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지만 청불입니다 영화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 지식은 어려워


지루하고 재미없었다. 확실히 베스트셀러가 꼭 좋은 책은 - 철저하게 내 입장에서 -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은 책이다. 1년에도 수 많은 베스트셀러 책이 나온다. 그 중에서 이 책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처럼 초베스트셀러도 나온다. 보통 베스트셀러를 굳이 보려 하지 않는다. 도서관에서 빌려 보더라도 워낙 경쟁이 치열하니 몇 개월 지나거나 1년은 지나야 보게 마련이다. 이번 책도 1년 정도 지나 읽게 되었다.

서점에서 얼핏 봤을 때 딱히 땡기지도 않았다. 어떤 내용인지 제대로 본 것은 아니고 워낙 화제였던 책이라 슬쩍 봤다. 되돌아보니 베스트셀러가 된 책치고는 상대적으로 언론의 화제성은 좀 부족했다. 책을 읽어보니 그럴만 하다. 책은 넓고도 얕은 지식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다. 지식이라는 것은 깊을 수 있고 얕을 수 있다. 두루 두루 많이 알 수도 있고 특정 분야 전문가 뺨치는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이 책은 넓은지도 잘 모르겠고 얕은지도 잘 모르겠다.

신기했다. 이 책이 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읽었다는 사실이. 책 자체는 결코 쉽지 않았다. 그렇다고 얕지도 않았다. 넓다는 측면에서도 난 동의할 수 없었다. 상당히 좁고 조금 깊은 내용이었다. 그것도 이미 저자가 자신이 이야기하고 싶은 방향성을 다 결정한 후에 일방적으로 쓴 내용이라 편협적이다. 흠사 음모론 적을 읽는 느낌이 강했다. 예전에 차이트가이스트라는 시대정신 다큐와 책이 있었다. 상당히 흥미롭고 말초적이며 집중하게 만들었지만 실제로 음모론에 가까운 내용이다.

어차피 이 책을 쓴 저자는 전문가는 아니다. 게다가 책은 제목에서 나온것처럼 넓고 얕게 알려주겠다고 한다. 그것도 지적 대화를 위해서. 그렇다면 특정 사상보다는 일반적인 관점에서 골고루 알려주는 게 맞다고 판단하는데 책에 전반적인 사조는 마르크스와 헤겔의 유물론적인 관점과 운명론으로 보였다. 모든 내용을 전부 자연스럽게 이어붙이거나 억지로 연결해서 모든 역사와 정치와 경제와 사회, 윤리를 끼어 맞춘다.

기본 전제가 생산수단을 가진 사람이 세상을 지배한다. 그리고 모든 집단은 서로 대립하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한다. 역사와 정치와 경제가 발전한 모든 것은 책에서 언급하는 주장에 부합되도록 발전했다. 이런 식으로 책은 연결된다. 인간이 살아가며 발전하고 그에 따라 역사가 변하고 정치가 만들어지고 경제가 따라간 것이 아니라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결과라 말한다. 역사에 가정이 없다지만 그 누가 있었든 없었든 필연적으로 지금의 사회체계가 생겼을 것이라고 본다.

책에서 저자는 공산주의는 폐기되었다고 말하는데 그렇게 따지면 책에서 계속해서 언급하는 유물론적인 관점도 이제는 거의 폐기되었다. 해방신학까지 끌어들이는 것은 전체적으로 넓은이라는 측면에서는 맞지만 아무리봐도 아니다 싶다. 고대 사회는 생산수단을 차지한 사람이 아닌 생산물을 갖고 있는 사람이 더 우세한 것이 아니였을까. 경작을 하는 시대가 아니었으니. 무리를 지킬 수 있는 힘있는 자가 차지한다. 이건 굳이 생산수단 관점이 아니라 진화관점에서 보면 그렇다.

