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021의 게시물 표시

적당히 가까운 사이 - 관계

이미지
  사람과 사람은 함께 살아갈 수 밖에 없다. 이 관계가 미묘하고도 복잡하다. 대부분 문제가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생기는 경우가 대다수다. 기본적으로 혼자 살아간다면 그다지 큰 문제가 생기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외로울지라도 말이다. 그럼에도 사람은 문제가 좀 있더라도 사람과 함께 더불어 사는 것이 기본적인 전제조건이다. 아마도 이 사실을 부정하긴 힘들듯하다. 혼자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지 않을까싶다. 그런 사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라고 쓰지만 그런 사람이 정말로 있을가. 내 생각에는 없을 듯하다. 사람을 만나지 않는다는 것은 하루종일 한 마디도 안 해도 된다는 뜻도 된다. 하루만 한 마디만 하지 않아도 답답해 미치지 않을까한다. 그토록 어려운 것이니 종교에서 면벽수련이나 동굴 같은 곳에서 혼자 들어가 수행을 하는 것이 거의 못숨을 내놓고 한다는 표현을 하는 것이 아닐까한다. 그만큼 우리는 사람과 관계에서 함께 살아간다. 이 관계라는 것이 친하면 친할수록 좋은 것은 분명히 사실이다. 문제는 친해지면 즐겁고 신나지만 너무 가까워지면 또 부담스럽다. 하나의 원 안에 들어가면 서로 만날 수 있어 좋다. 그럼에도 서로가 함께 교집합을 나누는 것은 좋지만 합집합이 되는 것은 올바른 일은 아닐 듯하다. 어떤 일이 있어도 나는 나일 뿐이다. 누구도 날 대신 할 수 없다. 아무리 내 마음을 철떡같이 알아듣는 상대방이 있어도 모든 걸 알 수는 없다. 우리는 누구나 복잡 미묘한 존재다. 나도 나를 잘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니 상대방이 나를 완전히 알기는 힘들다. 그렇기에 적당한 관계가 참 이상적이지만 무척 힘들다. 하나의 원 안에 들어가는 것은 좋지만 그 안에서 더욱 내밀한 써클이 있다. 거기는 침범하지 말아야 한다. 그 써클까지 들어갔을 때 처음에는 좋아할지 몰라도 시간이 갈수록 자신이라는 존재에 대해 질문을 하면서 힘들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런 사실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렇기에 이 책 제목처럼 <적당히 가까운 사이>라는 말

승리하는 습관 - 자기 인식

이미지
  유명한 스포츠 코치가 많다. 워낙 미디어가 발달한 미국은 코치에 대한 인기와 추앙이 대단한 듯하다. 한국도 분명히 뛰어난 코치가 있을텐데 미국은 자신이 맡은 팀이 승리를 오래 할수록 추앙받는다. 단순히 스포츠 코칭에 대한 부분만 말하지 않고 경영 부분에도 접목하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 팀 스포츠인 야구, 농구, 미식 축구, 아이스하키와 같은 미국의 4대 스포츠 코치는 부와 명성이 함께 오는 경우가 많다. 그들이 이뤄내 성과에 대한 책도 많다. 그들이 팀을 관리하고 승리하는 마인드를 심어주고 조직을 단단하게 만들었을 때 많은 회사에서 그들을 부른다. 그들은 어떤 식으로 팀을 만들었는지 설명할 뿐만 아니라 주옥같은 명언으로 사람들에게 각인되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자기 계발 관련 책 중에 미국 책을 읽으면 유명한 코치들이 한 이야기를 명언으로 실는 경우가 많다. 하도 많이 여러 책에서 사례로 실어주니 알지도 못하는 코치 이름이 친숙할 정도다. 미식 축구의 빈스 룸바르디같은 경우가 그렇다. 미식 축구는 그저 어쩌다 스포츠 TV에서 스쳐가며 봤을 뿐이라 제대로 된 경기 규칙이나 선수도 모르는데 코치 이름을 알 정도다. 워낙 그가 한 명언이 많은 책에서 회자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팀을 오래도록 승리하는 조직으로 탈바꿈 시킨 코치에 대한 관심은 지대하다. 미국은 워낙 땅덩어리가 넓어 시합해야 하는 팀이 많으니 더욱 코치의 역할이 중요한 듯하다. 더구나 프로 스포츠 팀의 스타면 벼락부자라고 할 정도라 그들을 휘어잡고 팀의 일부로 녹아내려면 더욱 그렇다. 이 책 <승리하는 습관>은 농구 코치를 했던 저자가 쓴 책이다. 자신이 만났던 수많은 팀의 코치와 선수들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농구 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의 사람들도 전달해준다. 팟캐스트를 진행하고 있어 다양한 관련 전문가를 만나 책에서 내용을 전달한다. 개인에 대한 이야기, 리더의 이야기, 조직 관리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아무래도 나는 리더와 조직보다는 개인에 대한 이야기가 가장 많이 와 닿았다

