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13의 게시물 표시

48분 기적의 독서법 - 독서를 권함(Reading 48 minutes a miracle - Assumes reading)

이미지
독서에 대해 알려주는 책은 많이 있다. 어떤 식으로 읽어야 하는지, 어떤 도움이 되는지,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지 등등. 책을 많이 읽는 사람들이 자신이 읽어 도움이 되었던 것들을 혼자만 간직하지 않고 함께 나누고 싶은 마음의 발로라고 보인다. 나도 관련된 내용을 블로그에 올리기도 했으니 자연스러운 행동이라 볼 수도 있지 않을까 한다.  Reading the book has a lot to tell us about. Read in any way, and what if that helps, that should read some books and so on. Read a lot of books that have helped people to read their stuff alone does not keep it's feet seems like you would like to share. Post relevant content on your blog, I also would not haeteuni may be seen as a natural behavior. 독서에 대해 책을 펴 냈으면 최소한 저자가 남부럽지 않은 독서력을 보여야만 읽는 사람들로 하여금 믿음을 줄 것이다. 물론, 얼만큼 읽었는지에 대한 부분은 확인할 방법은 전혀 없다. 자신이 직접 주장하는 것 이외에는. 읽은 권수를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저자가 쓴 글을 읽으면 어렴풋이 눈치를 챌 수 있다. 책을 많이 읽은 사람의 책은 한 권의 책 안에 무척이나 다양한 책을 소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Spread about reading a book by the author have worked at least look decent reading skills, but will give faith to those who read. Of course, you have read the part about how much I do not have a chance to check

히틀러의 성공시대 2 - 설마..가(Hitler's era of success 2 - What I think the)

이미지
'히틀러의 성공시대'는 당연히 히틀러의 전 생애를 다룬다고 착각을 했다. 이 책이 한겨레신문에서 연재되었던 것으로 처음 기획부터 집권할 때까지만 다루기로 했단다. 그러다보니, 어딘지 모르게 괜히 찜찜하다. 읽다 만 느낌도 든다. 무엇인가 더 중요하고 궁금한 내용을 전혀 듣지도 보지도 못한 상태에서 그냥 연재가 끝난 느낌이다.  "The success of Hitler era, of course, deals with Hitler's whole life was a mistake. Hankyoreh this book to have been the first in the series, from planning to deal with ruling only until your grandfather To do that, some way, for nothing is off-putting. Reading feel, but carry it. For what is more important questions have never heard any of the series just ended in the state is feeling. 다른 면에서 볼 때 책의 제목이 성공시대라는 걸 보면 집권할 때까지가 성공시대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막상 집권을 한 후에 전쟁을 치루는 과정은 성공시대라기보다는 늪에 빠졌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전쟁을 시작한 후로는 자신의 마음대로 무엇인가 할 수 있는 상황으로 전개되지 않았을테니 말이다.  When view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title of the book to see what a successful period in power until the era of the success of the idea that you could be called vertices carry it. Okay, after ruling

침대 밑의 책 - 동질감(The book under the bed - Chemistry)

이미지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 '심야책방'의 저자인 윤성근씨가 새로운 책 '침대 밑의 책'으로 다시 왔다. 지인의 소개로 알게 되어 읽게된 윤성근씨는 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많은 책 중에 가장 나와 어딘지 모르게 코드가 맞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나와는 읽는 스타일도 다르고 읽는 책의 종류도 다르다.   'Bookstall in Wonderland', 'Midnight bookstore author of a new book by Mr. yunseonggeun' under the bed of the book has been re. With the introduction of acquaintances to know that yunseonggeun read the book to talk about his many books out of the most sensitive information in some way the code is made up of. Of course, reading a book with me to read different types of styles different. 가장 싫어한다는 자기계발서적들을 난 많이 읽었으니 그런 것까지 따지면 더더욱 서로 읽는 책이 다를 수 밖에 없지만 윤성근씨가 쓴 글을 읽으면 나도 모르게 동질감을 느끼고 '맞다~~'라고 고개를 끄덕이기도 한다. 다른 저자들이 책에 대해 소개하거나 자신의 독서법을 알려줄 때도 '그렇구나~'정도는 느꼈어도 동질감은 잘 느끼지 않았는데 말이다.  Self-development books most hate to do such things, I've read a lot of sense, even mo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only read the book, but I read the article written by Mr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 알렉산드로 솔제니친(Ivan Denis, Day camp - Alessandro Solzhenitsyn)

