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1의 게시물 표시

하면 된다! 퀀트 투자 - 울트라 전략

이미지
단어도 생소한 퀀트가 어느덧 사람들에게 알려진지 꽤 시간이 지났다. 미국에서 유명한 헤지펀드가 주로 운용하는 투자 방법이라 생각했다. 한국에서도 이를 활용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이야기는 들었다. 한국에서 이를 활용해서 운용하는 곳은 있긴 한데 사모 펀드 식으로 운영하는 곳으로 알고 있다. 일반인은 도저히 흉내도 내지 못할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던 것이 조엘 그린 블라트의 마법 공식이 국내에 소개되면서 본격적으로 이를 따라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났다. 아주 단순한 공식인 저PER+고ROE를 섞어 1년에 한 번씩 리밸런싱하면 된다. 이렇게 한 투자가 머리를 싸매면서 한 방법보다 훨씬 뛰어난 수익률을 보니 다들 감탄하며 열광했다. 이 방법으로 한 사람들이 많았고 어느정도 수익도 낸걸로 알고 있다. 꽤 많은 시간이 지났는데 이 방법으로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있는데도 넓게 퍼지지 않은 것은 적용하는데 있어 각자 또 다른 부분이 있었다는 뜻이 된다. 그 이후에 고객의 돈을 받아 투자하는 전문운용도 나타났다. 이 분들이 등장해서 기존 방법과는 다른 걸로 투자하면서 수익을 냈다. 일반인들도 퀀트 투자를 시작했다. 엑셀을 갖고 약간 노가다를 하면서 퀀트를 짠 걸로 안다. 꽤 단순하다면 단순한 방법으로 직관적으로 수익 내는 걸 보여주니 혹~~하는 것은 사실이다. 나도 엑셀을 갖고 약간의 노가다를 해서 만들어 보긴 했는데 엑셀 실력이 없기도 했지만 나 자신이 이걸 해도 결국에는 마이너스가 되는 것도 있는 걸 견뎌내야한다. 그럴바에는 기존에 하던 걸 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내렸다. 퀀트 투자도 인내라는 강을 건너지 않으면 아무 의미는 없다. 누적 수익률이 좋다는 것이지 단기 수익률은 많이 추락할 수도 있다. 실제로 최근 몇 십년을 놓고 보면 워런 버핏이 가장 수익률이 뛰어나지 않고 제임스 사이먼드의 르네상스 테크놀로지라고 한다. 퀀트 투자를 하는 헤지펀드인데 메달리온 펀드가 엄청난 수익을 냈지만 작년에는 꽤 처참하게 무너졌다. 최근에는 절세문제도 대두되었다. 퀀트 투자가 꼭

UN에서 일해야만 사람들을 도울 수 있나요? - 아뇨

이미지
  책 제목이 <UN에서 일해야만 사람들을 도울 수 있나요?>다. 일단 UN이라는 단어에서 말문이 턱 막힌다. UN은 그저 듣거나 보기만 하던 곳이지 그곳에서 일을 한다는 생각은 한 번도 해 본적이 없다. 심지어 가보고 싶다는 생각도 한 적이 없다. 그런 곳에서 일을 한다니 뭔가 스케일이 다르다는 느낌부터 들었다. 기껏해야 내 앞가림 하기도 바쁘게 살았는데 UN에서 일을 한다니. 뭔가 거창하기도 하지만 인류에 이바지한다는 거룩한 소명같은 생각도 들었다. 제목은 일하지 않아도 된다. 꼭 그곳을 가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는 뉘앙스다. 이 책의 저자는 실제로 UN에서 근무하는 꿈을 간직했다. 분명히 다양한 일꺼리가 있는 곳일테지만 그럼에도 전 세계를 대표하는 기관이니 인류를 위하는 것이라 본다. 어느 정도 이익을 위해 움직이기도 하겠지만 거의 대부분 지구를 위하는 행동과 노력을 하는 곳일테니 말이다. 이런 곳에서 근무를 하려는 마음을 먹었다는 사실만으로도 뭔가 살아가는 세상이 다를 것 같기도 하다. 저자는 UN에서 일을 하지는 못했다. 책 제목상 본인이 일을 해 보니 그럴 필요는 없다는 뉘앙스로도 읽힌다. 그것과 상관없이 어느 곳에서나 사람들을 도우는  삶을 살면 된다는 의미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도 할 수 있고 외국에 나가서 할 수도 있다. 정답은 없는 문제니 스스로 판단해서 가장 좋은 선택을 하면 된다. 보다는 이 책을 읽으면 자신에게 맞는 걸 찾아가면 된다. 직접 해 봐야 알 수 있다. 막연히 하고 싶다는 생각을 백날 해 봐야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일단 해 보면 자기에게 맞는지여부를 깨닫게 된다. 그 후에 다른 걸 하더라도 결코 늦지 않는다. 이제 겨우 대학을 가고 취직을 걱정할 시기인 20대 초반에 저자는 사람들을 도울 작정을 한다. 외국에 나가기 위해 준비를 하고 영국 런던으로 갔다. 그곳에서 일을 하려 했지만 쉽지 않았다. 학교 다니는 건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경험도 없는 동양의 여성을 뽑는 회사는 없었다. 대학원도 고민했지만 또다시 돈을 내며 