정해진 미래, 대세상승장이 온다 - 달러 약세

이미지
  누구나 자신이 투자한 기업만은 다를 것이라 생각한다. 전체 주식 시장이 하락해도 상승하는 기업은 있다. 전체 주식시장이 상승해도 떨어지는 기업은 있다. 이런 식으로 현재 주식 시장이 어떠하든 내가 투자한 기업은 전혀 상관없이 상승할 것이라 믿는다. 믿는다는 표현이 딱 맞다. 투자를 하다보면 그 말은 맞긴 한데 쉽지 않다. 전체 주식시장이 떨어질 때 내가 보유한 기업만 상승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전체적인 흐름이 있다고 봐야 한다. 상승 추세인지, 하락 추세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상승 추세인지 여부를 알 수 없다. 심지어 상승 추세가 시작할지 여부는 더욱 알 수 없다. 그런 걸 알아야 할 시간에 기업에 집중하는 것이 더 좋다는 생각도 많이 한다. 이런 점에서 기술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으로 나눠진다. 이유는 정확히 몰라도 기본적 분석은 고상하고 투자하는 것 같이 느껴지지만 기술적 분석은 어딘지 급이 떨어지고 투기를 하는 느낌이 있다. 막상 투자를 해 보면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이 전부 다 중요하다. 아무리 기본적 분석을 잘해도 기술적 분석이 없으면 어려운 시기를 오래 볼 수 있다.   좋은 기업이 시간이 지나면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은 맞지만 비싼 가격에 매수하면 오랜 시간동안 주가가 상승하지 못하고 마음 고생을 할 때가 많다. 이런 식으로 언제 들어가야 할 지는 기술적 분석이라 할 수 있다. 단순히 특정 기업의 기술적 분석을 할 수 도 있겠지만 전체적인 시장이 현재 어떤 상황이고 향후 어떻게 될지에 대해 예측하는 것은 결코 허튼 짓은 아니다. 어떻게 보면 세계 경제의 큰 흐름을 보는 것은 차라리 쉽다. 수많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이에 대해 알려준다.   개별 기업에 대한 것은 내가 찾아 조사하고 분석해야 하지만 세계 경기의 추세는 뉴스에도 나올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쉼없이 매일같이 떠든다. 이런 추세가 흘러가는 건 알겠지만 이에 따라 언제 투자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애매하다. 언제까지 좋은 상황이고 언제면 나쁜 상황으로 변할지 미리 예측하는 것이 쉽지 않기

김미경의 리부트 - 전환

이미지
  코로나로 인해 많은 것이 변했다. 워낙 다방면으로 변하지 않은 분야가 없다. 정확히는 의지와 상관없이 변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변화가 장기적이고 정기적으로 고착화 될 것인지, 일시적인지 여부는 아직 잘 모르겠다. 너무 단정적으로 변할 것이라 이야기를 하는데 난 그렇게 보진 않는다. 기본적으로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현재 가장 대표적인 재택 근무도 그걸 좋아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 예전에도 재택 근무를 했다가 실패한 경우도 있다. 재택 근무를 하면서 도대체 어디까지가 업무이고 집안 일인지 구분이 안 되어 더 힘들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현재 업무를 보는지 여부를 체크 하는 것 때문에 쉴 시간도 없다고 고백하는 사람들도 있다. 최근에 카페에 앉을 수 없게 한 후에 이걸 풀자마자 다시 사람들은 카페에 몰려갔다. 1시간만 앉아 있어야 한다고 하지만 잘 지켜지지 않았다. 이처럼 인간이 과거부터 오래도록 인에 박힐 정도로 자기도 모르게 본능적으로 했던 것들이 아주 많이 있다. 이런 것은 현재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어쩔 수 없이 하는 상황이다. 얼마든지 현 상황이 풀린다면 예전으로 난 돌아간다고 본다. 과거처럼 완벽히 되지는 않을지라도 말이다. 이런 분야 중 하나가 강의도 있다. 기본적으로 대면을 피하는 분위기도 있지만 닫힌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집단으로 몰려 있을 때 코로나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되고 있어 더욱 주의를 요한다. 어쩔 수 없이 대면 강의는 거의 대부분 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고 온라인 강의로 대체되었다. 아마도 이런 상황에서 <김미경의 리부트> 저자처럼 대면 강의를 활발하게 하던 사람같은 경우에는 타격이 꽤 컸을리라. 이미 유튜브 등을 통해 나름 다각화를 해 놨지만 주 활동무대가 오프라인이라 전부 끊겼으니 말이다. 처음에는 간만에 푹 쉴 수 있어 편했다고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회사 직원들의 월급 등을 고려할 때 심각하게 다가왔다. 이를 통해 어떻게 해야 할 지 본인이 연구하고 조사한 내용을 이 책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