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초수익 모멘텀 투자

이미지
  인터뷰를 좋아하는 편인데 책으로 나오는 인터뷰는 그렇게까지 좋아하진 않는다. 잡지에서 나오는 인터뷰 정도가 딱이지 싶다. 적당히 물어볼 거 물어보고 들을 거 들을 수 있다. 책으로 나오면 아무래도 분량이 엄청 많다보니 살짝 지겨운 감이 없지 않아 있다. 자신이 쓴 책이라면 어느 정도는 체계적으로 쓰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분량이 과다할 때가 많다. 더구나 이런 인터뷰와 관련되어 주식으로 한정할 때 좀 더 아쉬운 점이 있다. 그건 바로 그림이다. 투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원칙같은 건 얼마든지 상관없다. 그림이 없어도 이해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주식투자에서 <초수익 모멘텀 투자>처럼 차트를 주로 이야기한다면 달라진다. 책에서 인터뷰한 사람들이 이야기한 지점이 어떤 것인지 이왕이면 차트를 보여주면서 설명해야 좀 더 이해가쉽다. 단순히 말한 것만 읽으려면 그림이 안 그려진다. 그렇다는 이야기는 이 책을 읽는 사람은 어느 정도 투자 수준이 있어야 한다는 말도 된다. 그래야 이해가 되니까. 어느 정도 자신이 차트를 근거로 투자해야 하는 말을 알아들을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중요하다고 말하는데 그게 어떤 의미이고 차트 상 위치인지 감을 잡기가 힘들다. 책에는 총 4명의 주식 투자자가 나온다. 주식 투자를 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 데 그 중에서 차트 투자라고 할 수 있다. 이걸 성장주 투자라고 볼 수도 있다. 가치 투자와 성장주 투자라는 개념은 말장난이라고 할 수도 있다. 가치투자는 아직 오르지 않은 주가를 매수하는 것이라고 한다. 성장주 투자는 주가가 한참 오르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가치투자를 하는 사람이나 성장주 투자를 하는 사람이나 궁극적으로 이익을 내려 한다. 그러니 다를 건 없다. 자신의 성향에 따라 다를 수는 있다. 사람마다 타고난 성향이 있다. 그 성향에 맞게 투자하는 게 좀 더 좋다. 성향이 맞게 투자할 때 좀 더 마음이 편하다. 단순히 이걸 딱 구분해서 할 수 있을까하는 생각은 든다. 여하튼 이 책에서 소개되는 투자자는 대부분 그렇게 성

1%를 읽는 힘

이미지
  10%나 1%는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어떤 분야에서든 10%내에 들어가면 대단하다. 이를 뛰어넘어 1%가 된다면 어느 누구도 감히 함부로 할 수 없게 된다. 늘 세상은 1%가 지배한다는 말도 한다. 그만큼 소수가 된다는 건 아주 힘들고 어렵다. 1%내에 든다면 특별한 일이 없다면 무조건 성공한 사람이다. 세상을 제대로 보려면 1%를 봐야 할까. 아니다. 1%가 아닌 99%를 봐야 한다. 모든 사람들이 보는 걸 나도 봐야 한다. 돈은 사람들이 몰려가는 곳으로 간다. 사람들이 가는 곳에 돈도 따라간다. 사람들이 가지 않는 곳에는 돈도 가지 않는다. 사람들이 돈을 싸들고 가니 돈이 모인다. 그들에게 뭔가를 판매하면 돈을 거둬들일 수 있다. 사람들이 몰려갈 때 가도 늦지 않겠지만 그 보다 더 좋은게 있다. 사람들이 몰려 오기 전에 먼저 가 있어야 한다. 그런 후에 나보다 늦게 오는 사람에게 돈을 받는다면 큰 돈이 된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게 바로 1%다. 남들보다 먼저 안다는 건 1%에 속해야 한다는 뜻이 된다. 이게 쉽지 않다. 쉽지 않다는 표현은 너무 완곡하다. 너무 어렵다. 대부분 사람에게는 무리다. 극히 드문 사람만이 이 경지에 이른다. 1%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지식과 정보를 갖고 있어야 한다. 지식과 정보는 점처럼 흩어져 있다. 지식이 많다고 되는 건 아니다. 정보를 많이 갖고 있다고 되는 것도 아니다. 지식과 정보는 둘 다 얼마든지 조금만 검색해도 엄청나게 많이 쏟아진다. 별 생각없이 뉴스를 봐도 너무 많은 정보가 쏟아지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점처럼 흩어져 있는 걸 선으로 연결하는 능력이 바로 책 제목인 <1%를 읽는 힘>이 아닐까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한다. 전혀 상관없다고 생각되는 일이 나중에 퍼즐이 맞춰지면서 연결되었다는 걸 깨닫게 된다. 뒤늦게 깨다는 사람도 있지만 눈치도 못 채는 사람도 많다. 누군가 이야기를 해줘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자세히 설명해야 겨우 어렴풋이 아는 