대공황 1929~1933 - 통화

이미지
  대공황이 찾아올까. 이에 대한 답은 누구도 모른다. 대공황을 원하는 사람이 있을까. 아마도 없을 듯하다. 경험해 보지 못한 사람 입장에서 이야기를 할 수는 있지만 원하는 사람은 없을 듯하다. 끔찍하고 절대로 돌아가지 말아야 할 상황이 대공황이다. 한국에 IMF에 대한 기억은 직접 경험하지 못했어도 다시 돌아가기 싫어할테다. 대공황은 그 이상으로 끔찍한 경제현상을 넘어 사회문제였다. 수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었고 먹고 사는 문제로 고통을 겪었다. 대공황에 대한 대처는 재정적 정책으로 알려졌었다. 당시에 유명한 케인스의 조언을 받았는지 정확히 몰라도 뉴딜 정책으로 벗어났다고 알았다. 지금으로 보면 땅파고 땅덮고 하면서 고용을 창출하고 돈이 사람들 손에 들어가게 만드는 정책이었다. 이로 인해 벗어났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전쟁을 통해 벗어났다고도 한다. 전쟁으로 인해 군수물자가 많이 필요했고 전쟁의 직접적인 당사자가 아니었던 미국은 이를 만들기 위해 모든 공장을 풀로 돌리면서 벗어났다. 당시에 최선을 다한 노력이었다. 당시에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에 대해 이런 직접적인 노력말고 경제적으로 어떻게 했는지 나중에 밝혀졌다. 무엇보다 당시에는 통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돈이라는 것이 유통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지만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게을리했다고 할까. 현상이 생겼을 때 처방이 확실하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치유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현상을 생겼지만 이에 대한 처방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나름 최선을 다했지만 잘못된 처방이었다. 이 책인 <대공황, 1929~1933>은 밀턴 프리드먼과 안나 제이콥슨 슈워츠가 <화폐경제학>을 쓴 내용 중 일부를 따로 발췌해서 펴 낸 책이다. 밀턴 프리드먼은 "인플레이션은 화폐적 현상"이라는 표현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인 자유주의를 지지하는 경제학자다.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자유방임주의와 통화주의를 세상에 전파한 거두다. 치열하게 케인스학파와 프리드먼학파가 싸웠다고도 할 수 있다. 케인스

초일류 - 기업

이미지
  초일류라는 표현은 꽤 거창하다. 일류를 뛰어넘는다는 표현이다. 그정도까지 갈 필요가 있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갈수록 복잡하고 새로운 기술과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이 펼쳐지는 현 상황에서 일류를 넘을 필요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초일류가 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기업 입장에서는 꼭 필요한 개념일 듯 하다. 개인인 나에게는 초일류까지 갈 필요는 없지만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기업은 생존을 넘는게 필요하다. 단순히 일류가 아닌 초일류라는 개념은 그래서 필요하다. 이 책 <초일류>는 현재 초일류가 되고 있거나 된 기업에 대한 이야기다. 책을 펴낸 저자의 이력이 특이하다. 몇 몇의 책을 얼핏 보긴 했는데 주로 독서와 관련된 걸 쓰걸로 알고 있다. 여기에 주로 기업을 대상으로 독서모임이나 강연을 하는 걸로 안다. 자연스럽게 독서나 독서와 경영을 접목한 책을 쓴 듯하다. 기업에 독서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러 가는 것은 쉬운 일은 결코 아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아무나 불러들일 수는 없다. 검증도 해야 하고 기업 입장과도 맞아야 한다. 나같은 경우도 어느 연구소인가에 독서모임을 이끌어 갈 사람이 필요하다고 나를 추천했다는 언급을 누가 해줬다. 어쩌면 연락이 갈 수도 있다면서. 그 말을 듣고 나는 웃으면서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업 등에서 원하는 인재라면 인재가 내가 될 수는 없기 때문이었다. 일단 관련 자격증과 해당 분야의 대학 등을 전혀 다니지 않았기에 나를 선택할 리가 없었다. 그런 곳에서는 시작 한 후는 몰라도 시작 전에는 감투와 간판은 꽤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보다 더 치명적인 것은 내가 지금까지 쓴 책이나 내가 하는 주 행동에서 투자를 뺄 수 없기 때문이었다. 나를 섭외하면 자연스럽게 투자랑 연결될텐데 어느 기업에서 그런 사람을 초빙할까. 열심히 기업에서 활동하고 다른 데 눈을 돌리지 말아야 한다.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에 대해 부합되는 주제와 책을 해야 할텐데 나에게서 그런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 그렇기에 1도 기대하지 않았고 연락도 없었다. 그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