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20의 게시물 표시

대기업 때려치우고 동네 북카페 차렸습니다 - 쑬딴

이미지
카페에 대한 로망이 많다. 아마도 누구나 한 번 정도는 고려해 본 적이 있을 듯하다. 로망적인 생각을 한다면 카페 차리고 알바생이 일을 하고 매출은 저절로 발생하고 무척 편하게 돈을 번다. 이런 이상적인 상황 말이다. 막상 카페를 차린 대다수의 사람들이 망한다. 알바비도 감당 못하고 매상은 택도 없다. 비용은 고정적으로 계속 나가고 수입이 없으니 빚만 지고 그만 두는 경우가 많다. 한 때는 우후죽순으로 생겼던 카페가 현재는 많이 현실인식을 하게 되었다. ​ 나도 카페에 대한 로망은 있다. 현실이 어떤 지 알기에 돈을 벌겠다는 아니다. 더구나 고정 비용도 많이 나간다는 사실을 아주 잘 알고 있다. 그렇기에 내 건물에서 내가 읽은 책으로만 구성한 책을 진열한다. 판매까지는 생각하지 못했다. 이왕이면 좀 넓어 내가 그곳에서 강연회도 하는 그런 카페를 생각했다. 수익 낼 생각은 없고 그저 손해만 나지 않을 정도로 말이다. 생각해보면 1층에 월세를 못 받으니 손해는 아니겠지만 결국에는 손해가 날 듯도 하다. ​ 현재 동네 카페는 거의 대부분 죽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운영되는 카페가 있다. 대부분 자신만의 특색을 갖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다. 그럼에도 카페가 돈을 벌고 있냐고 한다면 그렇지 않은 듯하다. 자신의 특색을 갖고 운영한다는 것이지 돈을 번다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돈을 아예 못 번다는 것은 아니고 흔히 말하는 먹고 살 정도다. 대부분 카페 뿐만 아니라 다른 것도 하면서 먹고 사는 듯하다. 상식적으로 커피로 수익이 그리 크지 않다. 대부분 부가상품으로 수익을 낸다. ​ 쓰다보니 다소 자본주의스러운 이야기를 쓰고 말았다. 정작 <대기업 때려치우고 동네 북카페 차렸습니다>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다. 이를테면 전형적인 자기계발류가 아니다. 그 어려운 환경을 뚫고 내가 카페를 이만큼 키우고 수익을 내고 있다. 너희들도 나처럼 해 봐라. 이런 내용은 아무리 찾아봐도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현실적이다. 돈은 그다지 되지 않는다. 그럼에

배당왕 - 미국 주식

이미지
최근 미국 주식에 대한 관심이 많다. 가장 큰 이유는 누가 뭐래도 미국 기업의 주가가 고공행진을 하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이 된 것은 벌써 2~3년이 되었다. 그 기간동안 미국 주식은 대체적으로 상승을 지속했고 한국 주식은 상승했지만 상대적으로 답보였다. 솔직히 미국 주식에 대해 따로 본 것이 없다. 그렇기에 미국 주식 전부가 상승한 것인지 여부까지는 모른다. 더구나 한국에서 미국 투자를 할 때 수많은 기업을 다 알고 투자할 것 같지도 않다. ​ 대부분 유명한 기업 위주로 투자했다. 흔히 말하는 우량주 위주라 할 수 있는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니 대부분 성공했다. 특히나 최근에 IT 관련주라 할 수 있는 기업이 그렇다. 미국 주식 투자는 이렇게 매력적이긴 하다. 환율과 세금 문제가 함께 걸리긴 하는데 그런 걸 감안하더라도 꽤 솔찮은 수익을 얻으니 실제로 승자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미국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이야기가 있다. 단기간을 볼 때는 솔직히 잘 모르겠지만 길게 볼 때 무조건 좋다. ​ 한국은 현재 몇 년 동안 거의 박스라 불리는 지수에서 왔다 갔다한다. 주가가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오르면 떨어지고, 떨어진 것이 오르면 그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또 다시 떨어진다.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다보니 다들 지쳤다고 할까. 한국만의 특수한 상황이 벌어진다고 하지만 하필이면 그게 상승의 특수상황이 아니라 더 짜증난다. 반면에 미국은 단기간으로는 출렁이긴 해도 장기간 볼 때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이러니 차라리 마음이 편하다는 이야기를 한다. ​ 우량 기업을 사 놓고 기다리면 결국에 상승했으니 말이다. 차라리 속편하다는 이야기를 하는게 일견 맞다.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들도 보면 시간이 지나도 그다지 상승하지도 않아 보인다. 더구나 실적이라는 측면에서도 그렇다. 분명히 해당 기업의 주가는 실적에 맞춰 움직이게 된다. 그런 면에서 한국은 실적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는 것은 맞는데 그 놈의 실적 자체가 꾸준히 상승하지 못한다.

어떤, 작가 - 에세이

이미지
우연히 알게 된 작가 조영주다. 내가 알고 있는 유일한 작가다. 흥미롭게도 최근에는 너도 나도 작가라는 말을 너무 쉽게 한다. 출판사에서 예전에 듣기로 책을 2~3권은 내야 작가로 인정한다고 했다. 지금도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겨우 책 1권을 쓰고서 작가라는 호칭을 스스로 한다. 거기에 작가와 저자도 좀 구분을 해야한다. 내가 너무 고리타분한지는 몰라도 그렇다. 작가는 창작을 하는 사람이고 저자는 해당 분야에 대한 권위자다. 그런 구분은 필요하다. ​ 그런 면에서 볼 때 본인 스스로 작가라고 호칭을 듣고 싶다는 욕심만 있을 뿐이다. 정작 작가로 제대로 된 고민과 노력을 하지도 않고 셀프 작가라니 말이다. 나 자신도 어느덧 10권도 넘게 책을 펴 냈지만 스스로는 작가라는 표현을 하지 않는다. 저자라는 표현은 해도. 무엇보다 작가라 호칭을 들을 정도의 분들이 쓴 글을 읽으면 확실히 다르다. 더구나 그런 실정에 가벼운 에세이 하나 썼다고 작가라고 하다니. 내가 너무 까칠한지는 몰라도 평소 갖고 있던 생각이다. ​ 아마도 이 책 제목이 <어떤, 작가>라 그런지도 모르겠다. 작가라는 타이틀이 제목에 있는데 이 책의 작가인 조영주처럼 치열하게 글을 쓰고 고민하고 창작하는 사람이 할 수 있는 표현이다. 최근 들어 뜻하지 않게 조영주 작가가 쓴 책을 많이 읽게 되었다. 장편소설과 단편 소설은 물론이고 에세이까지 말이다. 작가를 처음 알았을 때 한동안 아무런 작품활동이 없었다. 계속 글을 쓴다는 건 알고 있었는데 솔직히 잊고 있었지만 꾸준히 블로그에 올리는 건 읽었다. ​ 모든 사람의 현재는 과거에서 비롯된다. 작품 활동이 없었던 것이 아닌 발표가 없었을 뿐이다. 그동안 쉬지 않고 계속 집필 활동을 했다는 건 알고 있었다. 기억에 의하면 지난 대략 6개월 정도 기간동안 -그도 아니면 1년 동안 - 꽤 많은 작품이 출간되었다. 장단편은 물론이고 에세이까지 골고루였다. 솔직히 보내준 덕분에 잘 읽었다. 어떨때 보면 작가들이 쓴 소설보다 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