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지만 청불입니다 영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확실히 아무 생각없이 읽다보면 놓치는 게 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책의 반 이상 읽은 후에 뒤늦게 깨달았다. 내가 읽고 있는 소설 속 인물이 2명이 주인공이 아니었다. 총 4명이 주인공이었다. 덕분에 좀 중간에 혼동되었다. 주요 인물이자 전체를 관통하는 인물은 토마시와 테레사다. 처음에는 토마시가 남자 주인공이고 테레사와 사비나를 사이에 두고 벌어지는 일이 아닐까했다. 여기에 역사적 맥락으로 체코에서 벌어진 일을 함께 알려주는 소설로 생각했다.

읽다보니 프란츠란 인물이 나온다. 토마시에 이름을 변경한 것이 아닌가했다. 프란츠와 있을 때 쓰는 예명식으로. 전혀 다른 인물이라는 걸 중반 이후에 앍았으니 내가 이 책을 제대로 읽었다고 해야할까라는 의문도 들었다. 토마시라는 인물이 처음에는 대단한다고 생각했다. 외과의사라는 다소 좋은 직업을 갖고 다양한 여자를 만난다고 봤다. 여러 여인을 지속적으로 교체하면서 만난다. 그 와중에 테레사와 관계는 유지한다. 테레사는 이 점을 늘 불안하게 생각한다.

다소 쿨하게 받아들이려 하지만 결코 그렇지 못한다. 그런 여자 중에 사비나는 테레사도 만나기도 한다. 토마시는 자유롭게  살아가는 삶을 추구한다. 그가 추구하는 삶은 단순히 연애관만 해당하는 건 아니다. 인생 전체를 관통해서 자기 삶에서도 마찬가지다. 어느 한 여자에게 정착하기보다 마음가는대로 만나고 헤어진다. 그럴 수 있는 이유 증 하나는 의사기 때문이라고 본다. 꼭 그게 전부는 될 수 없어도 상당히 중요한 존재 이유가 된다. 스스로 자신의 몸 하나는 얼마든지 지켜낼 수 있으니까.

소설 배경이 되는 체코는 소련의 지배 하에 들어가게 된다. 그럴 때 자유롭게 살면서 살아도 되었는데 딱 하나의 일을 한다. 독자 투고로 현 상황에 대한 글이었다. 자유에는 권리 뿐만 아니라 책임과 의무도 함께 따른다. 이걸 할 것인지 여부는 개인의 판단에 따라 다르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대거 편집되어 언론에 실렸다. 별 문제 없이 넘어갈 것이라 생각했던 글은 두고 두고 토마시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온다. 워낙 확고한 직업을 갖고, 재능도 좋았던 토마시였다.

그런 토마시에게 누군가 접근한다. 글을 쓴 것 자체는 문제삼지 않는다. 다만, 그 글을 쓴 후에 발표할 때에 도와 준 사람들을 문제 삼는다. 아무 생각없이 대화를 하다 이건 취조라고 느낀 후 어떤 누구도 발설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려 했던 그에게 벌어진 일은 숙청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런 일이 안 생길 수도 있었다. 토마시는 체코를 떠났었다. 다시 돌아온 것은 테레사 때문이었다. 그렇게 볼 때 자유를 추구하던 토마시의 선택은 사랑이었을까, 책임이었을까.

테레사는 사진을 찍었는데 그가 한 사진은 소련 탱크를 찍고 그 앞에서 자유롭게 춤추던 청춘을 찍는다. 그가 찍은 사진을 잡지사에서는 좋게 보지만 돈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돈이 되는 사진을 제안하지만 테레사는 때려치운다. 자신의 자아를 추구하기보다는 사랑을 택했는지도 모르겠다. 택하지 않은 삶에는 토마시는 없었을 듯하다. 크게 부담갖지도, 고민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소련이 들어온 후 자신의 사진이 문제가 될까봐 전전긍긍하며 감추려고 한다.

신기한 것은 테레사는 토마시의 머리카락에서 다른 여성의 성기 냄새를 맡는다. 토마시가 몸 구석을 닦고 향수를 써도 머리카락은 신경쓰지 않았다. 그걸 기막히게 테레사는 안다. 솔직히 읽으면서 그 외에 다른 작품에서도 가끔 이런 메타포가 나올 때는 의아하다. 어떻게 해야 머리카락에서 그 냄새가 날 수 있는지 지극히 호기심나는 궁금증이 생겼다. 그런 식으로 테레사는 토마시가 여전히 자신과 함께 있으면서도 다른 여자를 만난다는 의심을 지우지 않고 지낸다.

토마시의 또 다른 연인인 사비나는 화가다. 사비나 역시도 자유로움을 추구한다. 토마시와 사비나의 만남은 그렇기에 서로 부담없이 만나고 언제든지 헤어질 수 있는 하지 않았을까. 사비나에게 테레사가 와도 별로 부담스러워 하지 않는다. 오히려 사비나는 테레사를 모델로 그림까지 그리려 한다. 테레사만 부담스러워 하지만 그마저도 사비나의 태도에서 묘한 동질감을 느끼고 더이상 신경쓰지 않는다. 사비나는 자신이 했던 모든 그림을 키치라고 생각하지만 사람들은 달리 본다.

사비나가 미국에서 작품을 선보일 때 사람들은 소련에 대한 항거로 받아들인다. 자신은 그저 키치라고 생각했던 걸. 전체적으로 사비나는 굳이 꼭 소련이 아닌 자신의 작품 자체를 키치라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자신의 작품이 좁게 해석되는 걸 경계했다. 사비나가 이야기 중 베트남에 간 이야기가 나온다. 베트남을 경유해야 하는데 베트콩이 숨어 있는 곳을 지나야 한다. 아무리 외쳐도 숨소리 조차도 들리지 않는다. 사비나는 죽음의 충동마저 들면서 뛰쳐나가고 싶어한다.

어떻게 보면 그게 바로 질식할 것같은 억압을 싫어하는 자유를 추구하는 삶의 태도가 아닐까한다. 누군가는 그런 상황에서 체제에 순응하고 가만히 있으려 한다. 그걸 참지 못하는 사람은 결국에는 어느 순간 뛰쳐나간다. 죽을 것이라는 걸 알면서도 행한다. 프란츠의 이야기는 내가 토마시와 혼동해서 그런지 딱히 기억에 크게 남지는 않는다. 토마시는 모든 걸 포기하고 시골에 들어가 테레사와 살아가는 삶을 택한다. 의사도 할 수 없어 노동자로 살아가는 삶을 살아가며 하루를 보낸다.

자유롭게 살다 아주 좁은 시골에서 누가 사는지도 알고 할 것도 없는 곳이다. 토마시가 어떤 생각으로 그곳에서 살았는지 소설을 알려주지 않는다. 테레사에게 집중해서 테레사의 고뇌 등을 알려줄 뿐이다. 정작 그런 삶을 살아갈 때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달리 선택할 것이 없는 삶이었는데 어떤 생각이었는지 궁금했다. 읽었을 때 체념은 아니었던 듯하다. 소설의 마지막을 볼 때 테레사와 토마시는 차라리 잘 된게 아닐까도 싶다. 그 후의 삶이 어떨지는 시간일 갈수록 자유를 마음 속에 품었던 사람에게 다가오는 게 달라졌을테니.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자유를 허하라.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누구나 할 말은 해야 한다.

함께 읽을 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