아닌 큰 공간이 필요하다. 대부분 넓은 잔디에서 던지는데 일정 거리까지 가야만 되될아온다. 짧은 거리는 던져도 돌아오지 않는다. 부메랑을 받는 사람의 기술도 필요하다. 잘 못 던디면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돌아오지도 않고 받을 때도 잘못하면 다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원반은 앞으로만 나가지만 부메랑은 반드시 돌아오게 되어 있다. 어느 장소로 돌아 올지에 대해서는 모르지만.  Boomerang throwing a small space rather than a larger space is needed. Most spacious in the grass to go up to a certain distance, to throw doedoel comes A short distance and do not come back. Deonjyeodo Recipient of the Boomerang technology is also required. Wrong Dundee missteps hurt yourself when you yourself want to get back in the direction we are not likely to have enough. Discus the future boomerang ten thousand go crawling back. To come back here to the place which I do not know. 멀리 던지면 멀리 던질수록 부메랑이 돌아오는 시간은 늦어진다. 하지만, 반드시 부메랑은 돌아온다는 것을 현실에서는 눈으로 부메랑의 궤적을 쫓아가며 볼 수 있지마 현실세계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서 우리는 부메랑을 원반으로 착각하고 던진 후에 잊는 경우가 많다.  Away throw away throw the boomerang coming back time and slower. About what is happening in the real world, howe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