이미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을 읽고 있는 중에 처음이다. 그동안 읽었던 책은 사실 작가는 알지만 작품을 몰랐거나 작가도 작품도 알지만 이미 다른 방식으로 조금이라도 그 책에 대해 접했던 책들이였지만 세계문학전집을 읽기로 결정했을 때 작가와 작품만 알고 전혀 접하지 못했던 책을 읽고 싶었던 생각이 강했는데 드디어 작가와 작품은 알고 있지만 접하지 못했던 첫 책에 당도했다.  Minumsa during reading world literature is the first complete works. Meanwhile, the fact that the author had read the book or author I did not know the work already know it works a little different way jeophaetdeon books for the book, but decided to read the complete works of World Literature and works known only at the writer did not touch a book I think I wanted to read was the river finally know the author and the work, but did not touch the book was sugar. 솔제니친은 노벨상을 받았다는 것을 알고 있고 오랜 기간동안 수용소에 갖혀 있었고 망명도 했다는 사실 정도를 알고 있다. 어딘지 모르게 당시에 소련에서 사상투쟁을 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고 공산당은 무조건 나쁜 놈이고 그 중에서도 소련에서 감옥에 있는 사람이니 무조건 우리편인데 그의 작품으로 노벨상까지 받았다고 하니 어딘지 모르게 대단한 사람이라는 편견이 있었다.  Solzhenitsyn received the Nobel Prize, and for a long time know that was trapped in camps in exile is also the fac

주식시장의 17가지 미신 - 의심하라(Market Myths - Be suspicious)

이미지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를 데카르트가 말함과 동시에 인간은 한 단계 진화와 진보를 하게 되었다. 자신이 믿고 보고 알고 있는 것에 대해 진실인지에 대한 고민은 철학으로 발전하여 근대 문명과 산업화까지 진행되어 현재의 과학과 체제에 이르기까지 되었다. 갈수록 너무 많은 정보들이 범람하여 사람들은 점점 자신들에게 주입되는 정보를 별다른 노력없이 믿어 버린다.  To Descartes at the same time and say, "exist because you think I" came to and progress one stage human evolution. About what you know to see myself believe, industrialization and modern civilization to be proceeds developed philosophical, worries that it is true, was to up to the science current system. People would believe any effort without the information that is injected into their increasingly a lot of information to flood more and more. 특히, 자신보다 훨씬 더 많은 지식과 정보와 브랜드와 인지도와 실력있는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는 거의 틀림없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더이상 본인 스스로 알아볼 생각을 하지 않고 곧이 곧대로 믿어 버리는 경우가 갈수록 더욱 심해지고 있다. '설마, 틀리겠어!'라는 생각으로 자신의 판단이 아닌 권위와 같은 것에 의지하여 내린 판단을 자신의 판단이라 믿고 결정을 내린다.  In particular, the story that there are people with the ability and awareness of the brand and t

엔더의 게임 - 재미보장(ENDER'S Game - Guaranteed fun)

이미지
'page-turner'는 페이지가 술술 넘어가는 책, 한번 잡으면 도저히 놓지 못하는 책을 말하는 의미라고 한다. '엔더의 게임'책 역자가 알려준 표현이다. 역자 스스로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은 그다지 신경쓸 것은 없지만 '엔더의 게임'은 실제로 시간 가는 줄 모르는 책이다. 재미가 보장된다는 표현이 딱 맞을 듯 하다.  The 'page-turner', meaning that it is to say this, a book that does put possibly catch once page has progressed fluently. It is an expression that the translator of "game ender" told me. Never translator himself to say this to worry too much "game ender" is a book that will not go to the time actually. Expression fun that is guaranteed seems to fit. 미국의 휴고 상과 네뷸러 상을 최초로 동시에 수상하고 아직까지 그런 작가가 없다고 하니 그러려니 했는데 읽어보 상당히 재미있었다. 좋안 하는 스토리가 성장 드라마이다. 가장 잘 묘사하고 흥미있게 읽는 책들이 일본 만화 중에 스포츠 만화같은 종류이다. 이런 만화들은 주인공의 성장드라마에 갈수록 더 뛰어난 상대자가 나와 한 명씩 극복하는 과정이 나온다. 그 외에도 헌터X헌터 같은 작품이 대표적이다.  It was very interesting to consider reading where there is no choice but to win at the same time the first time Nebula Award and Hugo Award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폐허 - 덩굴(The Ruins - Vine)

이미지
스콧 스미스의 전작인 '심플플랜'을 보고 이 책에 대한 기대가 컸다. 재미있는 소설을 쓴 작가의 작품이니 재미는 보장되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말이다. 작가가 쓴 모든 작품이 전부 재미있을 것이란 것은 말이 안 될수있지만 이미 친숙한 작가의 작품세계로 어느정도는 먹고 들어 갈 수 있다고 본다.  Look at the "Simple Plan", which is the previous work of Scott Smith, expectations for this book was great. It's the idea because it is work of writer who wrote the novel interesting, fun that is guaranteed. I think you might want every piece writer wrote that would be fun completely can not talk, but will be able to make a decent living to some extent to the work world of writers already familiar. 소설을 읽으면 초반 50페이지 정도까지 글이 잘 안 들어올 때가 있다. 무슨 내용인지 파악하고 전체적인 흐름에 조금씩 젖어들어 서서히 내용이 이해되면서 소설에 재미를 더해가는 것인데 50페이지가 될 때까지 안 될때가 있어도 100페이지 정도되면 그제서야 책이 어떤 내용으로 전개될 것인지가 눈에 들어오기도 한다.  Sometimes the statement does not turn well up to 50 degree opening page if you read the novel. The 100 page even if there is when it is built in until the 50 page content is understood to gradually wet little by littl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