역사와 경제와 정치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정말로 넓고 얕은 지식으로 지적 대화를 나누자면 골고루 알려주는 것이 맞다. 특정 사상에 따른 필터링으로 세상을 바라보니 내 의식과 사상이 잘못되어 그런지 동의하기 힘들었다. 그걸 뛰어넘어 보통 음모론 책은 내용을 동의하기 힘들어도 재미있고 흥미로운데 이 책은 그렇지도 않았다. 도대체 이 책을 그토록 많은 사람이 읽었다는 것이 신기할 따름이다. 한편으로는 정말로 그 분들이 전부 이 책을 끝까지 읽었을까에 대한 의구심도 생긴다.

난 읽으면서 계속 지루했고 따분했다. 그만 읽을까에 대한 유혹마저 들었지만 끝까지 읽었다. 경제 분야 자체도 차라리 시대 순서에 따라 경제가 어떻게 변화했고 그에 따라 어떤 사조가 좀 더 득세했는지로 설명하는 것이 올바르다고 본다. 책은 이미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 유물사관이 그렇다 - 상황이 발생했을 뿐이라 한다. 현재 세계를 신자유주의 세계라고 하는 것도 다소 의아했다. 이미 미국 금융위기와 더불어 신자유주의는 퇴색해 버렸고 새롭게 뉴노멀이라는 표현이 나온지 어느 덧 10년 정도 되어가는데.

무조건 자본주의는 공급 과잉이라는 표현도 그게 자본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없다고 본다. 또한 공급 과잉을 위해 해소하려고 식민지 개척부분도 그렇다. 그 반대로 난 알고 있다. 자원이 필요해서 신대륙으로 떠났고 그 결과 그들에게 제품을 팔면서 순인데 책은 그게 아니라 무조건 넘쳐나는 공급을 해소하기 위해 식민지 개척했다고 한다. 내가 뭐 그쪽 전문가가 아니라서 정확하지 않지만 내가 읽은 책들은 그렇다. 그 부분도 불만이었다.

이런 책에서 도대체 참고자료와 서적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 자신이 어떤 주장을 펼치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어떤 책과 사료에서 영향을 받았거나 참고했는지 알려주는 것은 기본 중에 기본이라 본다. 이 책같은 경우 더더욱 그런 점을 밝혀야 한다. 대부분 출판사에서는 이런 경우 출처와 참고자료를 알려달라고 하는데 저자도 그렇고 편집부에서도 전혀 관심조차 없는 것인지 알려지길 싫어했는지 모르겠다. 자신이 읽은 책과 참고한 인터넷 자료를 알려줘도 되었을텐데 말이다.

이 책을 읽고 지적으로 토론하게 되면 내가 볼 때 이상한 사람 취급당할 수 있다. 세상이 이렇게 단편적으로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냐마는 불행히도 훨씬 더 복잡하고 어렵고 밝히기 어렵다.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으로 책에 나오고 언급한 내용이 마음에 들고 현실과는 상관없이 대리만족을 줄 수는 있겠다. 이미 시대 흐름에서 벗어난 걸 들고나와 이렇게 히트를 끌었으니 그 점은 존경스럽다. 그렇기에 더욱 신기하기도 하다.

책을 읽으며 의아스러운 내용이나 대목은 따로 적기도 했는데 굳이 그걸 내가 다시 하나씩 찾아가며 반박하거나 내 생각을 적는 것은 시간낭비인 듯 싶다. 이 책이 훌륭하다고 하는 분들도 꽤 많던데 나와 다르다고 여기면 되겠지만 조심스럽기는 하다. 책에서 동의하거나 그건 그렇지 하는 부분도 분명히 있었지만 이미 자신의 주장을 위해 모든 것을 꿰어 맞추기식이다. 난 외로운 길을 걸어가는 것일까, 남들과는 다른. 그건 아니다. 책에서 말한것처럼 진실을 제대로 알려주는 것은 다들 흥미없고 지루해하지만 이 책처럼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보여주는 책은 인기를 끈다. 정말로 이 책을 구입한 사람들은 완전히 끝까지 다 읽었을까 계속 궁금했다. 나도 이렇게 힘들게 읽는 데.



가끔 이렇게 초베스트셀러나 외국책이면 좀 과감히 씁니다. ^^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꼭 읽어야 할까
친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그래도 읽어야 한다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