나의 투자는 새벽 4시에 시작된다

이미지
  이 책 <나의 투자는 새벽 4시에 시작된다>는 전작인 <나의 월급 독립 프로젝트>에 이어 읽게 되었다. 480만 원으로 3년 만에 무려 30억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번 책에는 300억이 되었다. 5년 살짝 안 되는 기간에 그렇게 만들었다고 한다. 480만 원으로 30억을 만든 것도 놀라운 데 이 걸 또 다시 300억으로 만들었다니!! 내 생각에는 30억을 만든 것보다 300억을 만든 게 더 어렵지 않을까한다. 돈이 커지면 운용하는 게 쉽지 않다. 예전에는 쉽게 벌 수 있는데 다르다. 어지간한 기업을 투자해서 수익을 올리는 게 쉽지 않다. 돈이 적을 때는 아무 기업이나 투자할 수 있다. 돈이 많아지면 나 자신이 메기가 될 수 있다. 잘 못 크게 들어가면 내가 메기가 되어 쉽게 나오지 못할 수 있다. 그렇기에 돈이 커질수록 수익률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워런버핏이 시간이 갈수록 수익률이 떨어지는 이유기도 하다. 그런 이유로 돈이 적으면 50% 이상 수익을 해마다 낼 수 있다고 워런 버핏이 말한 이유다. 그러니 300억을 만들었다는 점이 놀랍다. 자연스럽게 어떤 투자를 해서 그렇게 되었는지 궁금해진다. 액수가 커지다보니 주식 투자보다는 간접 투자가 가장 큰 수익률의 근거였다. 일반인이 투자하기는 힘든 방법이다. 이 부분은 자세한 설명보다는 간단한 소개만 한다. 어차피 알려준다고 해도 일반인이 할 수도 없다. 일정 금액을 갖고 있어야 하고 해당 펀드에 들어가려면 조건도 있어야 하는 듯하다. 어차피 우리가 궁금한 건 그런 건 아니다. 주식 투자를 어떤 식으로 해서 수익을 올렸으냐가 궁금하다. 이 부분은 이미 전작에서 대부분 알려줬다고 할 수 있다. 전작에도 중요하게 보는 건 거래량이었다. 거래량이 많아야 쉽게 투자하고 빠질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지금도 그 방법은 여전히 하는 듯하다. 대신에 금액이 크다보니 예전처럼 하지 않는 느낌도 들었다. 직접 투자하는 건 많지 않고 주로 제목처럼 정보와 지식을 가공하는 데 시간을 들이는 듯하다. 새벽

홍보의 신

이미지
  유튜브 시장은 엄청나게 방대하다. 분야 자체가 워낙 다양해서 일상에서 별로 접하는 않는 분야도 구독자가 꽤 큰 채널도 많다. 이런 걸 사람들이 보는구나하고 놀랄 때도 있다. 한국만 해도 인구가 5000만 명이 넘어가니 충분히 그럴 수 있다. 구독자 10만 명 정도면 큰 돈은 아니라도 어느 정도 수익내며 살 수 있는 걸로 안다. 그러기 위해서는 팀이 아닌 혼자서 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겠지만. 그런 유튜버 중에 저절로 관심가는 유튜브가 충주시가 운영하는 유트브다. 어느 누구도 관공서에서 하는 유튜브를 관심있어 하지 않는다. 굳이 보지 않아도 어떤 내용일지 뻔하다. 고리타분하고 천편일률적인 내용이다. 퀄리티가 좋을지는 몰라도 보고 싶은 마음이 안 든다. 대체적으로 외부 업체를 통해 영상을 만드니 퀄리티 자체는 좋을지 몰라도. 더구나 자신들의 홍보를 위해 만드니 재미가 없다. 스스로 재미가 없다는 걸 알고 있다. 재미라는 건 사람마다 차이가 크게 나는 게 아니다. 아무래도 해야 하니 만드는 영상이라 그렇다. 이런 상황에서 충주시에서 만든 영상은 다르다는 평가가 나왔다. 일단 충주시에 대한 홍보는 모르겠고 재미있다는 점이다. 재미라는 건 충주시 공마원들이 내린 평가가 아니다. 충주시와는 1도 연관성 없는 사람들이 내린 평가다. 이걸 알 수 있는 건 너무 간단하다. 유튜브는 모든 걸 구독자와 조회수로 알 수 있다. 영상이 재미있으면 조회수가 높게 나온다. 또 보고  싶다면 구독을 하면서 구독자가 올라간다. 이 보다 더 확실한 지표는 없다. 충주시에서 만든 영상이다. 그럼에도 재미 있는 건 전적으로 <홍보의 신> 저자인 김선태의 몫이다. 그가 아니면 충주시 유튜브가 뜰 수 없었다. 심지어 팀으로 움직이는 것도 아니고 혼자서 모든 걸 다 해낸다. 기획부터 촬영은 물론이고 출연도 하고 편집도 한다. 즉석에서 분위기를 봐서 아마 썸네일도 변경하지 않을까한다. 더 재미있는 건 이 모든 걸 스스로 하고 싶어 시작한게 아니다. 공무원답게 위에서 시키니 어쩔 수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