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지만 청불입니다 영화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 애덤 스미스


모든 책을 읽어봐도 공통적으로 자본주의는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이론적인 토대가 출발했다고 알려준다. 특히 이기적인 마음에서 출발해서 모든 사람들이 잘 살게 된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알려준다. 정작 그 개념은 <국부론>에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다. 딱 한 대목에서 빵집이야기가 나온다. 나도 <국부론>을 읽지 않았지만 - 나처럼 원전을 읽지 않는 사람이 대다수 - <국부론>이 어떤 내용인지 알지도 못한다.

딱 하나의 개념인 이기적인 마음만 안다. 실제로 당시에 지금처럼 자본주의라는 개념이 있던 것이 아니고 철학개념이었다. 대부분 철학에서 출발한다. 수학도 과학도 그렇고.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지금처럼 기술이 발달한 시대가 아니라 생각만으로 떠들었다. 직접 실험하거나 증명할 방법이 없었다. 자본주의도 시간이 지나 개념이 체계화되고 사람들이 인지하고 인식하게 된 것이다. 애덤 스미스도 분명히 철학적인 이야기를 했을 뿐인데 그 안에 향후 인류가 나아갈 길이 포함되어 자본주의 이야기에 반드시 포함되었다.

애덤스미스는 정작 <국부론>보다는 <도덕감정론>을 더욱 공들였다. 몇 번에 걸쳐 고쳐 썼다. <국부론>보다 먼저 나왔고 마지막까지 고쳐 다시 출판하것도 <도덕감정론>이었다. 애덤스미스는 관세업무도 보고 귀족 자제의 과외도 하면서 책을 집필했다. 결혼도 하지 않았다고 하니 금욕적인 삶도 살았다. 이 책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의 저자인 러셀 로버츠는 우리로 치면 팟캐스트를 운영하다 우연히 <도덕감정론>을 방송에서 하기로 했다.

구입만 하고 볼 생각도 없던 책을 읽게 되었다. 처음에는 다소 힘들었다. 이런 종류의 책들이 그렇듯이. 시간이 지날수록 책 내용에 빠지며 이토록 좋은 책이 제목만 알고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이 안타까워 직접 쉽게 푼 내용으로 쓰기로 마음을 먹었다. 직접 읽어본 적이 없어 비교할 수는 없다. 이 책은 그래도 애덤 스미스의 원작뿐만 아니라 저자의 실례까지 함께 들면서 서술되어있어 어렵지 않게 술술 읽힌다.

책 서두에 나온 개념은 이런 것이다. 지구 어딘가에서 지진으로 수 많은 사람이 사상되었다. 나는 현재 업무로 정신이 없다. 당장 내일까지 마쳐야 한다. 동료가 나에게 그 사실을 알려준다. 잠시 기사를 읽고 안타까운 마음을 갖지만 아무런 감정없이 다시 업무에 집중한다. 집에 와서도 잠시 배우자와 그 이야기를 나누지만 금방 잊고 잠든다. 아이들이 축구 시합을 하는데 업무로 참여하지 못하게 되었다. 다행히도 배우자가 시간이 되어 가기로 했다. 사실 내 마음은 온통 축구 시합에 가지 못하는 것에 더 신경썼다.
이 사람의 생각은 잘 못 된것일까. 지금 누군가 죽었다는 사실에 아무런 동요도 없고 사소한 일에 더 신경쓰는 현실이. 누구다 다 세상의 중심은 나다. 나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아파하고 슬퍼하고 기뻐한다. 누군가 죽었다는 사실보다 내가 칼에 손가락을 벤 사실이 나에게는 심각하다. 이처럼 남보다 나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는 것을 '나의 철칙'이라 한다. 모든 사람은 각자 자신의 철칙대로 산다. 

이 말은 남을 바라볼 때 내 입장에서 바라보면 안 된다는 것이다. 내가 내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모든 것을 판단하듯이 그 사람도 그 사람의 입장에서 본다. 내가 했으니 그 사람도 할 것이라 생각하는 것 자체가 말도 안 된다. 하지만 그렇다고 철저하게 개인적인 이익만 추구하는 사람은 아니다. 돈과 명성만으로 사람이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 보다는 사랑받고 사랑하는 존재가 되어야만 행복하다.

워렌 버핏의 아들인 피터 버핏은 1,000억 원을 포기했다. 그는 음악가로 살기로 결정했다. 다행히도 그는 음악가로 큰 성공은 아니여도 성공했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음악을 하며 먹고 살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단순히 돈만 보면 1,000억을 포기한 그는 바보같은 결정이었다. 공짜로 부모에게 받는 금액이었다. 반면 음악가로 삶은 성공여부가 불투명했다. 이제 그는 자서전에 썼다. 나는 후회하지 않는다고. 돈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추구했고 성공했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다. 지금 나는 해외에서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 공연 스케쥴이 있다. 취소하느냐 공연을 하느냐 여부는 전적으로 내 결정이다. 이럴 때 고인도 그걸 원하다고 말하며 공연을 진행하거나 취소한다. 이러며 사람들은 서로 오해가 생긴다. 그가 장례식에 오는 것을 고인이 원했을 것이라며 식구들은 원망한다. 차라리 처음부터 상대방에게 의견을 묻고 조율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애덤스미스의 <도덕감정론>은 인간에 대한 이야기다. 인간이 어떤 존재라는 것을 말하는 책이다. 인간 사회가 어떻게 흘러가고 문제가 발생하는지 알려준다. 원저는 분명히 쉽지 않을 것이지만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은 아주 쉽게 풀어주고 있다. 다양한 실례까지 들어가며 알려주고 있어 이해도 잘 된다. 혹시 내가 이렇게 쓴 것도 내 철칙만으로 착각하고 말하는 것일 수도 있다. 사랑받아야 하는데, 이러면 원망 받겠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정작 <도덕감정론>은 안 읽는다.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애덤 스미스 책을 이렇게라도 읽는다.



댓글