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The Sad and Special Love of a Shaman and a Man Cursed with Misfortune in the Drama Head Over Heels>

tvN has launched its new Monday-Tuesday drama, <Gyeon-woo and the Fairy>, aiming to capture the attention of viewers. While tvN has consistently maintained its Monday-Tuesday drama lineup, it's true that past shows have often underperformed in terms of buzz and ratings. However, this project is different. Based on a solid original story, a combination of charming actors, and a fresh premise, it is receiving high expectations from viewers for the first time in a while and is emerging as an anticipated work set to breathe new life into the stagnant Monday-Tuesday slot. Having captured viewers' attention from the first episode and signaling a smooth start, curiosity about its future development is growing even stronger.
The male lead, Bae Gyeon-woo, is played by actor Choo Young-woo. As one of the most notable rising actors today, his prolific activity is befitting of the phrase "works like an ox." He has made a definitive impression on the public by appearing in four different projects over the past year alone. What's more surprising is that every project he has appeared in has been met with a positive response. He doesn't just star in many works; he proves his wide acting range by perfectly embodying completely different characters with his own unique style. In <Gyeon-woo and the Fairy>, he is expected to delicately portray the complex inner world of a boy who carries a curse of misfortune.
Starring alongside Choo Young-woo is actress Cho Yi-hyun, who plays the female lead, Park Seong-ah. In her previous work, <The Matchmakers>, Cho Yi-hyun played a central role, but unfortunately, she did not receive significant attention due to mixed reviews of the drama's success and her performance. However, things are different in <Gyeon-woo and the Fairy>. Although only two episodes have aired, she has perfectly melted into the character of the bold and mysterious shaman girl, Park Seong-ah, and is stably leading the drama's core. The fact that Cho Yi-hyun's name appears before Choo Young-woo's in the cast introduction hints at the significant weight her character carries in driving the narrative.
The drama's title, <Gyeon-woo and the Fairy>, appears to be inspired by the classic Korean folktale 'Gyeon-woo and Jik-nyeo' (The Cowherd and the Weaver Girl), which is known by all Koreans. The touching and sad love story of two people who are deeply in love but can only meet once a year on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lunar month has moved people's hearts across generations. The drama reinterprets this motif in a modern context, telling the story of a man and a woman destined to be apart. Furthermore, the drama is based on the Naver Webtoon of the same name, <Gyeon-woo and the Fairy>.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a solid and complete story, which was concluded in 2023 and has already been published as a two-volume book series, adds to the viewers' trust.
Cho Yi-hyun plays Park Seong-ah, a high school student who has undergone sinnaerim (a shamanistic calling). With a simple dream of living a normal school life like others, she wears a mask to hide her identity when she performs fortune-telling. However, her extraordinary abilities cannot be concealed by a mask, and her divination house is always bustling with people seeking her help. This dual life of Park Seong-ah, struggling between her special powers and her desire for an ordinary life, adds a three-dimensional quality to her character and piques viewers' interest. Then one day, a very special client visits her, shaking her daily life to its core.
One of Park Seong-ah's special abilities is seeing people destined to die as if they are upside down when they enter her room. The person who appears before her in exactly this way is Bae Gyeon-woo, played by Choo Young-woo. From birth, Bae Gyeon-woo has carried a powerful curse of misfortune, and major and minor accidents constantly occur around him. Dragged by his worried grandmother to countless shaman houses to no avail, he is now left with a deep-seated distrust of spiritual beliefs. In the end, he scoffs at Park Seong-ah, saying, "You're all just scammers after money," and storms out.
Although she coldly sent Bae Gyeon-woo away, Park Seong-ah's heart is conflicted. A strong resolve to save him, no matter what, has begun to sprout. The very next day, as if by fate, Bae Gyeon-woo transfers to Park Seong-ah's class, and their connection officially begins. The reason Park Seong-ah is so desperate to save him is surprisingly simple and clear: he is incredibly handsome. She fell in love the moment she saw him at her divination house, and just like that, Bae Gyeon-woo becomes Park Seong-ah's poignant and desperate first love. This somewhat quirky yet pure motivation adds a vibrant, romantic-comedy color to the series.
In truth, the misfortune surrounding Bae Gyeon-woo was not just a simple curse. He possesses a special energy that attracts countless ghosts like a magnet, and the ghosts, upon seeing him, lose their minds and go berserk, causing terrible accidents around him. Because of this, he had to give up his dream of becoming a talented archer. Wanting to no longer hurt the people around him, Bae Gyeon-woo transferred to a new school to live an ordinary life. However, the ghosts relentlessly flock to him there as well, and each time, Park Seong-ah appears in secret to save him.
Park Seong-ah uses her abilities to fight off the ghosts threatening Bae Gyeon-woo, acting as his reliable guardian angel. However, Gyeon-woo himself is completely unaware of all this, viewing Seong-ah as merely a strange and annoying girl. The dynamic between them, each in their own world, creates exciting tension. Notably, the scenes where Seong-ah exorcises ghosts are filled with such spectacular and high-quality VFX (visual effects) that it's hard to believe it's just a romance drama, offering viewers a rich visual feast. And by Seong-ah's side is her only friend who knows her secret, Pyo Ji-ho.

Played by actor Cha Kang-yoon, Pyo Ji-ho is Park Seong-ah's best friend and the only person who knows her true identity. Sometimes acting like a close friend, and other times subtly hinting at a one-sided crush on Seong-ah, he serves as a steadfast supporter who helps her from the closest vantage point as she sincerely tries to protect Gyeon-woo. Perhaps thanks to this lineup of charming characters, <Gyeon-woo and the Fairy> recorded a high nationwide viewership rating of 4.3% from its very first episode, marking an impressive start. With a solid narrative, unique characters, and dazzling fantasy elements, it is a drama that has all the components to capture the hearts of viewers, making its future episodes highly anticipated.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