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13의 게시물 표시

모든 파도가 기회다 - 파도는 상황일뿐(up, down, or sideways - Waves's just the situation)

이미지
미국에서 자기계발과 관련된 산업은 상당히 번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무엇인가 돈을 지불하고 지식을 얻는다는 것에 일정 부분 선입견을 갖고 있지만 미국같은 경우에는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게다가 그러한 좋은(??) 이야기를 듣기 위해 기꺼이 시간과 돈을 투자한다. 그렇기에 강연자들이 많이 배출될 수 있다.  Industry related to the self-development of the United States know that you have a very prosperous. In Japan, you have a preconceived notion to some extent in getting the knowledge to pay the money or what, but it is received on the case,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of course very. In addition, to invest time and money are willing to listen to such talk of (?) So, I can lecturer discharged many. 하나의 산업으로써 좋은 영향력을 끼치고 사람들이 열광과 환호를 하기도 하고 이야기를 듣고 삶에 적용을 하기도 한다. 단순히 책을 읽고 강연을 듣는 것을 넘어 아예 강의녹음을 구매해서 지속적으로 듣기도 한다. 너무 산업화하는 측면에 대해 일정부분 우려의 시선이나 사기꾼 냄새도 없지 않아 있지만 이를 통해 성공학을 비롯한 다양한 미국의 성취동기가 탄생한 배경이기도 하다.  Some also have a positive effect as one industry, people will apply to life to hear the story or the cheers and enthusiasm. Sometimes you hear on an ongoing basis to purchase a record

월든 - 자급자족(walden - Self-sufficiency)

이미지
'월든'은 무척이나 유명한 책이다.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것인지 우리나라에서 유독 유명한 것인지는 모르지만 월든의 저자가 1862년에 사망했으니 무려 200년이 지나 아직도 이 책이 사람들에게 읽히고 있다는 것은 굳이 확인을 하지 않아도 전 세계 사람들에게 유명하다는 뜻이 되지 않을까 한다. 그렇다고 모든 사람들이 전부 이 책의 제목과 헨리 데이비드 소로라는 저자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의미는 분명히 아니다.  'Walden' and the very famous book. Whether the world-famous famous in Korea toxic Whether the author of Walden, but died in 1862; 200 haeteuni two years later, people still read this book is that you do not bother to check the world would not mean that people are known to . Not all the people all of the book's title and author Henry David Thoreau certainly not meant to know about that. 도대체, 어떤 이유로 '월든'은 유명해 진 것일까? 어떤 점이 이 책이 나온 이후에 이 책을 읽은 사람들로 하여금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였기에 사람들은 이 책을 200년이 된 지금도 꾸준히 읽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사람들의 번역으로 된 다양한 출판사에서 출판하고 있는 것일까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는 것이 이 책을 읽는 목적이라고 하면 본 말이 전도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만 책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이 들었고 그에 대한 해답은 책 초반부터 나오기도 하고 '월든'을 소개하는 사람들의 소개글을 읽기만 해도 알 수 있다.  What the hell, for some reason, 'W

유유자적 100년 - 안분지족(Sit back 100 years - Proportional distribution contentment)

이미지
유유자적의 저자는 현재 나이가 100살이 넘었다. 장수하면 일본이라는 점때문에 얼핏 보고서는 저자가 일본 사람이라고 오독을 했다. 저자의 이름을 눈여겨 보지 않고 대략적인 내용만 보다보니 그랬다. 책을 읽어보니 책의 저자인 자오무허는 대만사람으로써 100세가 넘은 시점에 책을 펴 내고 98세에 석사학위를 따낸 인물이라고 한다.   Sit back with the authors of the current age exceeded 100 years old. Long life due to the fact that when Japan first glance, the authors report that the Japanese had misread. The author's name, but more noticeable without seeing the contents were indeed rough. Read the book, the author of a book who looked Omura heoneun by Taiwan people over the age of 100 at the time of pay spread book won a master's degree at the age of 98 characters is called. 우리나라에서는 당연히 그 존재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만에서는 모든 사람들이 다 알아 볼 정도의 유명인사는 아니여도 어느 정도 알만한 사람은 아는 존재가 아닐까 싶다. 나이가 들어 대학을 간다는 이야기는 종종 우리나라에서도 듣기는 했는데 90세가 넘어 대학원에 진학을 했다는 것은 대단한다고 아니 할 수 없다.  Obviously, the presence in our country is not known, but all the people in Taiwan know it's enough to see celebrities ahniyeo know someone in the know to some exten

문학이란 무엇인가 - 답이 없는 것(What is Literature - do not have the answer)

이미지
처음 예상은 하루에 120페이지 정도를 3일에 걸쳐 읽으려고 했다. 조금 무리해서 140페이지까지 읽어야만 했지만 사람에게 예정은 예정일 뿐이였다. 첫날 겨우 10페이지 읽고 둘째날 100페이지 읽고 셋째날 30페이지 정도를 읽게 되었다. 제한된 시간은 목요일이였고 일요일에 읽기 시작해서 화요일까지의 사정이 이러하여 수요일에 어쩔수없이 250페이지 이상을 읽어야만 하는 엄청난 상황이 나에게 닥쳤다. 꼭 다 읽어야 한다는 사명감은 없지만 내 원칙이 집어든 책은 끝까지 읽자는 주의라 부랴 부랴 수요일에 200페이지 정도를 읽고 당일인 목요일에 50페이지 정도를 읽었다. 덕분에 읽느라 힘들었다. 읽었다는 성취감만 남은 듯하다.  Expected around the first 120 pages a day over three days was trying to read. You have to read through 140 pages a little bunch of people, but there was always the plan date. Read only 10 pages the first day of the second day, third day, read 100 pages to read about 30 pages were This was a limited time Thursday to Sunday and Tuesday to start reading these circumstances forced on Wednesday to read more than 250 pages, but to me the tremendous situation at hand. To be read, but my mission is just the principle of the book is picked up and read to the end of the week on Wednesday hurriedly place to read about 200 pages of the day on

빅픽처를 그려라 - 나는 플랫폼(Draw the big picture - I'm platforms)

이미지
더글라스 케네디의 '빅픽처'의 내용은 이러하다. 자신의 인생을 제대로 살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한 한 인물이 우연한 기회에 완전히 다른 곳으로 가서 지금과는 달리 본인이 원했던 삶을 살게 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몇가지 행운이 결부되어 이전의 삶과는 다른 뛰어난 실려과 행복한 삶을 살게된다는 내용이다. 이전의 삶과 이 후의 삶에 있어 다른 점은 이전의 삶이 어쩔 수 없이 살았던 삶이라면 이후의 삶은 자신이 주체적으로 하고 싶은 것을 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노력한 삶이라는 것이다.  Douglas Kennedy's 'big picture' of the contents of the account. The figures live his life properly thought mothadago not will live the life I wanted, unlike now, the chance to go in a completely different place. In such a course, some luck is associated a previous life and live a outstanding a happy life silryeogwa the other is that. Different points in the previous life and the life after If the previous life lived unavoidable, and the efforts of the voluntary (?) To want to after a life of their own subjective life. '빅픽처'라는 제목이 이미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이 책은 바로 '빅픽처'에 영감을 받아 관련된 내용을 이야기하는 책이려니 지레짐작을 했다. 그러나, 우연의 일치였다. 전옥표씨가 자신이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의 네이밍을 '빅픽처'로 삼고 준비를 하는 과정에

나를 찾아줘 - 나를 알아줘(Gone girl - Let me know)

이미지
정확하지는 않지만 미국에서 책과 관련되어 가장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오프라 윈프라로 알고 있다. 그가 하는 프로에서 한 달에 한 번 책을 선정해서 추천하는데 여기에 선택되는 책들은 그 즉시 베스트셀러가 된다고 한다. '나를 찾아줘' 경우에도 그렇게 오프라 윈프라쇼에 소개가 되었고 베스트셀러가 되어 우리나라까지 소개가 되고 있다. 그것도 오프라 윈프라가 추천했다는 문구와 함께.   Is not accurate, but the most influential books in the United States are associated with people known as the Oprah Win PRA. His professional at least once a month here and select which books to recommend selection of books and bestseller immediately. So even if you find me. 'Was introduced in the show Oprah Win plastic to Korea, the best-selling introduction. Together with the phrase the Oprah Win Fraga has recommended it. 이 책과 완전히 관계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 것이 추리, 스릴러 소설들의 분량이 너무 길다는 것이다. 소설은 단순히 내용을 전달하는 장르가 아니라 얼마나 치밀하게 상황에 대해 묘사를 잘 하느냐의 장르라고 볼 수도 있어 내용이 다소 길어질 수 있지만 최근의 추리, 스릴러 장르들은 너무 내용이 길다.    Relationship may this book and the one that would prevent us from doing this amount of mystery, thriller novel, too long. Novel genre that simply passes the cont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